Sie sind auf Seite 1von 160

2013 공동 국제학술대회

Rethinking Perspectives in Translation Research and Practice

번역학 연구와 실제에 대한 관점 다시보기

후원기관: 한국연구재단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2013)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Venue: HUFS International Bld. Aekyong hall 102, 503, 606

1
Dates: October 18, 19. 2013 (10H~18H)

Host: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 Korean Association of Translation Studies

장소: 한국외국어대학교 애경홀, 102 호, 503 호, 606 호

일시: 2013 년 10 월 18 일, 19 일 (10 시~18 시)

주최 : 한국번역학회(KATS),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ITRI)

Contents

1. Directions in Translation Studies: Thoughts on the past and a view of the future

Jeremy Munday(University of Leeds)……………………………………………………..……………6


2. NEW CHALLENGES OF TRANSLATION DIDACTICS

N. Garbovskiy(Moscow State University)…………………..………………………..….……………12


3. News production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ranslation research

Roberto A. Valdeón (Universidad de Oviedo)……………………………………………...…………15


4. Beyond the Cultural Turn: Post-translation studies and Creative Writing in the USA

Edwin Gentzler(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17


5. Translator’s Education and Evaluation in Singapore: Paradox, Dilemma and Breakthrough

Susan Xu(School of Arts and Social Sciences, SIM University)……………………………………...19


6. Constructing A Sociology of Translation: A Literary Case Study in China

Kan CHAI(The Open University of Hong Kong)……………………………………………………..21


7. Lost in Translation: Australian Professional Terms in Public Korean Texts

Seong-Chul Shin(University of New South Wales)…………………………………………………...23


8. Translation and reification of cities:Focus on Itaewon, Korea

Hunam YUN(Hongik University)…......................……………………………………………………29


9. Translating speakability in children’s literature

SUNG, Seung-eun(HUFS)…………………...…………………...................................................…...30
10. Explaining Explicitation Using Informativity Downgrading

Peter Lee(Kookmin University)……………………………………………………………………….31


11. A Study on the Culturemes in Fan Subtitling
Seung-Jae Lee(Kyung Hee University)……………………………………………………………….33
12. Issues and challenges facing Arabic translation studies in the 21 st Century

Muhammad Y Gamal(The University of Canberra)…………………………………………………..34

2
13. The Use of China English and Understanding of China

Chunbai Zhang(East China Normal University)……………………………………………………...35


14. The Translation of Political News into Arabic : Sociolinguistics and Cultural Considerations

Kais A. Kadhim, Ph.D(University of Malaya, Malaysia) & Sheren Khalid Abdul Razaq,
M.A(University of Malaya, Malaysia)………………………………………………………………..37
15. Reframing Narratives in Translation Translated CNN News Articles on "Arab Spring"
Kim, Soon Mi(Sookmyung Women's University)…………………………………………………....38

16.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Quotations in Chinese News Trans-editing: Reality and Perception

Qiuhong HUANG(University of Macau)……………………………………………………………..39


17. DUB LOCALISATION AND VOICE CHARACTER IN KOREA

Hyunju Ryu(GSTI, Busan University Foreign Studies)………………………………………...…..41

18. Some Pragmatic Issues on Japanese ComicTranslation into English: A Relevance-Theoretic Account

Isao Higashimori (Ryukoku University)………………………………………………………………43

19. Implications of World Englishes on Interpreting Performance


Jiun Huh(Ewha Womans University)………………………………………………………………….46
20. Intertextuality in interpreter-mediated discourse in legal contexts: A case study of police interpreting
in South Korea
Jieun Lee(Ewha Womans University)…………………………………………………………………47
21. Interpreting self-efficacy (ISE) scale for undergraduate students: Construction and preliminary
validation in the context of Korea

Sang-Bin Lee (HUFS)…………...............…………………………………………………………….48


22. Renarrating the victims of WWII through translation

Kyung Hye Kim(University of Manchester)…………………………………………………………..49


23. Assessing Published Translations in the Cyberspace

Ji-Hae Kang (Ajou University)………………………………………………………………………..51


24. Semantics and Pragmatics in Note-taking during Consecutive Interpreting

Yoshihiro Minamitsu(Nagasaki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52


25. Portrait of a Korean Translator: Yongho Lee

Yeong-Houn Yi(Korea University). …………………………………………………………………..53

26. Implications of Formulaic Expressions on Processing Efficiency during Simultaneous Interpretation


Migyong Lee(Kyung Hee University)………………………………………………………………...55
27. Lexical competence of professional interpreters - An empirical research on interpreting
competence
Chung, Hye-yeon & Ko, Hyo-jung(Chung Nam National University)……………………………….57

28. The Effective Content of Translation Curriculum

Marziyeh Haji Zargarbashi(Payam Nour University)…………………………………………………59

3
29. News Localization and Its Ambivalent Aspects
Kim Gi-young(Pusan National University)……………………………………………………………60
30. The Need for Medical Interpreters in Japan

Kie Kawauchi(Aomori University of Health and Welfare)……………………………...……………62


31. Self-translation and Bilingual Writing

Chun, Hyunju(Hanbuk University)……………………………………………………………………63

32. Influences of Early English translations to Korean Syntax and New Literary Styles around the early
1900’s
No-Shin Lee(Hoseo University)……………………………………………………………………….65
33. Translation Aspects and its traits of ChunKiang Zhuan published by the Writer Publishing Office


飛燕(Korea University) …………………………………………………………………………...…66

34. A preliminary study of ethical issues in the field of Translation in Korea

Cheol Ja Jeong(GSIT, HUFS)…………………………………………………………………………97


35. Degrees of Amenability: Japanese Popular Fiction in Chinese Translation and the Idea of an Intra-

East Asian Translation Sphere

CHAN, Tak-hung Leo(Lingnan University)…………………………………………………………..98


36. The Problematics of Cultural Contamination in Translating Contemporary Transnational Poetry
Youngmin Kim(Dongguk University)…………………………………………………………..…...100
37. Translating Cultural-bound Expressions in the Film --- The case of Forrest Gump

Ms. LEI Yanbo(Chengdu Radio and Television University, Sichuan, China)………………………102


38. Archaising Translation, History and Modernity in the Victorian Age: Morris’s Translation of the
Odyssey

Yoon Sun Kyoung(HUFS).....................................................………………………………………..103


39. Integrating Vocational Translation into an English BA program: a Hungarian Case Study

Adrienn Károly(University of Jyväskylä, Jyväskylä, Finland)………………………………………104


40. Corpus-Assisted Analysis of Deixis for Literary Translations: with Focus on the Vocative Form of
Old Man in The Old Man and The Sea

Jo, Sue Yeon(GSIT, HUFS) ................................................………………………………………..106


41. Comparison between Korean-English Onomatopoeia and Translation of Korean Onomatopoeia into
English

Kim, Do-Hun(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107


42. Korean/Japanese/French subtitling: issues of the relay Translation via English

Guillaume Jeanmaire and Goo-Woong JUNG(Korea University)…………………………………..108

43. Translation of Grammar: the Case of La Porte étroite by André Gide

Junhan Kim and Hieyoung Song(Korea University)...........................................................................109

44. Equivalence or Family Resemblance:Why the Traditional Theorists Got It All Wrong?

4
Isabelle J. Zhou Yuanjian 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University of Macau)………..…112
45. The Influence of Commissioner’s Role in the Translation of Nonfictional English Text into Malay

Norhazlina Husin(Universiti Sains Malaysia)………………………………………………………114


46. Creativity and Untranslatability: Translator as a Re/writer

Gi Taek Ryoo (Chungbuk National University)…………………………………………………….115


47. Arabic Proverbs in Fiction Translation: Riyadh Girls as an Example Abstract

Mohammed Farghal(Kuwait University)……………………………………………………………116


48. Shifts in Japanese-English translations of speech drafts: A case study of two speeches given b
y Empress Michiko at the 1998 and 2002 Congresses of the International Board on Books fo
r Young People

Saeka TOSHIOKA(Osaka University)………………………………………………………………117


49. Study on application of deverbalization in undergraduate interpreting classes
Kang, Suju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119
50. Translator's subject knowledge: proposal for the ontology of theological terms on historical figures

Hyo-Eun Choi(GSTI, Ewha Womans University)..………………………………………………….120


51. Trends in Research on Translation Studies in Korea

Hye Rim Kim(GSTI, Ewha Womans University)……………………………………………………121


52. THE DIDACTIC FUNCTION OF TRANSLATION EVALUATION
Kostikova(Moscow State University)…………….......………………………...…………………....122
53. Relevance Theory 시각으로 살펴 본 통역품질평가-한중 순차통역을 중심으로-
김진아(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123
54. 학습자 번역물에 나타나는 장르 관습의 제문제와 교수법적 접근에 관한 고찰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일번역을 중심으로 –

함수진(한국외국어대학교)………………………………………………………………….………………………………124

55. 1칸만평 번역에 대한 번역자 개입과 신문사의 이데올로기 분석 :한겨레신문 1칸만평 한영번
역과 중앙일보 1칸만평 한영번역 비교를 중심으로

박미정(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127
56. 시청자자막 번역에서 표현되는 문화소 번역전략에 관한 연구

이승재(경희대학교)………………………………………………………………………………………………………….…129

57. 대규모 번역 프로젝트의 제반 문제. 이상과 현실

안인경, 정연진, 안미라, 박세미(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130


58. 시진핑의 국가레토릭과 한국언론에서의 번역

황지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132

59. 통역 교육을 위한 원천텍스트 난이도 평가

5
최문선(이화여대)…………………………………………………………………………………………………………………143

60. 조선후기 통번역사들의 활약상

유정화(한국외국어대학교)……….…………………………………………………………………………………………145

61. 동성애와 번역

박소영(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147
62. 정보처리 이론에 의거한 동시통역 학생의 형성 평가

원종화(중앙대학교)….........................................................……………………………………………………………..149
63. 영한순차 통역물의 통사적 특성 고찰: 문장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박헌일, 김태성, 김의수(한국외국어대학교)………..…………………………………………..…………............150

64. 학부 차원에서의 전문 번역 교육 가능성

김대영(고려대학교).............................................................................................................................................151

65. 제3세계 문학의 수용과 번역의 매개성(mediation) –스페인어 소설의 국내 번역출판에 나타나
는 중역 현상을 중심으로-

김희진(서울대학교)………………….………...............................................………………………………………….…152

66. 한국 문학의 러시아어 번역에서 나타나는 번역사의 개입 양상 고찰 Translator Participation


in Russian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서유경(한국외국어대학교)…….…………………………………………………………………………………………...154

6
7
Keynote Speech 1

Directions in Translation Studies: Thoughts on the past and a view of the


future

Jeremy Munday
(University of Leeds)

It is a commonplace to state that Translation Studies has evolved dramatically in recent decades, with
a host of self-professed turns or paradigms and with an expans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translation. We are living at a pivotal moment, when the “mainstream” of translation studies will, I
contend, be increasingly remodelled and will be subject to (re-) negotiation or even possible conflict
between its different branches.
This lecture will include a reflection on the impact of these changes by considering this evolution
from a personal perspective: what has it meant to be active in Translation Studies over the past twenty
years and how have developments in the field impacted upon working and teaching practices? I will
discuss these questions partly through the example of the writing of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and its various updates.
The second part of the lecture will discuss what I perceive to be key challenges in current research
and practice and will sketch out some possible future directions for translation studies.

Vita

Professor Jeremy Munday


University of Leeds
Professor of Translation Studies
School of Modern Languages and Cultures / Spanish, Portuguese and Latin American Studies
j.munday@leeds.ac.uk
http://www.leeds.ac.uk/arts/people/20059/spanish_portuguese_and_latin_american_studies/person/99
8/
Tel. +44 (0)113 343 7616

8
Research interests
Translation studies, including stylistics, discourse and text analysis in translati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especially evaluation and appraisal theory); ideology in the translation of literary and
political works and speech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pain and Latin America;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including contrastive studies of lexical patterns and semantic prosody; cognitive
translation studies; the history of literary translators in the twentieth century. I collaborate in teaching
and research with the Centre for Translation Studies and co-supervise many students working on
translation into Spanish, Italian, Arabic, Thai and Malay. I am also a qualified and experienced
translator from Spanish and French into English.

Major publications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Theories and applications, Abingdon and New York: Routledge, 3rd
edition, 2012, with accompanying website.
Evaluation in Translation: A study of critical points in translator decision-making, Routledge, 2012.
'Translator identity and training', to be published in Lawrence Venuti (ed.) The Oxford History of
Literary Translation in English, Volume V, OUP.

‘Translation and linguistics’, in Sandra Bermann and Catherine Porter (eds) A Companion to

Translation Studies, Wiley-Blackwell (to be published in 2013).

‘The role of archival and manuscript research in the investigation of translator decision-making’, in

Sharon O’Brien, Susanne Göpferich and Maureen Ehrensberger-Dow (eds) Special issue of

Target 25.1 (2013): 127-140.

‘The expression of attitude in translation’, Revista Canaria de Estudios Ingleses, Special issue on

‘Evaluative Uses of Language: The Appraisal Framework’, Vol. 52 (Nov 2012): 101-14.

‘New directions in discourse analysis for translation: a study of decision-making in crowd-sourced

subtitles of Obama's 2012 State of the Union speech’, Language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12.4 (Nov 2012): 321-34.


'What can translation theory tell us about translation? Interdisciplinary potential, constraints, and
some suggestions', in Martin Burke and Melvin Richter (eds) The Translation of Political
Concepts, Leiden: Brill (2012), pp. 41-58.
'Looming large: A cross-linguistic analysis of semantic prosodies in comparable reference corpora', in

9
Alet Kruger, Kim Wallmach and Jeremy Munday (eds)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London and New York: Continuum (2011), pp. 169-86.
'Translation studies', in Yves Gambier and Luc van Doorslaer (eds) Handbook of Translation Studies,
Amsterdam and Philadelphia: John Benjamins (2010).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translation', in Mona Baker, Maeve Olohan and María Calzada (eds)

Text and Context, Manchester: St Jerome (2010), pp. 77-94.


'The concept of the interpersonal in translation', SYNAPS (University of Bergen, Norway) 23
(November 2009): 15-30.
'The creative voice of the translator of Latin American literature', Romance Studies 27.4 (November
2009): 270-82
The Routledge Companion to Translation Studies (edited volum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December 2008, revised May 2009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Theories and applications, Abingdon and New York: Routledge, 2nd
edition, 2008. (Has appeared in translation in Japanese and Vietnamese).
Style and Ideology in Translation: Latin American writing in English, New York: Routledge,
September 2007; published in paperback, June 2009
'Ideology', in Mona Baker and Gabriela Saldanha (eds) The Routledge Encyclopedia of Translation
Studies, Abingdon and New York: Routledge, 2nd edition, 2008. (co-authored with Peter
Fawcett): 137-41.
Translation and Ideology: Encounters and Clashes, Special issue of The Translator, Vol. 13, No. 2,
co-edited with Sonia Cunico, November 2007
'Translation and Ideology: A textual approach', The Translator 13.2 (2007): 195-217
Translation as Intervention (edited volume), London: Continuum and IATIS, 2007
Translation: An advanced resource book, (co-authored with Basil Hatim),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4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Theories and application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st
edition, 2001. (Has appeared in translation in Greek, Korean and Chinese and Croatian).

'Email, emilio or mensaje de correo electrónico? The Spanish language fight for purity in the new

technologies', in: Gunilla Anderman and Margaret Rogers (eds) Into and Out of English: For
better, for worse,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2005), pp. 57-70
'A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in Spanish and English World Cup reports', Revista Canaria de
Estudios Ingleses, (Tenerife), 49 (2004): 117-133
'Advertising: Some challenges to translation theory', The Translator 10.2 (2004): 199-220

10
'Systems in Translation: A Systemic Model for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in: Theo Hermans
(ed.) Crosscultural Transgressions. Research Models in Translation Studies II: Historical and
Ideological Issues, Manchester: St Jerome (2002), pp. 76-92

Induráin: A tempered passion, translation of the biography by Javier García Sánchez, Norwich:

Mousehold, 2002.
'Translation Studies and Corpus Linguistics: An interface for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Logos
and Language 3.2 (2002): 11-20.

'The Carribean conquers the world? An analysis of the reception of García Márquez in translation',

Bulletin of Hispanic Studies 75.1 (January 1998): 137-44


'A computer-assisted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ranslation shifts', META 43.4 (1998): 542-56

Systems in Translation: A computer-assisted analysis of the translations of García Márquez,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adford, 1997.


'Linguistic criticism as an aid to the analysis of literary translation', in Kinga Klaudy, Janos Kohn and
Mary Snell-Hornby (eds), Transferre Necesse Est,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urrent Trends in the Study of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Sept 1996,
Budapest: Scholastica, 1997.
Picador Book of Latin American Short Stories, translation of 15 of the stories in the collection, edited
by Julio Ortega and Carlos Fuentes, London: Picador/Macmillan, 1998
Memories of Altagracia, translation of the novel by Salvador Garmendia (Venezuela), Peter Owen:
London, a Unesco representative work.
'The translation of Spanish American literature: An inevitable cultural distortion?', Livius 8 (1996):
155-64.

Invited Lectures and Forthcoming Activities


Invited plenary, FIT 7th Asian Translators Forum, Penang, Malaysia, Aug 2013
Invited plenary, Concordia University Graduate Students Association in Translation, Montreal, April
2013
Invited seminar, Institute of English Studies, London, Jan 2013
Presentation at Discourse analysis symposium, Macao, Nov 2012
Invited lecture, Iasi University, Romania, October 2012
Invited lecture, Oslo University, September 2012
Invited lecture, Tsinghua University, Beijing, Nov 2011

11
Invited plenary at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Shanghai, Nov 2011
Invited plenary at First Asia-Pacific Translation Studies conference, Hangzhou, China, Nov 2011
Invited plenary at Cross-cultural pragmatics conference, Norwich, May 2011
Invited lectures, Salamanca University, Spain, April 2011
Invited plenary at Maastricht-Lodz Duo Colloquium Translation and Meaning , September 2010
Invited lecture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North Dakota, July 2010

Invited lectures at the Università di Bologna (Forlì), Italy, May 2010

Invited paper at Università per Stranieri di Siena, Italy, May 2009

Invited lectures at the Università di Bologna (Forlì), Italy, April 2009

Invited lecture at Copenhagen Business School, March 2009


Plenary lecture, International translation conference at the Graduate School, Tripoli, Libya, November
2008
Invited lecture at University of Bergen, Norway, October 2008
Keynote lecture at LSP-Translation conference, Chouaib Doukkali University, Eljadida-Morocco,
May 2008
Visiting lectures, Universitat Pompeu Fabra, Barcelona, May 2008
Keynote lecture at the LSP-Translation-Interpreting conference, Macerata, Italy, February 2008
Keynote lecture at the Romance Studies Colloquium, University of Wales, September 2007

Keynote lecture at the AIETI conference (Asociación Ibérica de Estudios de Traducción e

Interpretación), Barcelona, March 2007

Keynote lecture at Translation Studies conference in Thessaloniki, Greece, November 2006


Invited lecture at Guangdong Foreign Studies University, China, 2006
Invited plenary lecture at English Studies conference in Macau, China, 2006
Invited plenary lecture at the Translating Minority Voices conference, Rieti, Italy, 2005
Invited paper at the Translation of Political Concepts conference, CUNY, New York, 2005
Keynote lecture at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conference, Barbados, 2004.

External Positions
Chair of Publications Committee,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ranslation and Intercultural
Studies
General Editor for Bloomsbury/Continuum Advances in Translation series

12
Board, The Linguist, the publication of the Chartered Institute of Linguists
Advisory Board, The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er (St Jerome Publishing)
Advisory Board, Linguistica Antverpiensia New Series (Artesis Hogeschool Antwerpen, Antwerp)
Advisory Board, Hermeneus (Universidad de Valladolid)

Advisory Board, Monografías de traducción e interpretación (MONTSI), (Universidad de Alicante)

Editorial Board,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Member of jury, Premio Valle-Inclán translation prize of the Society of Authors/Translators

Association
Consultant, Routledge Encyclopedia of Translation Studies, Second Edition

Major Research Projects and Grants


AHRC Research Fellowship 2010-11
Friends of Princeton Library research grant 2010-11
British Academy Overseas Conference Grant 2009
AHRC Research Leave scheme 2005
British Academy Overseas Conference Grant 2005
British Academy Overseas Conference Grant 2003

Teaching
SPPO2580 & SPP2581 Translation Theory in a Spanish<>English Context (Module Co-ordinator)
SPPO3420 Spanish<>English Translation (Module Co-ordinator)
MODL5109M Spanish-English Translation (Module Co-ordinator at MA level)
MODL5001M Methods and Approaches to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Postgraduate Research Supervision
Translation Studies and translation theory
Discourse and text analysis of translation
Cognitive and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Translation and ideology
The translation of Latin American writing and politics
The history of translators in the twentieth century

Current or recent PhD student topics include: a corpus-based analysis of metaphor in US

13
English/Mexican Spanish financial texts; names and cultural references in Chick Lit translated into
Spanish and Italian; the English translations of Naghib Mahfouz's works; Arabic-Malay translation;
the translation of the Harry Potter books into Arabic; reader response to culture-bound references in
Arabic translations of DH Lawrence; the translation of narrative point of view; the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Saudi Arabia and Italy.

Keynote Speech 2

NEW CHALLENGES OF TRANSLATION DIDACTICS

N. Garbovskiy
(Moscow State University)

The lecture deals with the most common issues of translation didactics as a special branch of
pedagogy that studies the process of forming a personality that will have special competencies, mental
capacities and realize the uniqueness of their social status. The lecturer shows that translation
didactics is in high demand in the field of pedagogical studies today due to the fact that mass training
of translators is getting indispensable to the society.

Vita

Dean: Prof. Nikolai K. Garbovsky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Moscow State University

14
소속: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통번역학교
직위: 학장
발표주제: 러시아 통번역연구의 어제와 오늘
주요경력: 러시아어-불어 통역사
모스크바 국립대 통번역학교 학장
CIUTI 부회장
러시아 군사외국어대학교 졸업, 박사
학술지 «Вестник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Серия 22. Теория перевода»
(모스크바 국립대 통번역이론)편집장
UN-모스크바 국립대 통역사양성 프로그램 조정관
프랑스 CEPTET 회원
러-불 국방 및 안보분야 전문용어 실무위원회 회원
약 150 편의 논문 및 저서 발표

Директор Высшей школы перевода (факультета)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 Гарбовский


Никола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Доктор филологических наук, заслуженный профессор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лауреат


Ломоносовской премии за педагогическую деятельность. Специалист в области письменного и
устного перевода в комбинации «русский язык - французский язык»

Основатель первой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ысшей школы перевода в структуре


классиче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5 г.).

Член ученого совета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Председатель ученого


совета Высшей школы перевода (факультета)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Председатель ученого совета Высшей школы перевода (факультета)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Председатель диссертационного совета по защите докторских и кандидатских диссертаций Д


501.002.15. по специальностям 10.02.19 –«Теория языка» и 10.02.20 – «Сравнительно-
историческое, типологическое и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ое языкознание».

Главный редактор журнала «Вестник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Серия 22. Теория перевода».

Координатор программы подготовки переводчиков для лингвистических служб ООН в рамках


меморандума ООН-МГУ

Координатор программы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от МГУ в Постоянном


международном совете университетских институтов подготовки переводчиков (CIUTI).

Член ученого совета Француз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ского колледжа.

Член международной ассоциации исследователей в области теории и практики перевода


(CEPTET, Франция).
15
Член российско-французской рабочей группы по терминологии в области обороны и
безопасности.

Область научных интересов: теория, история и методология перевода, методика преподавания


перевода, специальная терминология, контрастивная лингвистика, общая и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ая
стилистика, теория французского языка, лингводидактика.

Автор более 150 опубликованных научных работ, среди которых:


ü - учебник «Теория перевода» (2004, 2007) - лауреат ежегодного конкурса издателей
России «Книга года» в номинации «Учебник XXI века» (2004 г.);
ü - первый в России «Русско-французский словарь военных терминов» (2008),
подготовленный а изданию совместной российско-французской редакционной
комиссией (О.И.Костикова, Р.Гардер, В. Микулинский);
ü - монографии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ая стилистика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й речи»(1989, 2009),
«Письменная и устная коммуникация: синтаксис и просодия» (1991, в соавторстве),
«Наука о переводе» (2010, в соавторстве);
ü - учебные пособия «Курс устного перевода (французский язык ↔ русский язык)» (2007,
в соавторстве с О.И.Костиковой); «Основы общей теории перевода. Краткий курс
лекций» (2003 в соавторстве); «Французский язык. Тесты» (1995 в соавторстве с
Г.И.Бубновой); «Словарь-минимум военной и военно-политической терминологии»
(1988); «Пособие по переводу (русский язык ↔ французский язык)» (1988 в
соавторстве); «Аннотирование и реферирование французских текстов» (1985);
«Перевод французских официально-деловых текстов» (1982).

Читает лекционные курсы: «Общая теория перевода»; «Методология перевода»; «История


перевода и переводческих учений», «Частная теория перевода (русский язык ↔ французский
язык)»; «Теория и методика устного перевода», «Стилистика французского языка», «Введение
в языкознание».
Руководит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й работой студентов, магистерскими, кандидатскими и
докторскими диссертациями.
Подготовил 12 кандидатов и 2 докторов наук по специальностям «романские языки» и
«сравнительно-историческое, типологическое и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ое языкознание».

Автор опубликованных переводов 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и научных произведений французских


авторов П. Мериме, К. Жака, М. Элиаде.

Родился 7 февраля 1946 года в г. Москве.

Начал трудовую деятельность в 1962 г. Работал кровельщиком, чертежником,


электромонтажником, старшим пионервожатым школы.

В 1963 году окончил вечернюю школу рабочей молодёжи в Москве.

С 1965 по 1991 служил в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ах СССР.

В 1970 году окончил Военный институт иностранных языков по специальности "иностранные


языки" с квалификацией "военный переводчик-референт по французскому языку и военный
переводчик по румынскому языку".

С 1970 по 1975 – практическая переводческая деятельность в области военной и военно-


техн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16
С 1975 по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совмещает педагогическую деятельность с научными
исследованиями в области теории, истории и методологии перевода и с практической
переводческой деятельностью.

С 1991 г. по 2005 г. – заведующий кафедрой французского языка для гуманитарных


факультетов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заместитель декана факультета иностранных языков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по научной работе.

В марте 2005 г. назначен директором-организатором Высшей школы перевода (факультета)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Учёная степень: доктор филологических наук (1989 г.) по специальности 10.02.20 -


сравнительно-историческое, типологическое и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ое языкознание. Тема
диссертацион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ая речь.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о-стилистический
аспект».

Учёное звание: профессор по кафедре французского языка (1991 г.).

Keynote Speech 3

News production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ranslation research

Roberto A. Valdeón
(Universidad de Oviedo)

This talk will start with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role of translation in news production, with
specific references to the birth of journalism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lthough translation was
instrumental in the professionalization of journalism, research into news translation is a very recent
development of TS. Initially scholars delved into the features, norms, peculiarities and ideological
traits of news translation at a local level. In recent years, as TS has become a truly global discipline,
both cooperation among researchers and the application of new research methods have provided
innovative results published in major publications. The talk will discuss some of these publications,
and will make specific reference to the presence of news translation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journals. It will also argue that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re essential in future research, as
translation scholars tend to focus on TS while researchers from other disciplines rarely consider the
work of TS authors.

Vita

17
Roberto A. Valdeón

University of Oviedo, Oviedo, Spain


<valdeon@uniovi.es>

Departamento de Filología Anglogermánica y Francesa.

Campus de Humanidades de El Milán, Univ. of Oviedo

http://www.unioviedo.es/ravg/Home.html

Papers

The 1992 English retranslation of Brevísima relación de la destrucción de las Indias, Translation

Studies

Doña Marina/La Malinche: A Historiographical Approach to the Interpreter/Traitor, Target

Hispanic or Latino: the use of politicized terms for the Hispanic minority in US official documents

and quality news outlets, Language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outledge, 2013

The use of Latin American, Hispanic and Latino in US academic articles, 2000–2010, Terminology

On fictional turns, fictionalizing twists and the invention of the Americas,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Studies, ingentaconnect.com 1/1/2011

Translation in the informational society,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akademiai.com 1/1/2010,

18
Keynote Speech 4

Beyond the Cultural Turn: Post-translation studies and Creative Writing


in the USA

Edwin Gentzler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In "Cities in Translation" (2012) Sherry Simon discusses how translation influences creative writing,
art, architecture, signs, buildings, shops, and museums. Traditional definitions of translation are often
too limited to analyze the vibrant multicultural life in many cities, including new cultural capitals such
as Montreal, Triest, Calcutta, Barcelona, Daka, Manila, and Seoul. In such new and emerging
metropolises, many hybrid forms of communication take place after translation and are not called as
such, but retain a translational component. Post-translation studies, a term proposed by a group of
scholars in Italy working in translation and semiotics, looks at the aftershocks of translation and their
impact on larger cultural institutions and society as a whole. In this talk I argue that translation inheres

19
in many forms of creative writing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ranslation, but also in fiction,
immigrant writing, autobiography, biography, travel writing, and what a call transfiction--writing in
which translation appears as a theme or character in a book.

Vita

Edwin Gentzler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Department of Comparative Literature
gentzler@complit.umass.edu
http://www.umass.edu/complit/people_fac.shtml

Professor and Director of the Translation Center, B.A., Kenyon College, 1973; Ph.D., Vanderbilt,
1990 divides his time between conducting teaching and research in Comparative Literature and
directing the Translation Cente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ranslation theory, literary translation,
and postcolonial theory. He is the author of Translation and Identity in the Americas (London:
Routledge, 2007) and Contemporary Translation Theories (London: Routledge, 1993), reissued in a
revised second edition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2001; Shanghai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ess, 2004). He co-edited (with Maria Tymoczko) the anthology Translation and Power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2), which includes essays by many of the distinguished guests
participating in the Translation Center's International Visitors series.

He serves as co-editor with Susan Bassnett of the "Topics in Translation" Series for Multilingual
Matters, is on the Board of Advisers to the Encyclopedia of Literary Translation by Fitzroy Dearborn
Publishers in England, and is a member of the Advisory Board of several journals, including Cadernos

de Tradução, Across, Metamorphoses, Journal of Chinese Translation Studies, and the Massachusetts

Review. Nominated for a distinguished teaching award for his course "Translation and Postcolonial
Studies," he lectures widely on issues of translation theory and culture, including most recently
addresses in China, Mexico, England, Italy, Austria, Ireland, Spain, Argentina, Peru, and Brazil. He
was the recipient with faculty in the Five College Canadian Studies Program and Concordia
University, Montreal, of a $5,000 International Research Linkage Grant for Research on Citizenship

20
and Identity. The Translation Center recently was awarded the Support Providers Export Achievement
Award by the Pioneer Valley Trade Council. He was also the Project Investigator for a three-year
$255,000 grant from the Trial Court of the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to develop certification
exams and provide training for court interpreters.

Translator’s Education and Evaluation in Singapore: Paradox, Dilemma


and Breakthrough

Susan Xu
(School of Arts and Social Sciences, SIM University)

Bilingualism has created a paradox about translation in Singapore: if you know two languages, you
can translate. As a result, translation as a profession and translator’s education have been
marginalized, despite the fact that Translation Studies has been internationally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and translators have received increasing professional recognition elsewhere.
Indeed, the past decade has seen translator’s profession and education shift to new dimensions thanks
to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21
This presentation will first survey the past and present of the translator’s education in Singapore and
discuss the challenges faced by th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in this specific socio-cultural setting.
Drawing on the recent developments in Translation Studies and the profession, this paper will dwell
upon their impact on the translator’s education and propose measures to train good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well in order to nurture the talent that meets the new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the speaker will discuss the dilemma of bilingual competence arising from the bilingual
education in Singapore and its consequence on translator’s education. She will also put forward
measures that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students’ bilingual competence and contextual
knowledge, the cornerstone of translator’s education.

The institutional movement towards e-learning, which enhances flexibility and accessibility, poses
another challenge to the translators’ educators and drives them to embark on an innovative journey.
The fast evolving translation technology also compels the educators to embrace technology in
curriculum design and pedagogy. Given the applied nature of the disciplin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industrial linkage can never be over-emphasized in translator’s education. The
speaker will thus share her experience in developing the accreditation framework for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Singapore, a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the tertiary institution and
government agency. This serves to demonstrate how the academia, practitioners and industry can
work together to define and calibrate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competence, raise the standard of the
profession and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 in the society.

Vita

Ms. Susan Xu
email: susanxuy@unisim.edu.sg

Ms. Susan Xu Yun is the Head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gramme and a Senior Lecturer in
the School of Arts and Social Sciences, SIM University, Singapore. Since 2002, she has been
involved in conceptualiz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 programmes in Singapore, ranging from the
Certificate and Diploma programmes to the Bachelor’s degre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She
pioneered the project of developing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Professional Translators in Singapore. Her recent publications include
“When Translation Technology Meets Educational Technology: The Way Forward for Teaching
CAT” ,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 , Volume 13, Number 1&2 (2010), 275-282, and “Socio-
cultural Contexts in Translation: A Case Study of a Public Speech in Singapore”, Translation
Quarterly, No. 63, 2012, 68-96. Ms. Xu is currently writing her PhD thesis at th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2
Constructing A Sociology of Translation: A Literary Case Study in China

Kan CHAI
(The Open University of Hong Kong)

It was in 1972 when James Holmes, during the Third International Congress of Applied Linguistics in
Copenhagen, drawing an outline of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suggested the idea of ‘translation
sociology’. Sociological approaches have gradually emerged as a field of interest in translation studies
with integration of the works of prominent social theorists like Pierre Bourdieu, Bruno Latour and
Niklas Luhmann in establish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sociology of translation, and a broad
research domain has been opened up.

2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key notions in sociology of translation, a new but robust area, using the
renowned Chinese literary figure Liang Shiqiu’s Chinese translation of Shakespeare’s works as an
example. Pierre Bourdieu’s sociological theory revolves around the coincidence of two instances in a
given social context: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The external is the fields, which are the sites or
settings agents and their social positions located in. They are the literary field in Liang’s case. The
position of each particular agent in a field is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the specific rules of the
field, the agent’s habitus and his/her capital (Bourdieu, 1984). The internal consists of textual
productions and products, the producing agents and their habitus. Bourdieu emphasises the
inseparability and interdependenc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dimensions. The habitus contributes to
the structuring of fields which in turn structure the habitus.

Focusing on the habitus of translators, this paper draws on the sociological methodologies and
analyses the interwoven relationship between habitus and field in translation studies. Liang’s habitus
is taken as an illustration of the habitus of translation agents who have taken a position in a given field
in a given time, and of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field as the site of reception of the translation.
The interrelation between his acquired dispositions (habitus) and the social milieu in the first few
decades of the 20th century in China (field) is examined.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habitus is
closely related to the dynamics of a field, and translation as production rests on the mode of
socialization embodied in the translators’ habitus.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being brought
together, translation is a display of the result of the struggle between various forces in a social context.

Vita

Kan CHAI
The Open University of Hong Kong
chaikan2011@gmail.com

Kan CHAI received her MA in translation from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She is
teaching English and translation as a programme officer at The Open University of Hong Kong. She is
also a translator of Hong Kong Literature Translation Project, and has participated in and translated
for a number of research projects in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in the US, Singapore, Mainland
China and Hong Kong.

24
Lost in Translation: Australian Professional Terms in Public Korean Texts

Seong-Chul Shin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Australian’ professional terms and concepts used in public texts
translated into Korean, with attention to the socio-educational concerns and professional practices.
Recent observations have witnessed extensive cases of the distortion and mistranslation of various
Australian terms and concepts in the translated version of governmental documents, community
media, training and publicity materials. Currently public texts translated into Korean by individual
translators and the community media are published in various text types without any linguistic and
professional monitoring system. Distortions or mistranslations of terminologies can be caused by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false equivalents and lack of cultural or contextual (rather than linguistic)

25
understanding. To examine this, the research takes an empirical and ‘bottom-up’ action research
approach. A thematic analysis of Australian terms in translated public texts is used to generate a list of
terms under specific topics and themes. The analysis identifies Australian professional terms used in a
number of areas such as immigration,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by examining public texts from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s, the Korean community and socio-educational sources. By using
an error analysis method, the study identifies and describes erroneous terms but more importantly
explains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i.e. contextual) accounts of why it is considered distorted or
inappropriate and what term would be more accurate and/or appropriate. It then offers discussions 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professional practices and socio-educational contexts.

Vita

Dr Seong-Chul Shin
Senior Lecturer (American Associate Prof. level)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Faculty of Arts and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NSW, 2052, Australia
■ Phone: +61 2 9385 3724
■ Email: s.shin@unsw.edu.au

PhD in Linguistics (UNSW); MApplied Linguistics (Macquarie); MEd in KFL (Yonsei)

Overview
Teaches various advanced and professional level Korean language courses including Advanced
Korean A and B, Korean Translation, Korean Interpreting and Professional Korean.

Supervises postgraduate research projects in areas such as: Error analysis,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foreign/second language acquisition, curriculum planning, ethno-sociolinguistic issues .

Conducts research in various L2 topic areas, especially in Korean L2 contexts.

Research Summary
Error analysis and teaching methodology in Korean as a foreign or second language; Curriculum
issues in Korean at both secondary and tertiary levels; sociolinguistic issues with reference to Korean
L2 situations.

26
Publications
Books & Book chapters:
Shin, S-C. (2010).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Carlton
South, Victoria: Education Services Australia. ISBN: 978-1-74200-103-6. SCIS order number:
1441570.

Shin, S-C. (2002). Korean in Australian Schools: Success or Failure, in Selected Papers from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Ahn, H-D. and Kim, N. (eds.). 18 p (423-
441). Print 2002, copyright 2001. Seoul: Gyeong-Jin Publishing Co. ISBN 89-89191-27-0.

Shin, S-C.(1998). Some Restrictions on Word-Relationships in Korean, in Perspectives on Korea,


Lee, S-O & Park, D-S (eds.). 9 p (402-410). 1998. Sydney: Wild Peony Book Publishers. ISBN 0-
9586526-6-X

Refereed Journal Articles:


Shin, S-C. (2012). “Linking Australian Secondary Schools with Tertiary Language Programs: Current
Practices and Feasibility for Korea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7, 28p (195-222).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1598-8201. ISSN: 15988201.

Shin, S-C. (2012). “KSL Learners’ Perceptions on Text Types: Understanding, Preferences and
Necessity”,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3-4: 23p (471-493).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SN: 12256137.

Shin, S-C. (2011). "Exploring the linkage betwee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an
Australian experienc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6, 25p (113-137).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ISSN: 1598-8201.

Shin, S-C. (2011). "Cross-Cultural Factors Affecting Korean Students' Study at Australian
Universities", Korean Studies in Shift - PACKS 2010 Proceedings. 29 p (113-141),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Asia Institute. ISBN: 978-0-473-18349-3.

Shin, S-C. (2010). “Strategic Direction and Tasks for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7-2. 27p (93-119).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SN: 1738-2793.

Shin, S-C. (2010). "Grammatical Errors in Chinese KFL Learners' Compositions and Teaching
Implication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5, 26p (75-100),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ISSN: 1598-8201.

Shin, S-C. (2009).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Current State, Issues and
Strategie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4. 53p (175-225).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ISSN: 1598-8201.

Shin, S-C. (2009). "Language Instructors' Use of Learners' L1 and L2 in Classroom: Perceptions by
Students and Teachers of Korean".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 24. 31p (165-195).
2009.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ISSN: 1227-8823.

Shin, S-C. (2009). “Students' Motivation,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Style Preferences: A
Survey on Australian College Students of Korean”. The Language and Culture 5-2. 31p (1-31).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ociety. ISSN: 1738-3641.

Shin, S-C. (2008). “Language Use and Maintenance in Korean Migrant Children in Sydney”,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3. 30 p (139-168). 2008. KLI Institute of Language

27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ISSN: 1598-8201.

Shin, S-C. (2008). “Locative Substitution Errors by English L1-KFL Learners”, The Language and
Culture 4-1. 21 p (23-43). 2008.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ociety. ISSN: 1738-
3641.

Shin, S-C. (2007). "Lexical Errors Caused by Semantic Similarity in Korea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2. 30 p (141-170). 2007.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ISSN: 1598-8201.

Shin, S-C. (2007). "Types and Patterns of English L1 Students' Misspellings in Korean",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8-3. 24 p (99-122). 2007.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SN 1225-6137.

Shin, S-C. (2006). "Substitution of Nominative particles by accusative particles in KFL". International
Review of Korean Studies (IROKS), 3-1. 32 p (59-90). 2006.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ISSN 1449-7395.

Shin, S-C. (2006). “Acceptability of some Korean lexical items judged by Korean L1 and L2
speaker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1, 18 p (153-171). 2006.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ISSN1598-8201.

Shin, S-C. (2006). “Australasian Strategies for an Advanc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Local Representatives. 11 p (99-109). December, 2006. Korea Foundation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hin, S-C. and Baik, G (2002). “Learning to Teach: Needs Analysis for a KFL Teacher Education
Program”,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27, 34 p (169-203). 2002.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ISSN 1598-8201.

Shin, S-C. (2002). “Australian Students’ Lexical Errors in Korean: Type, Frequency and Caus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3-1, 32 p (307-338). June 2002.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SSN 1225-6137.

Shin, S-C. (2001). “An Error Analysis: Orthographic Errors produced by Australian KFL learner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25-26, 26 p (361-387). December 2001. KLI Institut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Shin, S-C. (2001). '"Error analysis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rthographic errors"', in Asia-
Pacific Applied Linguistics: the Next 25 years, eds. ALAA 2001 Conference, Canberra, 2001,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Australia.

Conference Papers:
Shin, S-C. (2012). "KFL Learners' Text-Type Preferences", presented at the 22nd IAKLE
International Conference, 10-11 August 2012, Korea University, Seoul.

Shin, S-C. (2011). "Linking Secondary Schools with Tertiary Language Programs: Current Practices
and Feasibility for Korean", presented at the 7th KSAA Biennial Conference, 16-18 November 2011,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Shin, S-C. (2010). “Cross-Cultural Factors Affecting Korean Students’ Study at Australian

28
Universities”, presented at the 2010 Pacific-Asia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PACKS), 24-26
November 2010, University of Auckland, Auckland.

Shin, S-C. (2010). “Strategic Direction for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sented at the 5th World Congress on Korean Studies, 25-28 October 2010, Chinese Culture
University, Taiwan.

Shin, S-C. (2010). "Grammatical Errors in Chinese KFL Learners' Compositions and Teaching
Implications", in the Proceedings of the 20th IAKLE Conference, pp 250-265. Seoul, 7-8 August
2010.

Shin, S-C. (2009).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 keynote speech, in Shin G-
H, Suh C-S and Ko, S. (eds) the Proceedings of the UNSW National Strategic Conference 2009 -
Korean Language and Studies Education in Australia. pp 37-52. KAREC,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ISBN: 978-0-7334-2841-8.

Shin, S-C (2009). "Joint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Programs and Resource Materials", in
the Proceedings of the 2009 World Congress of Korean Language Educators. 16 p (169-184).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7-9 October
2008, Seoul Olympic Parktel.

Shin, S-C (2009). "Use of Learners' L1 and L2 in Teacher Education: A Survey on Perceptions", in
the Proceedings of the 19th IAKL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10 p
(319-328). 8-9 August 2009, University of Seoul.

Shin, S-C (2009). "Students' Motivation,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Style Preferences: A
Survey on Australian College of Students of Korean", in D-S Park (ed.) Global Korea: Old and New,
Proceedings of the Sixth KSAA Biennial Conference, 25 p (401-425). July 9-10 2009, University of
Sydney. ISBN 978-0-0986679-0-5.

Shin, S-C (2008). “Language Maintenance in Korean Migrant Children in Sydney”, in the
Proceedings of the 9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21 p (40-60). 25-27 November
2008, VNU, Hanoi.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hin, S-C (2008). “Korean for Specific Purposes (KSP) in Australian Curricula: Types,
Characteristics and Key Issues”, in the Proceedings of the 18th IAKLE International Conference, 6p
(309-314). University of Seoul, Seoul, August 9-10, 2008.

Shin, S-C (2003). "High Frequency Grammatical Errors in KFL Learners Compositions", in the
Proceedings of the 13th IAKLE International Conference. 9 p (175-183). August 2003.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hin, S-C (2002). "Korean In NSW: Is It Sinking or Diving?” in The Fu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 An Ecological Perspective, Shin, G-H and Suh, C-S (eds.), p 7 (24-30).
September 2002.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Sydney. September 2002. ISBN 0 7334 2021 4.

Shin, S-C (2000). "Policies, Curriculum and Implementation: Korean in Australian Schools", in the
Proceedings of the 10th IAKLE Conference, Yonsei Univ, Seoul, August 2000.

Shin, S-C (1999). "A Response to: 'Whither Teaching of Korean in Australasia in the Next Decade on:
In Comparison with American Experience' by Ho-Min Sohn", a paper presented at the 1st Kore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asia (KSAA) Conferenc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eptember
1999.

29
Monograph/Other Publications:
Shin, S-C (2008). "How to advance Korean programs in Australian schools", Korea Focus (online)
December 2008 Edition, Korea Foundation.

Shin, S-C (2003). “Errors in Learner Corpu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KFL Instruction”, in
KAREC Discussion Papers 4-10. 11 p (1-11). 2003. ISBN 0 7334 2063 X.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Sydney.

Shin, S-C and Baik, G. (2002). Learning to Teach: Needs Analysis for a KFL Teacher Training
Program – A Survey Study, KAREC Monograph No1. 36 p (1-36), 2002. ISBN 0 7334 1917 8,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Sydney.

Shin, S-C (2002). "Error Analysis: Lexical Errors Produced by Australian KFL Learners", in KAREC
Discussion Papers 3-3. 25 p (1-25). 2002. ISBN 0 7334 1898 8.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Sydney.

Shin, S-C (2001). “Australian Students' Orthographic Errors in Korean: Type, Pattern and Cause", in
KAREC Discussion Papers 2-4. , 18 (1-17), 2001. ISBN 0 7334 1853 8.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Sydney.

Shin, S-C (2000).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Success and Failure", in
KAREC Discussion Papers 1-1. 22 p (1-22). 2000. ISBN 0 7334 1709 4.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Sydney.

Textbooks/Course books:
Shin, S-C. (2011 online pilot edition). Learning to Teach Korean - A quick reference to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cultural practices. Korea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179 p. Online: http:www.ceklser.org/

Shin, S-C. (2003). (with G. Baik). Pocket Korean Dictionary. 103p. Singapore: Periplus Editions.
2003. ISBN Number-0-7946-0047-6.

Shin, S-C. (1998). (with H. Chang and S. Lee). Ancillary Cultural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236 p. National Korean Studies Centre, Melbourne an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Employment, Training and Youth Affairs, Canberra, 1998 (Pilot Edition).

Shin, S-C. (1995). Korean for Secondary Schools Book I. 139 p. Sydney: NSW Board of Studies
(Funded by the Australian Federal Department of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1995. ISBN
0-7310-6318-X.

Shin, S-C. (1995). Korean for Secondary Schools Book II. 107 p. Sydney: NSW Board of Studies
(Funded by the Australian Federal Department of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1995. ISBN
0-7310-6319-8.

Shin, S-C. (1995). Korean for Secondary Schools Book III. 126 p. Sydney: NSW Board of Studies
(Funded by the Australian Federal Department of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1995. ISBN
0-7310-6320-1.

Shin, S-C. (1995). Korean for Secondary Schools Book IV. 135 p. Sydney: NSW Board of Studies
(Funded by the Australian Federal Department of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1995. ISBN
0-7310-6321-X

30
Affiliations and Memberships
*Kore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asia (KSAA) Secretary (2011-13)
*Australian Research Council (ARC) assessor (2010 - );
*2010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biographee;
*Faculty of Arts and Social Sciences Higher Degree Committee (2010 - );
Academic and Professional Memberships/Board:
*The Society of Korean Semantics Editorial Board (2009-11);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AKLE), Journal Editorial Board (2009-
13); Public Relations Board (2007-09), Editing Board (2005-07) and Publication Board (2001-03);
*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rnational Relations Board (2011-13),
Public Relations Board (2007-11);
*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Australia (ALAA);
*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ICKL);
* Kore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asia (KSAA);
* National Accreditation Authority for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AATI, Australia) Translator.

Other Information
Grants, Fellowship and Award include:
*FASS Research grant (2013), Lost in Translation, FASS UNSW.
*NALSSP Strategic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Fund Grant (2010-11), Australian Government
DEEWR and UNSW Korea Research Institute.
*NALSSP School Languages Program Project Grant - Korean (2009-10), Australian Government
DEEWR and Asia Education Foundation.
*Korea Foundation Field Research Fellowship Grant (2009), Korea Foundation.
*Academy of Korean Studies KSIG Visiting Scholars Fellowship Grant (2008-09), Academy of
Korean Studies.
*Research Promotion Grant (2008, 2009), Faculty of Arts and Social Sciences, UNSW.
*Korea Foundation Field Research Fellowship Grant (2002), Korea Foundation.
*KAREC Research Grant (2000-01),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UMAP-UNSW Project Grant (1998-99), Australian Government DEETYA.
*Curriculum Development Consortium Grant (1997-98), Australian Government DEET.
*Australian Postgraduate Award (1992), Griffith University.
*Staff Development Grant (1992), Queensland State Government and Griffith University.
Translation and reification of cities:Focus on Itaewon, Korea

Hunam YUN

(Hongik University)

Cities are open texts. They are perpetually transformed by their dynamic relationship with history and
the people in them. They are “rearticulated, transformed from a singular structure into a multilateral
palimpsest that can be ‘written’ up and over, again and again,” with time. Therefore, the boundaries of
cities’ identities continuously expand with this dynamic movement. There can be no single, fixed, or
complete description of a city, which is why cities require continuous translation. However, cities are

31
commonly represented as a single, fixed, and complete imag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rough
selective appropriation, and people consume that image.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process and
ideological bias in such selective appropriation with a focus on Itaewon, Korea. Historically, Itaewon
has always been a site of different cultural encounters reflecting the historical twists and turns of
Kore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Japanese and
Chinese soldiers stayed in the a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army was stationed there;
after liberation, the American army was stationed there. Now, Muslims are flocking to the area, and it
is becoming a city of immigrants. Through these dynamic historical moments, Itaewon has been the
site of cultural amalgamation and conflict, always retaining traces of the past. However, the images of
Itaewon created by various media are ahistorical and fixed; it has been reified as a commodity to be
consumed through selective appropriation, and its dynamic history is ignored. The most common of
these images are those of shopping centers and the red light district, images that have been reinforced
by reproduction through various media and consumption by various audienc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cess of this reification of Itaewon and its underlying ideology.

Translating speakability in children’s literature

SUNG, Seung-eu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peakability is a key element for children’s literature translation. Read-aloud to children, children’s
book translations with good speakability are often preferred. However, speakability or singability, as
Oittinen(2006: 9) calls it, is sometimes deemed a vague and abstract term, hence never easy to prove
in actual translations. Moreover,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this to date, despite its
recognition as an important element in children’s literature translation. Translating speakability seems
to get more mired when combined with language play, as is often the case in children’s book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ims to observe how speakability is realized in children’s book
translations. Different target texts(TTs0 of the same source texts(STs) are analyzed so as to examine
32
how translators realize speakability in their translations. The TTs of the same STs are published at
different times, published after the earlier ones were out of print. The results shows that translators
adopt different speakability patterns, and that recent versions allow more shifts in meaning in order to
realize speakability.

Email: michsung@hotmail.com

Explaining Explicitation Using Informativity Downgrading

Peter Lee

(Kookmin University)

In “Explaining Explicitation,” Pym 1 lists various concepts, such as “prudence,” “Gricean


cooperation” and “relevance theory,” as a way of bringing them under his idea of explicitation as risk-

1
Pym, Anthony (2005). “Explaining Explicitation,” in Krisztina Karoly and Ágata Fóris (eds.) New Trends in

33
management. When he refers to those pragmatic concepts to describe the cognitive process involved
in explicitation, however, he focuses on intentions and ignores the actual workings of the process that
realize those intentions. The process itself is left a black box. To provide a detailed picture of the
workings of that cognitive process, at least in pragmatic explicitation, I propose that what is needed is
to utilize the concept of informativity from text linguistics. My presentation, therefore, will explore
how informativity as a cognitive process, especially the concept of informativity downgrading as
defined by Beaugrande and Dressler,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task of offering a detailed
and insightful explanation of the inner workings of pragmatic explicitation, mainly using examples
from the English translation of Shin Kyung-Sook’s novel Please Look After Mom but also examples
from other literary translations when deemed appropriate.

One way to clarify how explicitation and informativity can be connected is to ask why explicitation is
viewed as a translation strategy. When a translator deliberately translates in such way as to make a
text more explicit, what is the purpose for that? The intuitive answer is that it allows target readers to
have an easier time understanding or appreciating the text. Put another way, the translator feels there
is something in the ST that could cause confusion or hinder understanding in the target readers and is
pragmatically motivated to insert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TT in order to help them. Here, dealing
with the intentional aspects of that translator’s cognitive process is the realm of pragmatics, which
leads us to Grice’s maxims or to Sperber and Wilson’s relevance theory, and perhaps even to Pym’s
idea of risk management. The actual process of the translator’s intention or strategy being realized,
however, can best be described as a type of informativity downgrading, which is the realm of text
linguistics. This is what I will focus on explaining. If time allows, I will also explore whether this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vity and explicitation is a one-to-one or one-to-many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Vita

Peter Lee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t Kookmin
University. He is also currently in the PhD program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e was an editor for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G20 Summit and has worked for many years as a translator, including for the US Embassy in
Seoul, and as director for A4 Translation Center in Yonsei University. He is a winner of the Korea
Times Modern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ward for poetry.

Translation Studies. In Honour of Kinga Klaudy. Budapest: Akadémia Kiadó. 29-43.

34
A Study on the Culturemes in Fan Subtitling

Seung-Jae Lee
(Kyung Hee University)

This paper is to study the translation of culturemes shown in the Korean-English fan subtitling. As a
study framework for translating culturemes, this paper will take Hofstede(1990)’s four measuring
units originally proposed for analyzi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business, rather than
Aixela’s (1996) culture-specific items. Four units of Hofstede measuring the cultural distance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are generally described as power distance, individuality, masculinity, and
avoidance of uncertainty. These four units had been adopted as culturemes for transferring culture-
specific items in Lee (2012). With the framework of culturemes of measuring units, this study will

35
conduct an analysis of the fan-subtitling. The fan-subtitling of Korean-to English on [Boys over
Flowers] and [That winter, the wind blows] will be reviewed based on the power distance,
individuality, masculinity, and avoidance of uncertainty. Consequently this paper will show the
phenomenon of translating culturemes in Korean dramas.

Issues and challenges facing Arabic translation studies in the 21st Century

Muhammad Y Gamal
(The University of Canberra)

Translation in the Arab world has a long history dating back to the 9 th century. During the European
Dark Ages, Arabic was the only language used for transferring knowledge. Furthermore, the modern
Arab world owes its rise to the translation movement in Cairo in the first half of the 19 th century.

36
There is no denying that translation is the driving force for progress. However, the state of Translation
Studies in Arabic today is complex, confused and chaotic.
Translation Studies at most Arab universities lack imagination and innovation. Most academics are
engrossed in basic teaching rather than research and creative ideas. Students are mere numbers in the
academic manufacturing machine and likewise graduates take a much longer time to become full-
fledged professionals. In the absence of a professional body, an academic conference or a national
policy the professional translation context is non-existent.
Yet against this unimpressive picture there are fantastic initiatives: a generous state-sponsored
translation program in Abu Dhabi, an international translation Award in Saudi Arabia, a conference
organised in Lebanon in addition to a myriad of local but short-lived projects in almost every Arab
capital city.
The paper looks at the translation scene in the Arab world and argues that it needs a comprehensive
check-up. In other words, academia must listen and learn from the market. This is the crux of the
current research: translation studies at Arab universities need to shed the antiquated image and to drop
the old topics of literary, religious and history of translation that have been a staple diet at every
event. The paper will argue that Arabic Translation Studies need to join the digital age and pay
attention to: audiovisual translation, localisation, online content industry and the image of the Arab
world abroad.

Vita
Muhammad Y Gamal
Adjunct Associate Professor
Arabic Translation Studies
Faculty of Government, Business and Law
The University of Canberra

Muhammad Y Gamal is a practising Arabic translator/subtitler/ interpreter. He is a diplomatic


interpreter working for the Australian Federal Government as well as the United Nations. Gamal is an
adjunct associate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anberra. He taught Arabic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at several universities in Australia. His major research areas are: Police interpreting,
Forensic Linguistics, Audiovisual translation, the online content industry and Omar Sharif
filmography

The Use of China English and Understanding of China

Chunbai Zhang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37
This paper discusses the increasing use of China English in Chinese media and English publications
published in the mainland of China today. It purports to prove… It is first pointed out that many
features of China English can actually be found in the English translations of Chinese classics by
Christian missionaries to China in the 19th century as well as by great translators such as Pearl Buck
and Lin Yutang. The recognition of it as a variety of English, however, is a fairly recent matter. In the
past decade or two, an increasing amount of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China
English and Chinese English or Chinglish, a kind of substandard or unacceptable English, and the
justification of its use for the purpose of disseminating Chinese culture.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this variety of should perhaps be used in the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including, for example,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ong Lou Meng, because, with the rapid process of globalization and
increasing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there is a natural curiosity to
know China as she is and, on the part of China herself, an equally strong desire to be understood, for
much of the misunderstanding about China in the West seems to have come from “mistranslations” of
Chinese culture. It is also suggested that for translations of Chinese concepts, cultural and political
alike, to be viable, one has to take extra care where certain sensitive areas are involved, for, as it is
pointed out, the official translations of certain words, particularly political terms such as xuanchuan
(officially translated as “propaganda” in some formal contexts), seem to invite misunderstanding
themselves. It is finally suggested that some efforts be made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China in
the West, such as the compilation of dictionaries of China English.

Vita

Chunbai ZHANG is a professor of English, a translator and translation studies scholar. He has been
teaching English and translation at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since 1984. He has translated over
300 films and episodes of TV dramas from English into Chinese, including The Street Car Named
Desire, Anna Kalinina, Hunter and Growing Pains. He has published about three dozens of articles
including “The Translating of Film Dialogues in Mainland China” (META 2004:1) and five book
reviews in The Perspective (2000, 2003, 2004), as well as a number of Chinese articles on literary
translation, Chinese thinking on translation and the teaching of translation. He has also published two
textbooks on translation and over two dozens of English textbooks. He was dean of the School of
Foreign Languages of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for 11 years (1997-2001, 2004-2011).

38
The Translation of Political News into Arabic : Sociolinguistics and
Cultural Considerations

39
Kais A. Kadhim, Ph.D
(University of Malaya, Malaysia)
Sheren Khalid Abdul Razaq, M.A
(University of Malaya, Malaysia)

Newmark defined culture as "the way of life and its manifestations that are peculiar to a community
that uses a particular language as its means of express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quality of the translated message from English political news and how cultural aspect plays a crucial
role to sustain or distort the quality of the message. Our data are taken from online BBC news
and their Arabic version . It aims to find the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in: What are the cultural
and sociolinguistics elements that control the English-Arabic political news translation?
Towards that end, a comparative methodology of the ST and TT will be adopted by paying attention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content of the message in the ST and their
corresponding message in the TT. In addition, Hatim (1997) and Venuti (1998) ideas will be used.
The findings have shown that cultural words do play important roles in communication among nations
an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Hatim’s ideas on artefacts, socio-facts and mantifacts have helped
the analysis; that is, crea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anslating processes in the Arabic
translation of English news across different cultures and nations. A descriptive analytical interpretive
approach will be taken.
Key words: culture, sociolinguistics, translation, message, and political news

Vita

Kais A. Kadhim, Ph.D


Senior Lecturer
kaisamir2009@yahoo.com

Sheren Khalid Abdul Razaq, M.A


Department of English/
Faculty of Language and Linguistics
Senior Lecturer
sherenalhiti@yahoo.com

Reframing Narratives in Translation


Translated CNN News Articles on "Arab Spring"

40
Kim, Soon Mi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ranslation is not an innocent and transparent process taking place between two parties with
equal power and common interests. In most cases, there are ideological gap, conflict of interests, and
differences in value system. Because narratives are the best means to understand and make sense of
the social world around us, by reframing the narratives in the text, translators adjust the ideological
gap or differences in values and interests in translation. Drawing on the narrative and framing theories
proposed by social scientists, this paper sets out to explore how narratives are reframed in target texts.
For the analysis of texts, 34 sets of CNN news article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 on the issue
of Arab Spring, the revolutionary movements which have swept across the Arab world since the start
of 2011, are chosen. It is an ideologically charged topic where American diplomatic and political
interes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nation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Conservative Arab policy centered around the American interests, close diplomatic ties with Israel
and autocratic Arab nations such as Egypt and Saudi Arabia, importance of oil reserves in this region
put the US in quite a difficult situation when pro-American autocratic leaders such as Mubarak and
Gaddafi were ousted by the civil revolution. Thus, it was assumed that the narratives in the source text
would be changed in the target text through reframing.
The analysis found three new frames appeared in the target text: "dictators", "bloody
crackdown", and "pro-democracy movement." In the source text, the original frames were "longtime
Arab leaders", "clash between the police and protestors", and "uprising." By adding a new frame or
shifting an existing frame with a new one, translators "suppress, accentuate, or elaborate particular
aspects in a narrative encoded in the source text"(Baker 2006: 114). The main narrative in the source
text was "Arab people protested against their longtime rulers. There was a clash between riot police
and protesters." Through reframing process it was changed into "Arab people made pro-democratic
movements against dictators. Riot police and soldiers' bloody crackdown on protestors triggered more
violence." This kind of narrative change in translation is reflecting the different interests and
perspectiv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Quotations in Chinese News Trans-editing:


Reality and Perception

41
Qiuhong HUANG
(University of Macau)

The last three decades have seen numerous studies on ideological manipulations in news
discourse through the use of quotations. Researches have so far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of
quotation patterns and contents reflect the ideologies of the news institutions. Studies which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otations and power relations in society, such as relations on
race, gender and social classes, support the notion that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gender
inequality, racism, elite ‘in-groups’ and so on is embedded in the structure of news reporting. When
foreign news is first translated and reported to a domestic audience, a similar ideological embedding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trans-editing process. Against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paper
investigates how quotations are used in news trans-editing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how
readers’ perceptions are compared and contrasted with realities, with a specific reference to Chinese
trans-edited texts of the coverage of the Chinese athlete Ye Shiwen’s victories in the 2012 London
Olympics by the Reference News (RN, the largest circulated newspaper daily published by the state
Xinhua news agency of China.
I argue that in relation to the above-mentioned trans-edited texts, the choices of quotations and
their sources, contents and patterns are by no means objective or neutral and that the news trans-
editors presented the news with considerable ideological bias. For example, the RN directly copied a
report by BBC Chinese but made major changes of wording, such as changing the wording from “中
国运动员使用违禁药物是当局的政策” into “中国运动员使用违禁药物”, presumably in order to
fit in the ideological embedding. My findings are in agreement with Chen (2009)’s analysis of trans-
edited Chinese news texts, where she found that the overall contents of quotations in the three target
newspapers are not objective but rather partisan, for they selectively used those quotation contents
congruent with their ideological viewpoints and deleted contents incompatible with their ideologies.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paper could further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ideologies and
news discourse in China where trans-editing has played a major role in news reporting. Just the
Reference News alone trans-edits news articles from most of the countries in the world and was a
main source of news during the London Olympics. As a result, how direct quotations are used has a
vivid and dramatic effect on the target newspaper reporting. More studies are needed to give more
insights on issues like text precision and the choice of quotation contents congruent with its
ideological viewpoint.

Vita

42
Qiuhong HUANG received her MA in Advanced Translation from Macquarie University, Australia.
After graduation, she taught English courses and translation/interpreting courses at tertiary level in the
mainland and Macau in the past 5 years. She is currently a PhD student at University of Macau. Her
main research interest is in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particularly in media translation, language
ideologies and retranslation.

DUB LOCALISATION AND VOICE CHARACTER IN KOREA

43
Hyunju Ryu
(GSTI, Busan Univ. Foreign Studies)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dub localization where films in English are transposed into Korean
language versions. With the world ever globalised in many ways, localization plays a key role in
providing local people with better accessibility to globalised contents. One of the most popular cross-
border contents are movies.
In a research field of localization, the main issue has been focused on computer tools such as software
written in English while dubbing has been relatively marginalized in the subject. Software is full of
computer jargons yet most of the terminology is literal set-terms, which explains why this kind of
localization is essentially performed by localization software including Trados. On the contrary, dub
localization texts are concerned with non literal tropes which are heavily loaded with culture-specific
languages. This is more prevalent in orality(dubs) than literacy(subtitles) targeting young viewers
because voices can grab their attention more powerfully than texts in film translation. Animation
genre is a good case in point. Given the situation that characters come to life with voices more vividly
in film narratives, the dubbed characters can give to audience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voice castings. This is more true in appreciation of fictional narratives as the recipients are deeply
immersed in what they see and hear with “suspension of disbelief.”
The present paper will address voiced character issues surrounding a recent controversy of extreme
localization in Korea triggered by marketing strategies. At the center of the argument is increasing
dependence on Korean “star powers.” As a result voice-over stars’ characters often replace or
overshadow those in the original films. This multivocality poses many questions to think about
literally with respect to “voices” : Where is locality in dub localization?; Who/what are characters in
film narratives and dubbed products?; How specific is culture in the localization? to name a few.

Vita

Hyunju Ryu is a professor of Korean-English major at GSTI/BUFS, and has long been performing
specialized translations in a variety of texts for technical, medical, legal and other industrial fields
along with art, literature and TV programs(AVT). She has Ph. D in English literature criticism and a
master degree in English novels at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and MATranstion &
Interpretation at Monter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USA. In addition to her active
professional practices in translation & interpretation, Ryu has been writing prolific research papers.
Her publications include Hypertext Literature, Computer Games and Narratives, and
Cybertext(translation), Interpretation Skills: Acquisition & Training, and many other academic
papers such as “(Comparative) Literature and Rewriting”, “Defamiliarization and Foreignization in
Critical Discourses”, “Translatorese and Translationese”, “Death of Literature and Media

44
Diversification”, “Korean AVT from Roman Jakobson's Translation Perspectives”, “Literature
Translation Criticism in Pride & Prejudice”. Ryu's interests of research lie in translation studies,
narratives & media and intercultural studies.

45
Some Pragmatic Issues on Japanese Comic Translation into English: A
Relevance-Theoretic Account

Isao Higashimori
(Ryukoku University)

In this paper, I argue that many Japanese comic cartoons are translated into English, but some of them

seem to be unsuccessful from the pragmatic and cultural points of view. I would like to compare some

Japanese comics and their translated versions to find out some cognitive or pragmatic differences

between them. I will use “The Ghost Hunt”, illustrated by Inada Shiho, written by Ono Fuyumi as one

of the textbooks. Explicatures and implicatures and many types of interpretive resemblances in

translation studies are exemplified in this talk.

1.The addressing forms like “Sempai”(Senior) in Japanese

(1) Soreto sempai ga yoru ne kyukosha no michi wo toottara p.6 それと先輩が夜ね旧校舎側の道


を通ったら

English Translation: And on one evening, my sempai was passing by the old building and…

In Japanese culture, speaking to an upper grader without using the honorific “Sempai”
is regarded as a very rude attitude In English Speaking culture, they normally call
their friends and family members by their first names, not by their social rank and title

2.Japanese proverbs and their counterparts in English

(2)“ishibashi o tataite wataru”P.48 石橋を叩いて渡るタイプなんだ

Literal Translation: to tap on the stone bridge before crossing to make sure it doesn’t break
English Translation: “You’re the type of a person who looks before he leaps.” )

Many Japanese proverbs are cited in this cartoon. In original comic, Mai said 「石橋を叩いて渡るタイ
プなんだー」to Kazuya. ”Ishibashi o tataite wataru” is such a famous proverb in Japan that every
Japanese knows its true meaning, that is, to tap on the stone bridge before crossing to make sure it
doesn’t break, so it represents an extremely careful way. However non-Japanese people have some

46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is proverb only by Literal translation. In English translation, the
translator puts otherwise, “You’re the type of a person who looks before he leaps.”
REFERENCES:
Inada, Shiho., and Fuyumi Ono. The Ghost Hunt. Tokyo: Kodansha, 1998.
Inada, Shiho., and Fuyumi Ono. Ghost Hunt. London: Tanoshimi, 2006.

Sperber , Dan and Deirdre Wilson (1986、1995)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Oxford: Blackwell.

Vita

My name is Isao Higashimori, Professor of Ryukoku Univeristy,


kyoto, Japan.After graduating from Osaka University(Ph.D course), I am
now teaching English linguistics at Ryukoku University. My main
research areas are Pragmatics, Jokes , Translation studies and
English-Japanese dictionary making.
1.Isao Higashimori and Deirdre Wilson(1996) 'Questions on RELEVANCE'
University College London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8: 112-124.
2.'Even,sae,sura,mo as constraints on contextual assumptions.'
(1997 In Wolf-Andreas Liebert, Gisela Redeker, and Linda Waugh(eds.)(1997)
Discourse and Perspective in Cognitive Linguistics.pp.37-60.
Amsterdam: John Benjamins.
3.. ‘Metaphorical understanding in relevance theory: from loan concept
metaphor to
TIME IS SPACE metaphor.’ (Barbara Lewandowska-Tomaszczyk and Marcel
Thelen (eds.) Translation and Meaning Part 6, Universitaire Pers
Maastricht,
Maastricht, 2002,pp.261-269)
4. But/Yet/However in English Jokes: A Relevance-Theoretic Account
Marqueurs discursifs et subjectivité Edited By Sylvie HANCIL (2011)
Publications des Universites de Rouen et du Havre, pp.209-224.
ISBN : 978-2-87775-519-1
5..Understanding Political Jokes: Are There Any Rheotrical and

47
Cognitive Characteristics?Proceedings: Selected Papers on
CD-Rom(Rhetoric in Society, 2009.1.22 University of
Leiden)ISB-Number/EAN: 978-90-9024676-5
6. Jokes and Metarepresentations: Definition Jokes and Metalinguistic Jokes
2009 LACUS FORUM CD-ROM

7.『関連性理論の新展開:認知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2003 研究社(共著:吉村あき子)

8.『英語ジョークと関連性理論』 2011 開拓社

9.『プラクテイカル・ジーニアス英和辞典』2004.11.1 大修館書店(編集主幹:東森勲、小西友七)

48
Implications of World Englishes on Interpreting Performance

Jiun Huh
(Ewha Womans University)

English is used widely around the world and is no longer owned by native speakers alone. Non-native
English speakers are using and learning English as their second language(L2) or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However English is not a monolith standard variety. There are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es around the world, and each variety is influenced by local language and culture. The term
‘World Englishes’ refer to the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es used in different regions around the
world.
In fact, the spread of English is affect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English-Korean interpreters. As
there are increasing use of World Englishes by speakers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features of
different varieties of World Englishes may impose difficulties on interpreters’ performance. This is
confirmed by AIIC’s ‘Workload Study’ and Albl-Mikasa’s research on ELF(English as Lingua
Franca)’s impact on interpreting professions. However, research on World Englishes or ELF’s impact
on interpreting performance is still at a nascent stage and thus requires an in-depth inquiry.
This paper analyz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terpreters with English and Korean as their
working language, and attempts to find the features of different English varieties causing difficulties
for them. The study compares American English, Indian English and Chinese English as they are
deemed representative varieties of Inner Circle, Outer Circle, and Expanding Circle – a classification
made by Kachru(1985).
This paper focuses on the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features of each variety as phonological
intelligibility consists the first step in the listening phase in the Interpreting process. The paper will
find the link between phonological features of different varieties,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terpreters, and the output of interpreting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number of interpreters were asked to interpret from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speakers’ speech into Korean.

Vita

Name: Jiun Huh


Ph.D. Candidate,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Part-time lecturer,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07 ~ Present).
Conference Interpreter (2003 ~ Present).

49
jiun_h@naver.com, 010-3127-2512
Intertextuality in interpreter-mediated discourse in legal contexts: A case
study of police interpreting in South Korea

Jieun Lee
(Ewha Womans University)

In legal cases which involve witnesse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interpret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preting statements made during police interviews and
courtroom examinations. Interpreted evidence and statements provided through interpreters, which are
often multi-voiced and heteroglossic discourse, have complex intertextuality. In the cases where
interpreters lack professional attributes such as interpreting competence and impartiality, it is very
likely that the interpreted evidence and statements will not be a faithful reproduction of original
utterances in foreign languages. If attention is not paid to possible alterations by interpreters to the
original utterances of the witness and duty of care is lacking in the procedure of obtaining statement
from witnesses through such interpreters, the official legal record kept in the host country’s official
language may not be an accurate one.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of a video-recorded
interpreter-mediated police interview of a Russian-speaking minor whose half-sister died on the
previous night.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bilingual interview involving a
Russian interpreter at a police station, the official witness statement, namely the police record of the
interview in Korean, and the trial court’s judgment.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interpreter’s
deviations from the norms in legal interpreting and the police officers’ lack of care in witness
statement through interpreters influenced the fact-finding process during the early stages of police
investigation and eventually the trial of a Russian speaking defendant.

50
Interpreting self-efficacy (ISE) scale for undergraduate students
Construction and preliminary validation in the context of Korea

Sang-Bin Lee
(HUFS)

Research findings from diverse professional domains of activity have shown that self-efficacy or
"beliefs in one's capabilities to organize and execute the courses of action required to produce given
attainments" (Bandura 1997:3) is a good predictor of how one feels and behaves and what one can
accomplish. For example, students with a strong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are willing to
undertake challenging tasks (Bandura and Schunk 1981), display lower anxiety levels (Pintrich and de
Groot 1990), attain higher intellectual achievement (Bouffard-Bouchard 1990), and self-regulate
better than students with lower levels of self-efficacy (Zimmerman et al. 1992). Absent from this
body of research are studies on the Interpreting Self-Efficacy (ISE), a person's belief about their
interpreting competence. Informed by a central mechanism grounded in Bandura's (1986, 1997) social
cognitive theory of human functioning,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 ISE scale for undergraduate
trainee interpreters in Korea. The ISE scale was developed following a statistically sound format. An
initial pool of 63 items was generated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self-efficacy
instruments and interpreting competence, and the draft scale was checked for face and content
validity.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nsecutive interpreting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were participants (n=413) in validating the scale. The preliminary scale was refined into 21 items
through analysis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Keywords
Bandura's self-efficacy, interpreting self-efficacy (ISE), perceived interpreting competence, self-
efficacy scale, scale development

Vita

Sang-Bin Lee
Department of English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ollege of English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UFS)

51
Renarrating the victims of WWII through translation

Kyung Hye Kim


(University of Manchester)

While personal narratives elaborated by a powerful institution, such as media, may strengthen public
narratives, translation can play decisively in challenging, and sometimes deconstructing, the dominant
public narratives that are widely circulated within a society (Baker 2006). Yoko story, a Korean
translation of So Far from the Bamboo Grove (1986), is a good example that reflects these two points.
As a semi-autobiographical novel based on the writer Yoko Kawashima Watkins’s childhood
memories, it offers the personal narratives of an eleven- year-old Japanese girl who narrates the last
days of World War II. The book received wide recognition in the US that it could have been a source
of education for primary and middle school pupils in some states of the US, including the state of
California, until it became the subject to much criticism by some Korean-American parents. The
parents have boycotted the book, arguing that, although it is a personal story, it misguided young
students by constructing the ‘good Japanese-bad Korean’ binary and elaborating Koreans as atrocious
while Japanese are projected as victims. This ultimately led to the un-listing of the book from the
curriculum in the US in 2006.
In Korea, So Far from the Bamboo Grove was translated and circulated by a well-established
publishing house, and later it became subjected to much controversy, and eventually was removed
from bookstores in 2007. The publishing house claimed that it published a Korean translation in an
attempt to offer a more nuanced, balanced view and a fresh perspective on the war, believing that the
Korean translation would challenge the dominant public narratives circulated in Korea in which
Koreans were regarded as victims and Japanese as barbaric colonizers.
Although much criticism was raised about the book and translation, it has never been examined in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Considering translation as a more complex and multi-layered process,
where not only translators but other players such as publishing houses are also involved in producing
translation, in the case of written translation; this paper examines various ways in which, and the
extent to which, narratives encoded in the source text are modified and mediated through translation.
Drawing on narrative theory as theoretical framework, So Far from the Bamboo Gove and its Korean
translation, Yoko story, will be analyzed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the former involving the
analysis of para-textual elements such as cover designs, images and blurbs; the latter involving more
in-depth linguistic analysis of the text itself.

52
References
Baker (2006) Translation and Conflict: A Narrative Account,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Vita

Name: Kyung Hye Kim


Affiliation: University of Manchester
Email: kyunghyekim.research@gmail.com

53
Assessing Published Translations in the Cyberspace

Ji-Hae Kang
(Ajou University)

This paper sets out to explore how translation assessment in the cyberspace has become a site for
interactive and participative reflection on the part of translation receivers concerning published
translations. Based on a case study of an online translation debate concerning the Korean translation
of Steve Jobs, a record-breaking bestseller released in South Korea in October 24, 2011,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assumptions held by translation receivers about published translations and their
quality. The debate originally began with a post on Daum Agora, a major online discussion forum in
South Korea, which raised the possibility of mistranslation of certain parts of the source text; the
debate quickly spilled over into the public domain and received significant media coverage. Although
the debate centered on the accuracy of translation, posts and discussion threads reveal important
aspects of translation receivers’ views regarding language, translation, quality, translator competence,
and translation’s social and cultural roles.
In the present analysis, I draw on the concepts of “framing” and “role performance” (Goffman 1961,
1974) to examine how translation receivers approach translation assessment. By analyzing the
discourse of assessment on the online discussion forum, the study argues that voices in the debate
perform the roles of not only assessors and critics but also cultural activists, ‘smart’ consumers,
pedagogues, and gatekeepers. Although assessors discuss and judge the quality or merits/demerits of
translation, the analysis of posts and discussion threads shows that assessors engage in situated and
reflexive role performance, often seeking ways to address translation-related social or cultural issues
via translation assessment. As the role of translation assessor is far from stable or uniform, the
discourse of assessors are also fraught with varied, or even contradictory, constructions of translation
and its quality. Despite the widely held view that online translation assessors are problematic for
numerous reasons, including speaking definitively about translation without proper expertise or
knowledge regarding translatio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assessors often distance themselves from
an expert/critic role and choose to embrace a cultural activist or a ‘smart’ consumer role instead. Th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translation assessment is an arena for both conflict and collaboration
where translation receivers not only utilize the state-of-the-art media technology to make their
individual voices heard but also exploit their collective intelligence to solve translation-related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54
Semantics and Pragmatics in Note-taking during Consecutive Interpreting

Yoshihiro Minamitsu
(Nagasaki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paper discusses the underling ability which enhances an interpreter’s note-taking in consecutive
interpreting (CI). Previous studies have regarded note-taking in CI as an assist device to prevent the
saturation of consecutive interpreters’ memory. The previous studies developed on the basis of
practitioners’ experience, and focused on how to facilitate making notes for consecutive interpreters
with reference to their special systems of note-taking. In other words, note-taking in CI has been
commonly regarded as empirically–grounded techniques (See, Rozan 1956, Mignard-beloroutchev
1969, Henderson 1976, Gilles 2005). The question of which ability makes consecutive interpreters
facilitate techniques for note-taking in CI is still ope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underling
ability which enhances an interpreter’s note-taking in CI in terms of cognitive pragmatics.
Through the scrutiny of professional consecutive interpreters’ notes, it is obvious that symbols or
words which professional interpreters use do not correctly reflect what original speakers explicitly
expressed. The problem is why these gaps emerge. The present study first analyzes professional
consecutive interpreters’ notes, and then proposes that the gaps emerge as a consequence of human
utterance comprehension process.
The ability which enhances note-taking in consecutive interpreters is meta-representational ability
representing a mental state of others. During CI, an interpreter inferentially draw an original speaker’s
communicative intention guided by the linguistic form of the original speech, and using information
from other sources such as stored knowledge and objects that are provided. The symbols or words
used in note-taking are a kind of meta-representation which reflects the proposition expressed
determined by the inference from original speeches. It is also clear that the notation is diagonally
structured in the units of proposition expressed of the original speeches. In the right of the proposals
mentioned above,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note-taking in CI shows a consecutive interpreter’s
on-line utterance understanding.

Vita

Yoshihiro Minamitsu is a lecturer at Nagasaki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My research interests


are the process of consecutive/simultaneous interpreting, cognitive pragmatics, non-literal uses of
language, cognitive processing,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theory of mind and meta-
representation.

55
Portrait of a Korean Translator: Yongho Lee

한국 번역가의 초상: 이용호

Yeong-Houn Yi
(Korea Univers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ortrait of a Korean Translator, Yongho Lee who introduced
works of Sigmund Freud, Erich Fromm and Karl Menninger to Korea by translation. As a co-
publisher of the publishing house Baekjo, he is also famous of his first Korean translation of Simone
de Beauvoir’s Le Deuxième Sexe. 1950s is the period when the translation field was formed in Korea.
We have observed the birth of the translator-publisher and the academic translator. In our presentation
we investigate how the habitus of Yongho Lee, his social trajectory as a translator and co-publisher
has influenced his selection of the works to be translated, his attitude towards these translated works
and his strategy of translation under the politics of translation publication of the publishing house
Baekjo.

이용호는 시몬 드 보브와르(Simone de Beauvoir)의 『제 2 의 성』 초역 외에도 1950 년대


말 국내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입문』, 『꿈의 해석』등을 처음 번역 소개한 바 있다.
그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에리히 프롬(Erich Fromm), 칼 메닝거(Karl
Menninger) 등 정신분석 관련 서적들을 대거 번역한 전문번역가이자 백조출판사의 공동
발행인으로 국내 번역출판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것으로 보인다.

1950 년대는 국내의 출판번역장이 처음으로 형성되는 시기이며, 우리는 이때에 출판과
번역을 겸한 출판-번역가와 대학에 적을 둔 강단번역가의 탄생을 목도하게 된다. 본
발표에서 우리는 형성과정에 놓인 한국의 출판번역장 내에서 번역가 이용호의 학력,
경력 등 사회적 이력, 즉 아비투스가 이용호의 번역대상 작품의 선택과 그에 대한 태도,
번역전략에 어떤 파급 효과를 낳았는지를 백조출판사의 번역출판 정책에 대한 고려 하에
구체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Vita

Name : Yeong-Houn Yi & Saerom An


Affiliation : 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56
E-mail : erasme@korea.ac.kr / saerom5596@naver.com
Title : Portrait of a Korean Translator : Yongho Lee

57
Implications of Formulaic Expressions on Processing Efficiency during
Simultaneous Interpretation

Migyong Lee
(Kyung Hee University)

Simultaneous interpreting (SI) is described as a process during which the interpreter needs to
strategically allocate her available processing capacity to carry out different tasks to transfer Source
Language (SL) message into Target Language (TL). According to scholars, simultaneous interpreters
are able to carry out different tasks under severe time constraints characteristic to this mode of
communication attributable to various tactics and strategies to ease processing loads. Gile (1995)
describes expertise in SI as capacity to efficiently manage available efforts to be allocated to suffice
required efforts for different tasks. In discussing strategies for SI, Wills (1978) notes the merits of
syntactic and semantic anticipation which, he describes as, the result of intelligent textual prediction
triggered by linguistic units which, within the framework of specific communication situations, serve
as important cues for the achievement of high-quality SI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a particular type of expression referred to as "formulaic sequences."
Researchers note that formulaic sequences are more than strings of words linked together with
collocational ties; they are often used to accomplish recurrent communication needs. More
importantly, formulaic sequences offer processing efficiency because single memorized units, even if
made up of a sequence of words, are processed more quickly and easily than the same sequences of
words which are generated creat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L original and TL re-
expressions of simultaneous interpreting in order to first, find out what are formulaic sequences us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second, analyze whether interpreters' rendering of formulaic sequences
contribute to enhance efficiency in processing during SI; and lastly, analyze the implications of such
rendering in achieving communication. For the study, authentic data was collected from two
international conferences hosted in Seoul. Comparison of the renderings of interpreters and student
interpreters showed formulaic sequences contributed to easing time constraints and cognitive load as
well as enhance the communicative relevance of TL expression. Also, the study suggests development
of a subtle syntactic and semantic anticipatory ability as a useful goal for the linguistically and
psychologically based teaching of SI.

58
Vita

Migyong Lee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nglish, Kyung Hee University

59
Lexical competence of professional interpreters
- An empirical research on interpreting competence -

전문통역사의 어휘능력

Chung, Hye-yeon & Ko, Hyo-jung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ional interpreters are regarded as experts with ‘special’ abilities. However, these abilities -or
more accurately, ‘the competence’, a psychological term for an innate ability system- are hard to
identify. This paper focuses on one aspect of interpreting competence, namely lexical competence.
The study builds the hypothesis based on the presumption that the lexical competence of professional
interpreters is developed (specified) from the lexical system of bilinguals. The lexical system of
bilinguals, in turn, is based on the lexical system of monolinguals. Based on the findings by
researches that relate bilingual and interpreting qualities,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hypotheses:
The longer one acquires the interpreting competence (1) the more balanced are the L1 and L2 lexical
systems (based on Kurz 1996), (2) the more similar are the L2 lexical structure to that of native
speakers, (3) the stronger are the links between synonyms in L2 as well as in L1 (compared to non-
interpreters) (based on Gerver et. al. 1989). These hypotheses are verified through the lexical transfer
and words association tests. In this experiment 16 subjects(4 undergraduate students, 4 first years, 4
second year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4 professional interpreters with more
than 5-year-experience) are tested for their lexical transfer and words association competence. In all
related tests, the professionals showed the best results, while other groups yielded results that did not
differ greatly from one another. This and the fact that undergraduate students who did not take regular
interpreting classes, but had more interpreting experiences than first year students, showed constantly
better results than the latter, indicate that interpreting experience, rather than interpreting education,
has mor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lexical competence.

전문 통역사의 능력은 보통 이중언어자와 비교할 때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본 연구는 통역


사의 전문 능력, 그 중에서도 어휘 능력에 관한 경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전제는 통역사는 이중언어자와 기본적으로 유사한 어휘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

어휘구조가 통역습득을 통해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선행

60
연구로는 Kurz (1996), Gerver et. al.(1989)이 있다. 이들 연구에 바탕을 두고 본 연구는 다음 세 가

지 가설을 세웠다.

통역습득 기간이 길어질수록 통역습득자의

① L1, L2 시스템은 균형을 이룬다 (Kurz (1996)).


② L2 시스템은 모국어 화자와 유사해진다.

③ L1, L2 모두 동의어 연결이 강화된다 (Gerver et. al.(1989)).

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6인의 피험자(학부생, 통대1년, 통대2년, 전문통역사 각 4인)를 대

상으로 두 가지 실험을 하였다. 가설① 검증을 위해서는 어휘전환 실험을, 가설②, ③ 검증을 위

해서는 자유 연상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세 가설 모두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특히 모든 실험에서 전문가의 우위가 두드러졌다. 기타 세 그룹의 점수 차이는 크지 않았고,

특히 정식 통역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통역 경험이 통대1년보다 많은 학부생 그룹이 통대1년

그룹보다 지속적으로 가설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보아 통역습득 기간


보다는 통역 실무경험이 이중언어자의 어휘구조에 더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잠정 결론 지을

수 있겠다.

이 연구는 정혜연(2010)이 제안한 <통역습득론> 관련 연구입니다. 전문 통역사는 이중언어자

와 다른 고유의 능력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이 능력의 구조와 발달과정을

밝히는 것이 그 목표입니다. 제 전공어가 독일어이다 보니 피험자 확보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영

어와 같이 피험자 확보가 용이한 전공의 학자들에게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키고 싶어 발

표를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61
The Effective Content of Translation Curriculum

Marziyeh Haji Zargarbashi

(Payam Nour University)

One of the main reasons for students' dissatisfaction with translation courses is related to inefficiency
of transl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done to analyze the deficits of translation curriculums
especially the ones applied in Iranian universities. Translation competence includes sound knowledge
of SL and TL, translation theory, transfer procedures, cognition and methodology , comprehension of
what translation is and how it occurs, permanent interest in reading various kinds of texts , ability to
communicate ideas clearly, empathically and openly, ability to work out interrelationship of ideas ,
capacity to create, foster and maintain a warm work environment, and capacity to foster research
,accuracy and truthfulness; critical, self-critical and analytical capacity . There should be some
revisions in different aspects of this curriculum including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class, and
translating materials. About planning translation curriculum some factors must be considered
including providing different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L1 and L2 proficiency, listening,
speaking courses and changing the teacher oriented curriculum to student centered curriculum and
the teachers must try to have some academic information about theories of translation and their
application while translating and also assessing translations. Also in most cases students were not
familiar with recent technologies related to their field of study that using them facilitates translation
and improves the quality of translations. Group work also must be encouraged so students can learn
from each other . To design a translation curriculum, the teacher at first can prepare the students for
translation activity, then he can want them to translate it in a group, and they can discus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of these translations and the students will score them
themselves. So as a whole, by changing the texts to be translated, by having teachers who are more
competent, and by encouraging more effective curriculum the translation courses will be improved.

Vita

Marziyeh Haji Zargarbashi

M.A in English Translation

Payam Nour University, Iran

m.zargarbashi24@gmail.com

62
News Localization and Its Ambivalent Aspects

Kim Gi-young
(Pusan National University)

Until the 18th century from the Middle Ages, translators were permitted to delete, add or edit the lines
of original text on their own. Since then, however, such changes made by translators have sometimes
drawn criticism that they distort the author’s spirit or suppress the otherness imbued in the foreign
texts. As Translation Studies developed into a distinctive discipline in 1950s and 1960s, linguistic
models were introduced to the field with the concept of ‘equivalent’ emerging as a crucial norm
governing translation theories and practice. But the principle of equivalence came to be challenged
by the Functional Theory of Translation started from Germany in 1970s. The Functional Theory is
best applied to the commercial and technical texts because it gives the first priority to the functions
translated text have in target culture. Noticeably, news translation also seems to have diverged from
the equivalence rule. Events and accidents occurring around the world are processed by media
companies to be transformed into news products. The news contents crossing borders in real time are
usually involve a series of adaptation, such as selection, deletion, addition and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public sentiments and ideologies of target society before reaching the readers or end
users. This study assumes that news translation is going beyond the classically defined translating
activity, expanding to the boundary of ‘localization’, the software optimization process. Localization
means a range of process carried out to make software products (online games, for example) be
broadly accepted and consumed in its target Locale (territorial, cultural, or linguistic unit of
localization). The aspects of news Localization may be ambivalent: it softens resistance to foreignness
of international news and protect national (media) discourse from huge wave of western centered
Globalization, especially when the news is concerned with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of target
society. Another notable point in news localization is the shift of translator’s stance and identity from
objective third person to participative second person operator. The second person translator receives
the news from participant’s point of view, and edit and manipulate the lines so that it is acceptable to
‘our’ society, while the objective third person translator keeps a certain distance from texts. This study
examines a range of theories around practice of news translation and software localization, and
investigates the overlap area between them.

63
Vita

Kim Gi-young
Mobile Phone: 017-227-8439
E-mail : trangie@pusan.ac.kr

Completion of Doctor Course of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Full- time Instructor of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64
The Need for Medical Interpreters in Japan

Kie Kawauchi
(Aomori University of Health and Welfare)

In Japan, where the number of registered foreign residents continues to increase each year, medical
staff and foreign patients are encountering numerous problems due to language barriers that are
inhibiting effective communication. A national framework of qualifications for trained medical
interpreter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Japan, leaving foreign patients with limited language
support options in medical situations.

All patients have the right to access adequate information concerning their medical condition, yet, for
foreign patients with limited Japanese language ability, it is difficult to obtain this information, This
lack of information, or misinformation, often impedes medical trea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for medical interpreters in Japan, the
language support offered to foreign residents in medical settings and the necessity for medical
interpreter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ctively working interpreters. The
results expose the problem of Japan’s medical industry relying heavily on volunteer interpreters who
cannot always provide reliably accurate information. Even though foreign residents acknowledge that
the presence of a interpreters would significantly reduce their communication anxiety, there is
currently no mechanism in place that enables patients to easily access qualified interpreters. There is a
clear need for domestically unified qualifications for medical interpreters, as well as an employment
and dispatch system that connects interpreters with medical institutes.

Japan needs to examine practices in countries with well-established medical interpreter systems and
move quickly to develop a national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both foreign patients and medical
staff.

Vita

Kie Kawauchi, Ph,D


Aomori University of Health and Welfare
Member of the Japan Association for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Major field of stud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medical communication,
especially medical interpreters in Japan.

65
Self-translation and Bilingual Writing

Chun, Hyunju

(Hanbuk University)

This paper attempts to the investigation into what the substances of self-translation and bilingual

writing is and raises a question whether self-translation and/or bilingual version of writing can be

classified as translation or writing.

The research method will b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ir definition and concept for the

above two terminologies in the basement of theoretical analysis and case study. The following

features concerning self-translation will be noticed: 1) it is ‘bilingual writing' which approaches in the

area of translation and creative writing simultaneously; 2) it has 'the stronger motivation of writing'

than that of translation; 3) both source and target texts of author-translator's should be accepted and

consulted as independent and complementary ones to apprehend them properly; and 4) 'a new writing

style' including the comprehensive concepts of rewriting and bilingual writing. 5) the prominent

author-translator can be found in the group of ethnic writers and of minority, 6) the writing style is

like that of autobiography, 7) the sensitivity of multi-cultural awareness is mainly treated with, and 8)

the distinctive boundary between self-translation and bilingual writing can be drawn.

By the same token, this paper explores that the theories and criterion of other-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and criticism can be literally applied to the case of self-translation. And the

comprehensive approach may take place to measure the significance of bilingualism as self-

translation in translation studies and Asian Studies.

Vita

Chun, Hyunju, PH.D., focuses her research interests on the translation criticism and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She is currently training future translators at the Department of English at Hanbuk

University (Dongducheon-si, Korea). Her publications have concentrated on areas such as the

66
paradigms of the translation criticisms, translation and discourse, translation and cul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curriculum and job matching.

Dr. Chun can be reached at transju@hanbuk.ac.kr, and transju@hanmail.net

67
Influences of Early English translations to Korean Syntax and New
Literary Styles around the early 1900’s

No-Shin Lee
(Hoseo University)

Early English translations to Korean, which had been done in Korea and its adjacent regions, Manchu
and Japa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wide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early modern Korean grammar and simultaneously new written styles of the Korean novel that
appeared around the early 1900’s. This paper explores how and why such processes occurred to the
Korean language from perspectives of syntax and stylistics. In terms of syntax, for instance, Korean
was one of the predicate-centered languages in which the sentence subject is normally omitted in
colloquial and literary styles as well. In contrast, the subject drop rarely takes place in the English
literary style. However, in the new style Korean fiction, as seen in the Korean translations from
English novels during that era, the subject began to be clearly marked in each sentence. This paper
views such remarkable changes in relation to early English translations to Korean. Accordingly this
paper accesses to the issues in terms of stylistic interactions among Korea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It is necessary because the English-Korean translation work was conduc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ese and Japan due to complex political dynamics during that age. This paper
looks into how Chinese characters and Japanized-Chinese characters were adopted to the Korean
literary styles through the translation process.

Key words : Early English translations, Korean syntax, Korean literary styles, cultural interactions,
linguistic elements, Chinese characters, Manchu and Japan

68
Translation Aspects and its traits of ChunKiang Zhuan published by the
Writer Publishing Office

1956년 北
京 作
家出版
社에서 출판한〈春
香傳〉의 번역양상과 특징


飛燕

(Korea University)

This paper aims a study of a Chinese translation of 〈ChunXiang Zhuan춘향전〉which published by

the Writer Publishing Office(北京作家出版社) in Beijing, 1956. and the translators are Bingwei(冰

蔚, from North Koran) and Zhangyouluan(張友鸞, from China). The original text they used was a

North Korean〈ChunXiang Zhuan춘향전〉, the story was almost same as the traditional〈ChunXiang

Zhuan춘향전〉published in Quanzhou(전주, 완판84장본〈열녀춘향수절가〉) but the North’s

editors deleted all the pornographic contents.


First of all, there are some mistranslation and awkward expressions in this book. The reason might
because Bingwei could not translate the original text well, and Zhang could not find the mistakes in
Bingwei’s translation because it seemed he does not know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classic atmosphere and the musical character of Pansori(판소리) were maintained very well in the

translation. We might say that the translators did a great job in this book. Especially Zhang can use
the classic Chinese and even the language of China traditional theater very well, that was very useful
in the translation. Even there are some questions in this book, we still can comment that the
translation was very successful.

Keywords: 〈ChunXiang Zhuan춘향전〉, 1956's translation, North Korea, Pansori(판소리),

mistranslation.

1. 머리말

69
이 글은 1956년 북경(北
京) 작가출판사(作
家出版
社)에서 출판한〈春
香傳〉의 번역양상과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중국에서 중국어로 번역된〈춘향전〉은 여러 종류가 있다. 그 중의 대부분은 어린이 독서물인 ‘그림

책’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2. 그 외에 소설이나 중국 전통 희극(戱


劇)으로 번역/개작된 역본도 있다. 필자가 현재

까지 조사한 결과 소설역본은 5종류, 희극역본(창본 唱


本)은 6종류가 있다. 필자는〈춘향전〉의 모든 중국어역본

의 번역양상과 특징에 대해 전체적으로 연구할 계획이 있으나, 그것은 상당히 방대한 작업이므로 짧은 시일 안

에 한꺼번에 다룰 수가 없는 일이다. 때문에 이 많은 역본에 대해 하나씩 연구하는 방법을 취하기로 한다. 그

중에서 1956년에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역본은 중국에서 가장 이른 시간에 출판된 역본으로서, 이 글의

연구대상으로 삼기로 한다.

1956년 역본〈춘향전〉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진영의 논의가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3. 논자는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와 1956년 역본〈춘향전〉의 서사전개를 비교했고, 1956년 역본에서 삭제하거나 첨가한 내용을

제시했다. 논자는 또한 안종상(顔


宗祥)의〈춘향전〉과 중국 화본소설(話
本小說
)에 관한 연구4 를 참고해서 1956년

역본에 나타나는 화본소설적인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내용상의 변동과 원인을 검토했다. 1956년 역본

에 대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논문이지만 논의과정에서 선학들의 논의를 그대로 가지고 온

흔적이 뚜렷하다5. 그리고〈춘향전〉에 들어있는 성적인 내용들을 삭제한 것에 대해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문

화사상의 차이’로 설명한 것이나〈춘향전〉의 번역시기를 중국의 문화대혁명(文


化大革
命)과 연결시켜 설명한 것

2 국에서 이런 ‘그림책’을 소화서(小畵書)나 소인서(小人書)라고 부른다. 책의 형식은 전체의 이야기를 그림으

로 표현하고, 그림의 밑에 문자를 붙여 이야기를 서술하는 것으로써 주로 초등학교나 중학교 학생 같은

나이 어린 독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게 만든 책이다. 책의 크기는 대개 성인 손바닥의 크기와 비슷하다.

이런 그림책은 대부분 중국조선조들이 모여 사는 중국 東北의 黑龍江, 吉林, 遼寧 등 지역의 출판사에서

출판한 것이고, 북한 평양의 있는 출판사에서 출판한 것도 있다. 이런 그림책 형식의 〈춘향전〉은 내용과

형식에 있어 본고의 연구주제와 거리가 있는 것이므로 본고의 연구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한다.


3 진영,〈중문판 소설 〈춘향전〉의 연구〉,《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6, 月印, 1999.
4 顔宗祥,〈春香傳與中國話本小說〉,《外國文學》, 1990.
5 3장에서〈춘향전〉의 ‘독특한 사설’을 분석한 부분이 거의 모두 안종상(顔宗祥)의〈춘향전〉와 중국 화본소설

(話本小說)의 내용을 따른 것이다.

70
은 모두 납득하기가 어려운 논설이다6.

학청산은 〈중국에서의〈춘향전〉수용에 대한 연구〉에서 1956년 역본을 간단하게 언급했다7 . 논자는〈춘향전〉

의 세 역본, 곧 1956년 작가출판사 역본과 유응구(柳


應九) 역본8, 그리고 2010년 인민문학(人
民文) 출판사 역본

9
의 몇 가지 대목을 비교한 다음에 유응구 역본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0.

전체적으로 볼 때 1956년 역본〈춘향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필자가 이 문제를 감안해서

이 글에서 1956년 역본의 번역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의〈춘향전〉 번역·개작 양상

의 일단을 엿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우선 중국에서의 〈춘향전〉 중역본들의 유형과 서지사항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 보겠다. 해당 역본들의 서

지사항을 도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춘향전〉 중역본의 종류와 서지사항

출판사 몇
서지사항 유형 번역자 저본
출판년도

6 성적인 내용들은 1956년 역본의 저본인 북한의〈춘향전〉에서 이미 삭제되었다. 성적인 내용들이 있는 〈춘

향전〉은 ‘자본주의사회의 문화사상’과 연결시키기 어려운 것이다. 원작에서 원래 있었던 내용들이다. 원작

의 출현과 유행한 시기가 더욱 ‘자본주의 사회’와 거리가 먼 것이다. 그리고 1956년 역본〈춘향전〉이 번역

된 시기는 1956년이고, 문화대혁명이 시작한 시기는 1966년이다.


7 학청산, 〈중국에서의 〈춘향전〉수용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9~44쪽.
8 柳應九,〈春香傳〉, 北京 新世界出版社 , 2006.
9 薛舟, 徐麗紅,〈春香傳〉, 北京 人民文學出版社, 2010.
10 ‘역자가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어로의 번역을 원활하고 유통성이 있게 이루는 데에 있어서 2006년

판(유응구 역본, 필자)은 사실상 그 나머지 두 개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유응구 역본이)

다른 역본보다 비교적 더 활발한 융통성을 지닌다. ’학청산, 위의 논문. 42~43쪽. 별고로 논의하겠지만 사

실은 유응구의 역본에서의 많은 내용은 1956년 역본의 내용을 그대로 베껴 쓴 경우가 많다.

71

劇 〈 新
文藝出
版社 華
東戱劇
硏究院編
輯.
1 朝
鮮民主
主義人
民共和
國 國
立古典
藝術劇
場 演
出本

香傳〉 (1955.2. 上
海) 莊
志執筆




南人民
出版社
2 豫
劇 〈春 莊
志 改
編 朝
鮮民主
主義人
民共和
國 國
立古典
藝術劇
場 演
出本
(1955.6. 鄭
州)

傳〉


劇 〈 北
京出版
社 (1956.
3 言
慧珠改編 朝
鮮民主
主義人
民共和
國 國
立古典
藝術劇
場 演
出本

香傳〉 北
京)




樂出版
社 (1957. 莊
志執,中
筆國評劇

4 曲
譜 〈春 朝
鮮民主
主義人
民共和
國 國
立古典
藝術劇
場 演
出本

京) 編賀·楊
飛培 作


傳〉


劇 〈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대개 월극 〈春
香傳〉으로부터
5 1956 王
菲·黃
秋葵·楊
廣泉

香傳〉 이식(移
植)된 것으로 보인다.



영상자료만 확인되고 구체적인 자료는 아직 확인되
6 戱〈春

지 않았다.

〈春


家出版
社 (1956. 〈春
香傳〉, 연변교육출판사, 1955 (朝
鮮作家
同盟出
版社,
7 〉
傳 冰
蔚(北
韓)·張
友鸞譯

京) 1955.)
(소설)

〈春


世界出
版社
8 〉
傳 柳
應九(韓
國)譯 전주 완판본 〈烈
女春香
守節歌

(2006. 北
京)
(소설)

〈春


族出版
社 趙
浩相(韓
國)改
編 丁

9 〉
傳 〈烈
女春香
守節歌

(2007.9. 北
京) 花譯
(소설)

〈春


民文學
出版社(2
10 〉
傳 薛
舟·徐
麗紅譯 〈烈
女春香
守節歌
〉 (송성욱 풀어 옮김. 민음사, 2004)
010. 北
京)
(소설)

72
〈春


務印書

11 〉
傳 許
世旭(韓
國)譯 〈烈
女春香
守節歌
〉 (完
西溪書
鋪)
(1967, 臺
灣)
(소설)

도표에서 1부터 7까지 작품의 저본은 정확하게 말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으로 지칭함)의〈춘

향전〉이다. 이들 역본에는 번역하는 과정에서 원작 내용을 삭제·개작한 내용들이 많다. 특히 중국의 희극으로

번역·개작하는 과정에서 원작에 대한 개작이 많다. 1956년 역본의 저본은 연변교육출판사에서 1955년에 출판한

〈춘향전〉이다. 이 책의 뒷면 표지에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4, 2, 15’라는 표기가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1954년 2월에 북한에서 출판한 판본은 1954년 6월에 연변교육출판사에서 똑같은 판본으로 제1판을 출판

한 것임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필자가 갖고 있는 판본은 1955년 12월에 3차 인쇄한 판본이다.

우선 이 저본에 대해 몇 가지 사항을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책의 맨 앞에는 윤세평이 쓴〈춘향전에 대하여〉라

는 글이 실려 있다. 이 글에서 윤세평은〈춘향전〉출현의 역사적 배경과 판본들, 작품의 주제와 사상, 그리고 문

학사적 의의를 논의해보았다. 작품의 주제와 사상에 대해〈춘향전〉을 권선징악적 소설이나 정열숭상(貞
烈崇尙
)

의 소설, 아니면 단순한 연애소설로 보는 견해를 비판하면서 이 작품은 이조 봉건사회의 특권적인 양반 관료들

의 부패한 통치를 폭로하며 반대하고 있는 소설이라 강렬하게 주장했다.〈춘향전〉의 문학사적 의의를 “리조 문

학이 낳은 최대의 걸작일 뿐만 아니라 우리들이 자랑할 수 있는 최대의 민족문학 유산의 하나”, 그리고 “인류

문화의 보물고에 길이 간직 될 세계적인 걸작의 하나”로 높이 평가했다. 그리고 ‘춘향전 판본 재간 례언’에서 간

행하는 과정에서 원본에 대한 철자나 용어 등에 대한 수정과 주해의 상황을 설명했다.

작품이 시작되기 이전에 붙인 이 글에서 윤세평의 사회주의적 관점을 어느 정도로 엿볼 수 있다. 이는〈춘향

전〉을 번역한 번역자에게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춘향전〉의 구체적인 내용에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작품

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특히〈춘향전〉의 내용을 잘 모르는 역자의 경우에는 이런 평면적이고 극

단적인 평가가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방해할 수 있었다. 그 외에 또한 두 가지 구체적인 문제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춘향전〉의 판본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윤세평이 신소설인〈옥중화〉·〈옥중향〉·〈옥중가인〉등

73
을 모두 ‘황색본’으로 폄하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본의 사랑가 장면의 일부분은 아무런 교양적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삭제함으로써도 원본을 손상하는 것이 되지 않음으로 대담하게 삭제하였다.”라는 설명이다.

이 두 문제는 다음 장 북한의〈춘향전〉과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완판84장본〈열녀춘향수절가〉와의 비교에서 구체

적으로 논의해보겠다.

그리고 이 저본의 가장 큰 특징은 본문보다 주해가 더 많다는 것이다. 이 저본은 완판84장본처럼 상․하 권으

로 나누어 있다. 상권은 13~58쪽까지 총 45쪽이 본문이고, 59~147쪽까지 총 88쪽이 주해이며, 하권은 149~

194쪽까지 총 43쪽이 본문이고, 193~233쪽까지 총 40쪽이 주해이다. 상권의 주해자(註


解者)는 정학모이며 하권

의 주해자는 윤세평이다. 정학모가 한 주해는 한자어․고사․전고․역사적인 인물이나 사건 등 가능한데로 세밀하게

주해하였다. 윤세평이 한 주해는 상대적으로 간략하다. 그것은 상권에서 이미 나온 용어들에 다시 주해를 달 필

요가 없다는 이유도 있었겠으나 윤세평 개인적으로 익숙한 고어나 한자어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도 있

었던 것 같다. 이런 세밀한 주해작업은 사실은 북한이 해방 이후에 실행한 ‘고전의 주해작업’과 맥을 같이 한

것이다. 이런 주해작업과 더불어 고전작품에 대한 ‘윤색’도 가했다고 한다11. 한편, 이 저본은 간단하게 단락을

나누어 있지만 문장부호를 가하지는 않았다. 번역할 때 문장부호가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문제도 있어 보인다.

11 북한에서 金正日의 교시에 따라서 해방직후부터 1960년대까지 고전의 주해작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고

전의 현대화 작업은 1980년대 들면서부터 영화·가극 등으로 활발하게 재창작되기 시작하였다. 작업의 진

행은 먼저 고전문학의 현대적 수용의 관점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고전문학유산을 하나의 체제로

묶은 전 90권의 《조선고전문학선집》출판 사업을 통해 체계적으로 윤색과 주해작업이 진행되어 1993년까

지 50권의《고전문학선집》이 발행되었다. 전영선, 〈북한의 민족문학이론가 · 문학평론가 윤세평〉,《북한》,

No.345. 2000.9. 전영선은 조령출이〈춘향전〉에 대한 ‘윤색’을 논의한 적이 있다. 시간적으로 후대에〈춘향전〉

의 ‘윤색’을 논의한 논문이지만 그 ‘윤색’의 의미가 대개 크게 변하지는 않은 것 같다. 논자가 그런 ‘윤색’

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논의했다. “윤색이 개인의 창작의도인가 아니면 독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한 해설이나 해석인가의 문제를 해명해야 한다. (중략) 북한에서는 모든 전적들이 출판될 때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기준이 ‘인민성’이다. ‘인민성’이란 간단히 말해서 모든 인민이 읽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북한에서 출판물은 단순한 서적 이상의 의미, 즉 인민을 위한 교양의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인민

들이 읽지 못하는 서적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평가한다.” 전영선,〈〈춘향전〉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접근

태고〉,《민족학연구》4, 한국민족학회, 2000. 142쪽.

74
이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살펴보겠다.

본고에서는 논의의 선행 작업으로서 우선 북한의〈춘향전〉와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완판 84장본〈열녀춘향수

절가〉의 비교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이런 저본의 문제를 어느 정도 정리한 다음에 1956년 역본의 번역양

상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2. 북한의〈춘향전〉과 한국의 완판 84장본〈열녀춘향수절가〉의 비교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북한이 스스로 자신의〈춘향전〉을 ‘전주 토판본〈렬녀춘향수절가〉’이라고 했지만 이것은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완판 84장본〈열녀춘향수절가〉와 차이가 있는 판본이다. 필자는 두 책을 비교한 결과 내용

이 거의 일치하지만 북한 〈춘향전〉에서 완판 84장본에 있던 내용들을 많이 삭제했다. 예문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아래서 제시한 예문에서 밑줄 친 부분은 완판 84장본에서 있었으나 북한〈춘향전〉에서 삭제한 내용들이다.

■로 표시한 부분은 북한〈춘향전〉에서 삭제된 내용들의 위치이다.

춘향이가 쳐음 이릴 ᄲᅮᆫ 안이라 북그려워 고ᄀᆡ을 슈겨 몸을 틀 졔 이리 곰슬 져리 곰실 녹수에 홍연화 미충 맛

나 굼이난 듯 도련임 초ᄆᆡ 벽겨 체져노고 바지 속옷 벽길 젹의 무한이 실난된다 이리 굼실 져리 굼실 동ᄒᆡ쳥용이

구부를 지닌 듯 아이고 노와요 좀 노와요 에라 안 될 마리로다 실난 즁 옷ᄭᅳᆫ ᄭᅳ너


ᆫ 발가락으 ᄯᅡᆨ 걸고셔 ᄭᅵ여안고

진드시 눌으며 지지ᄀᆡ 쓰니 발길 아ᄅᆡ ᄯᅥ러진다 오시 활ᄯᅡᆨ 버셔지니 형산의 ᄇᆡ옥


ᆨ ᄯᅥ니
ᆼ 이 우에 더 할 소냐 오시 활

신 버셔지니 도려임 거동을 보라하고 실금이 노으면셔 아차아차 손 바졋다 춘향이가 침금 속으로 달여든다 도련

임 왈칵 조차 들어 누어 져고리을 벽겨 ᄂᆡ여 도련임 옷과 모도 한틔다 둘둘 뭉쳐 한편 구셕의 던져두고 두리 인고

마조 누워슨니 그ᄃᆡ로 잘 이가 잇나 골십 ᄂᆡᆯ졔 삼승 이불 춤을 추고 ᄉᆡ별 요감은 장단을 마추워 쳥그릉 ᄌᆡᄌ


ᆼ ᆡᆼ 문고

루난 달낭달낭 등잔불은 가물가물 마시잇게 잘 자고 낫구나 그 가온ᄃᆡ 진진한 이리야 오직 하랴. ( 완판84장 〈녈

75
녀춘향수절가12 26쪽)

춘향이가 처음일일 뿐아니라 부끄러워 고개를 숙여 몸을틀제 이리곰실 저리곰실 록수에 홍련화 미풍맞나 굼

이는듯 ■■ 그가운데 진진한일이야 오직하랴 (북한 〈춘향전〉13 40쪽)

나는 항시 엇지 이ᄉᆡ이
ᆼ 나 후ᄉᆡ이
ᆼ 나 밋틔로만 될난인ᄭᆡ ᄌᆡ미업셔못쓰거소 그러면 너 죽어우로가게하마 너는 죽

어 독ᄆᆡ웃ᄶᅡᆨ이 되고 나는 죽어 밋ᄶᅡᆨ 되야 이팔쳥춘 홍안민ᄉᆡ더


ᆨ 리 셤셤옥수로 ᄆᆡᆺᄯ을
ᆡ 잡고 슬슬 두루면 쳔원지방

격으로 휘휘도라 가거던 나린줄을 알려무나 실소 그것안니 될나요 우의로 ᄉᆡ긴


ᆼ 것이 부ᄋᆡ나게만 ᄉᆡᆼ기엿소 무슨

연의 원슈로셔 일ᄉᆡᆼ 한 구먹이더하니 아뭇것도 나는 실소 그러면 너 죽어 될 것이 잇다 너는 죽어 명사십이 ᄒᆡ당

화가 되고 나는 죽어 나부 되야 ( 완판84장 〈녈녀춘향수절가〉29쪽)

나는 항시 어찌 이생이나 후생이나 밑에로만 될라니까 재미없어 못쓰겠소 ■■ 그러면 너죽어 될것있다 너는

죽어 명사십리 해당화가 되고 나는 죽어 나비되어 (북한 〈춘향전〉 43쪽)

이리 올나 이궁 저리 올나셔 벽궁 용궁 속의 구졍궁 월궁속의 광한궁 너와 나와 합궁하니 한평ᄉᆡᆼ 무궁이라 이

궁 져 궁 다 바리고 네 양ᄀᆡᆨ 슈룡궁의 ᄂᆡ의 심쥴 방망치로 질을 ᄂᆡ자구나. 춘향이 반만 웃고 그런 잡담은 마르시오

12 본고에서는 完西溪書鋪가 출판한 완판 84장〈녈녀춘향수절가〉를 텍스트로 한다. 논의과정에서 인용한 내용

들이 쪽수만 제시하기로 한다.

《(원문영인 및 주석) 춘향전》, 성기수 엮음. 글솟대. 2005.


13 〈春香傳〉, 연변교육출판사, 1955. (朝鮮作家同盟出版社, 1955). 논의과정에서 인용한 내용들이 쪽수만 제시하

기로 한다.

76
( 완판84장 〈녈녀춘향수절가〉31쪽)

이리올라 리궁 저리올라서 벽궁 룡궁속에 수정궁 월궁속에 광한궁 너와 나와 합궁하니 한평생 무궁이라 ■■

춘향이 반만웃고 그런잡담은 마르시오 (북한 〈춘향전〉 43쪽)

어붐질 쳔하 쉽어라 너와 나와 활신 벗고 업고 놀고 안고도 놀면 그 계 어봄질이졔야 ᄋᆡ고 나는 북그러워 못

벗것소 예라 요 겨집 아히야 안 될 마리로다 ᄂᆡ 먼져 버스마 보션 단임 허리듸 바지 져고리 훨신 버셔 한편 구셕

의 밀쳐 놋코 웃득 셔니 춘향이 그 거동을 보고 ᄲᅡ긋


ᆼ 웃고 도라셔다 하는 마리 영낙 업난 낫돗ᄎᆡ비 갓소 오냐 네

말 조타 쳔지만물이 ᄶᅡᆨ 업난 계 업난이라 두 도ᄎᆡ비 노라보자 그러면 불이나 ᄭᅳ고 노사이다 불리 업시면 무슨 ᄌᆡ

미 잇것는야 어셔 버셔라 어셔 버셔라 ᄋᆡ고 나는 실어요 도련임 춘향 오슬 벽기러 할 졔 넘놀면셔 어룬다. ( 완판

84장 〈녈녀춘향수절가〉32쪽)

어붐질 천하쉬우니라 너와 나와 ■ 업고놀고 안고도놀고 그계 어붐질이제야 애고 나는 부끄러워 못하겠소

■■ 도령님 춘향옷을 벗기려할제 엄놀면서 어룬다. (북한 〈춘향전〉 44쪽)

‘활신 벗고’는 삭제되고, ‘못벗것소’는 ‘못하겠소’로 바뀌었다.

구구쳥학이 난초을 물고셔 오송간의 늠노난 듯 춘향의 가는 허리를 후리쳐다 담숙 안고 지지ᄀᆡ 아드득 ᄯᅥᆯ며 귀

ᄲᅡᆸ도 ᄶᅩᆨᄶᅩᆨ ᄲᅡᆯ며 입셔리도 ᄶᅩᆨᄶᅩᆨ ᄲᅡ면


ᆯ 셔 주흥 갓턴 셔을 물고 오ᄉᆡᆨ 단쳥 순금장 안의 쌍거쌍ᄂᆡ 버들키 갓치 ᄭᅮᆨᄭᅮᆨ ᄭᅳᆼᄭᅳᆼ

으흥거려 뒤로 돌여 담쑥 안고 져셜 쥐고 발발 ᄯᅥ며
ᆯ 져고리 초ᄆᆡ 바지 속것ᄭᅡ지 활신 버겨 노니 춘향이 북그려워

한편으로 잡치고 안져슬 졔 도련임 답잡하여 가만이 살펴보니 얼골이 복ᄶᅵᄒ


ᆷ ᆞ야 구실ᄯᅡ이
ᆷ 송실송실 안져ᄭᅮ나 (완

77
판84장 〈녈녀춘향수절가〉29쪽)

구고한학이 난초를 물고서 오송관에 늠노난 듯 ■■ 춘향이 부끄러워 한편으로 잡치고 앉었을제 도령님 답답

하여 가만이 살펴보니 얼골이 복짐하야 구실땀이 송실송실 앉었구나 (북한 〈춘향전〉 45쪽)

춘향아 우리 말노림이나 좀 하여보자 ᄋᆡ고 말노림이 무어시오 말노림이 만이 하여본 셩 부르게 쳔하 쉽지야

너와 나와 버신 짐의 너은 온 방바닥을 가여단여라 나는 네 궁동이여 ᄯᅡᆨ 붓터서 네 허리를 잔ᄯᅳᄶ


ᆨ ᅵ고 ᄋᆡ 손바닥으

로 탁치면서 이리 하거든 호홍 그려 퇴금질노 물너시며 ᄯᅱ여라 (완판84장 〈녈녀춘향수절가〉34쪽)

춘향아 우리 말노림이나 좀 하여보자 애고 참 웃우워라 말노림이 무엇이요 말노림 많이하여 본성부르게 천하

쉽지야 ■너는 온방바박을 기여다녀라 나는 ■ 네 허리를 잔뜩끼고 볼기짝을 내속바닥으로 탁치면서 이러 하거

든 호홍그려 퇴금질로 물러서며 뛰여라 (북한 〈춘향전〉 47쪽)

나는 탈것 업셔신니 금야 삼경 깁푼 밤의 춘향 ᄇᆡ를 넌짓 타고 홋이불노 도슬다라 ᄂᆡ 기겨로 노를 져어 오목셤

을 드러가되 순풍의 음양수를 실음업시 건네갈 졔 말을 삼어 타량이면 거름거리 업슬손야 (완판84장 〈녈녀춘향수

절가〉35쪽)

나는 탈것없었으니 금야삼경 깊은밤에 ■■ 춘향 말을 삼아 탈양이면 걸음거리 없을소냐 (북한 〈춘향전〉 48쪽)

둥글둥글 수박웃봉지 ᄃᆡ모장도 드난 칼노 ᄯᅮᆨᄯ고


ᅦ 강능ᄇᆡ쳥
ᆨ 을 두루부어 은수졔 반간지로 불근 졈 한 졈을 먹으

78
랸야 안이 그것도 ᄂᆡ사 실로 그러면 무어슬 먹으랸는냐 시금털털 ᄀᆡ살구를 먹으랸야 안니 그것도 ᄂᆡ가 실소 그러

면 무어슬 먹그랸야 돗자바 쥬랴 ᄀᆡ 자바 주랴 (완판84장〈녈녀춘향수절가〉33쪽, 밑줄 친 부분이 북한 〈춘향전〉 삭

제되어 있다.)

여등 불너 하직할ᄉᆡ 동방 실송셩은 스르렁 일쌍호졉을 펄펄 춘향이 ᄭᅡᄶ


ᆷ ᅡᆨ 놀ᄂᆡ ᄭᅮᆷ이로도 옥창ᄋᆡᆼ도화 ᄯᅥ러져 보

인고 거울 복판이 ᄭᆡ여져 뵙고, 문 우에 허수ᄋᆡ비 달여 뵈이건늘 나 죽을 ᄭᅮᆷ이로다 (완판84장 〈녈녀춘향수절가〉63

쪽, 밑줄 친 부분이 북한 〈춘향전〉에서 삭제되어 있다.)

㉵의 경우는 판본 간의 작은 차이로 볼 수 있다. ㉶의 경우에는 몽사의 내용이 삭제되었지만 나중에 허봉사

를 불러 문복할 때 등장한다. 그러므로 이는 서사 위치상의 변화뿐이라 할 수 있다. ㉮부터 ㉴까지를 보면 삭제

된 내용은 거의 같은 성격의 글들이다. 곧 직설적이거나 비유적으로 성을 표현하는 성적인 글들이다. 이런 내용

들이 곧 앞에서 윤세평이 말한 ‘아무런 교양적 의미가 없다’는 것들이다. 여기서 그가 춘향전의 판본을 소개한

부분에서〈옥중화〉·〈옥중향〉·〈옥중가인〉등을 ‘황색본’으로 폄하한 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는 성적인 내용들

이 들어있는 판본을 ‘황색본’으로 폄하하는 동시에 성적인 내용들이 삭제된 완판84장본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

태도는 자체적으로 모순되는 면이 있다. 지나칠 말일 수도 있겠지만 완판84장본에서의 성적인 내용들이 삭제

되지 않았다면 이 판본도 아마 ‘황색본’의 악명을 면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14. 그리고 윤세평이 완판84장본의

원작에서 그런 성적인 내용들이 있다는 것을 모를 리가 없다. 그러나 그가 그것을 알면서도 북한의〈춘향전〉에

서 그런 내용들이 원래 없던 것처럼 여기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더 중요한 것은 그가 스스로 자신의 이런

자체적인 모순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춘향전〉의 주제와 사상도 자신의 계급적인 입장에서

14 이해조가〈자유종〉에서 〈춘향전〉을 ‘음탕교과서’로 폄하한 것은 당시 일반 민중들이 〈춘향전〉에 대한 인식

을 보여주는 자료로 볼 수 있다. 강진모가 최남선이〈춘향전〉을〈고본 춘향전〉으로 개작한 이전에 일반 독

자들의 눈에는〈춘향전〉이 단지 음탕한 ‘이야기 책’뿐이라는 문제에 대해 논의한 바가 있다.

강진모,〈《고본 춘향전》의 성립과 그에 따른 고소설의 위상 변화〉,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9
만 해석했다. 이런 경직하고 극단적인 사고방식과 연구태도는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지양해야 하는 것이

다. 물론 이는 윤세평의 개인적인 시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북한의 국가체제에서 형성된 일종의 집단적인 시각

이라 할 수 있기도 한다.

한편, 북한에서 이런 성적인 내용들을 삭제시키는 ‘정화(淨


化)’의 과정을 거쳐서야〈춘향전〉은 일종의 ‘인민’적

문학으로 변신하고 일반 독자들에게 읽힐 수 있다는 것이다15. 이런 ‘정화’된〈춘향전〉을 저본으로 삼아 50년대

중국에서 나온〈춘향전〉의 소설과 희극의 번역본에서 이런 성적인 내용들이 물론 모두 보이지는 않았다. 다음

에 1956년 역본의 번역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겠다.

3. 1956년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춘향전〉의 번역양상과 특징

번역양상과 특징을 살피기 이전에 우선 1956년 역본의 번역자에 대해 알아보겠다.〈춘향전〉의 이 역본은 빙

울(冰
蔚)과 장우란(張
友鸞, 1904~1990)의 합작으로 번역된 것이다. 빙울에 대해 구체적인 자료를 찾지 못했으나

북한의 많은 작품을 번역한 것으로 보면 대개 북한에서 중국어번역을 종사한 사람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가 번역한 작품은 대부분이 1950, 60년대에 북한작가들이 창작한 현대소설들이다16. 장우란은 중국 안휘성(安


省) 안경(安
慶) 사람이고, 1924년에 북평평민대학(北
平平民
大學) 신문(新
聞) 전공으로 졸업했고, 이후 北
平《世


報》, 上
海 《立
報》, 南
京 《民
生報》등 신문사에서 總
編輯으로 역임했다. 1953년에 인민문학출판사(人
民文學
出版

15 각주 10번 참고.

16 빙울(冰蔚)이 번역하거나 번역을 참여한 자품들은 다음과 같다. 모두 북한의 작가들의 작품들이다.

李箕永(1895—1984)의 장편소설《土地》 (冰蔚 등 번역,作家出版社,1957年), 《塔》(冰蔚 번역,上海文艺出版社,

1960年). 黄健의《盖马高原》 (冰蔚 번역,1960年),千世峰의《白云缭绕的大地》(冰蔚 번역,1963年),韩成의

시나리오《等着我们吧》 (冰蔚 번역,1956年) 등이 있고, 고전문학은《春香传》(冰蔚 등 번역,人民文学,

1956年)있다.

宋炳辉·吕灿,〈20世纪下半期弱势民族文学在中国的译介及其影响〉,《中國民族文學》, 中國社會科學院民族文學研究

所, 2011.

80
)로 자리를 옮기고 고전문학의 편집(編
社 輯)으로 재직하다가 1963년에 정년퇴직했다. 1950년대부터 전문적으로

고전문학의 편집(編
輯) · 주석(註
釋)·역사(譯
寫)를 종사한다고 한다. 장우란이 중국고전소설과 희극에 대한 모두

깊은 조예를 가지고 있으나17 그가 조선말을 배웠거나 할 줄 안다는 기록이 보이지는 않다. 그리고 그에 대한

소개에서 ‘번역’이라는 말 대신에 ‘역사(譯


寫)’라는 말을 쓴 것도 직접 번역한 것과 구별하기 위해서인 듯하다. 이

렇게 보면 그는 조선말을 못 한 것 같다. 그래서 1956년 역본은 대개 빙울이 원작을 전체로 번역한 다음에 장

우란이 번역본에 대해 다시 윤색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가장 훌륭한 번역 작품은 원작과 역작 양쪽의 언어와 문화에 모두 능숙한 번역자에 의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그런 능력을 갖춘 번역자가 없는 경우에는 원작과 역작 양쪽의 번역자가 합작하는 것은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물론 합작하는 번역자가 각각 다른 쪽의 언어와 문화를 아는 정도도 역작의 수준을 좌우할 수 있

다. 1956년 역본의 경우에는 빙울이 조선말과 중국어를 모두 알지만 고전적인 중국어 구사능력이 완벽하지 못

한 면도 있는 듯하다. 그래서 장우란의 윤문이 필요한 것이다. 장우란은 중국의 고전문학과 희극에 대한 모두

깊은 조예를 가지고 있으나 조선말을 못 한 것 같다. 말하자면 번역자로서 두 사람은 모두 부족한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우란이 비록 가능한 만큼 빙울의 번역문을 윤색했으나 원작의 뜻을 모르기 때문에 빙

울의 번역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빙울의 오역을 발견할 수는 없었다. 빙울도 마찬가지로 장우란의 최종

적인 번역문에서의 오역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1956년 역본이 비

록 오역이나 의사전달이 정확하지 못한 부분도 있으나 원작의 풍모를 어느 정도로 적절하게 재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3.1. 오역과 의사전달이 정확하지 못한 번역

17 장우란이 편집 출판한 고전작품은 《西廂的批評與考證》, 七十二回本《水滸》,《史記》選注 등이 있고, 개편한

희극은〈十五貫〉,〈蝴蝶夢〉,〈淸風樓〉등 있고, 창작한 작품은 《白門秋柳記》,《魂斷文德橋》,《賽覇王》 등이 있

다.

81
이 역본에서 나오는 문제점들을 분류하고 정리하고자 했으나 분류의 기준을 쉽게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여기

서 분류를 하지 않고 작품의 서사전개의 순서에 따라 문제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원문: 오호에 편주타고 범소백을 쫓았으니 서시도 올리없고

역문:范
少伯泛
扁舟游
於五,隨
湖 行
有西施
作伴。那
西施雖
然算得
十分美
貌,比
起這個
人兒,恐
怕還有
些不。

번역문은 “저 서시는 비록 아주 예쁘지만 이 사람에 비하면 아마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라는 뜻으로 춘향을

서시(西
施)와 비교시켜 서시는 춘향보다 덜 예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원문의 중점은 ‘올 리 없다’라

는 문장에 있다. 곧 서시는 범소백(范


少伯)을 따라 갔으니 여기에 올 리가 없다는 뜻으로서 눈앞에 이 미인이

서시일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번역문에서 이런 의미를 전달하지 못했다. 이는 장우란이 조선말

을 모르기 때문에 윤색이 좀 과도하게 한 것이 아닌가 싶다.

원문: 나무집 늙은이는 이롱징도 있나니라 마는 귀 너무 밝은것도 예상일 아니로다 그러한다 하제마는 그럴 리

가 웨있을고 도령님 대경하야 이대로 엿자와라.

역문: 還
叫告:“即
知 便隔壁
住的是
個聾,也
叟 不
當恁般
嚷喚。” 道
令聞,為
言 之
失色,便
央通引
回復,

번역문에서 밑줄 친 부분은 “(사또가) 사람을 시켜 (이도령에게) 전하는 말은 ‘비록 옆집에 사는 사람은 귀가

먼 늙은이라도 이렇게 큰 소리로 치면 안 되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원문은 이도령이 남의 집에 늙은이는 이롱

징도 있지만 자신의 아버지(사또)가 귀가 저렇게 밝은 것도 예상일 아니라고 스스로 중얼거리고 있는 말이다.

사또가 사람을 시켜서 그에게 전하는 말이 아니다. 그래서 이런 번역은 일종의 오역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원

82
문에서 이도령의 이런 말은 아버지 사또에게 상당히 불경스러운 뉘앙스를 갖고 있어서 강한 골계적인 의미를

드러나 있다. 번역이 잘못 되었기 때문에 원문의 이런 골계적 의미도 모두 사라졌다.

원문: 삿도 그새 심심하지요 아 게 앉소 할말있네 우리 피차 고우로서 동문수업 하였건과 아시에 글읽기같이

싫은 것이 없건만은 우리 아 시홍보니 어이아니 길걸손가 이 량반은 지여부지간에 대답하것다 아히때 글읽기같

이 싫은게 어대 있으리요 (중략) 글시듯계 저아히 아홉 살 먹었을제 서울집 뜰에 늙은 매화 있는고로 매화남글 두

고 글을지으로 하였더니 잠시 지었으되 정성듸린것과 용사 비등하니 일남첩기라 묘당에 당당한 명사 될 것이니

남명이 복고하고 부춘추어일수허엿ᄯᅦ 장래 정승하오리다 사도 너머감격하야라고 정승이야 어찌 바래것나마는

내 생전에 급제는 쉬하리마는 급제만 쉽계하면 출육이야 베면이 지내것나 아니요 그리할 말삼이 아니라 정승을

못하오면 장승이라도 되지요 삿도이 호령하되 자내 뉘말로 알고 대답을 그리하나 대답은 하였아오나 뉘말인지

몰라요 그런다고 하였으되 그꼐 또 다 거짓말이엿다

누가 하는 말인지를 잘 구분하기 위해서 우선 위의 인용문을 단락을 나누어 문장부호도 붙이면 다음과 같다.

“삿도 그새 심심하지요?”

“아 게 앉소, 할말있네, 우리 피차 고우로서 동문수업 하였건과 아시에 글읽기 같이 싫은 것이 없건만은 우리아

시홍보니 어이 아니 길걸손가.”

이 량반은 지여부지간에 대답하것다.

“아히때 글읽기 같이 싫은게 어대 있으리요.”

(중략)

“(전략)글시, 듯계 저아히 아홉 살 먹었을제 서울집 뜰에 늙은 매화 있는고로 매화 남글 두고 글을 지으로 하였

더니 잠시 지었으되 정성듸린것과 용사 비등하니 일남첩기라, 묘당에 당당한 명사 될 것이니 남명이 복고하고 부

춘추어일수허엿ᄯᅦ.”

83
“장래 정승하오리다.”

사도 너머감격하야라고

“정승이야 어찌 바래것나마는 내생전에 급제는 쉬하리마는 급제만 쉽게하면 출육이야 베면이 지내것나”

“아니요 그리할 말삼이 아니라 정승을 못하오면 장승이라도 되지요.”

삿도이 호령하되,

“자내 뉘말로 알고 대답을 그리하나?”

“대답은 하였아오나 뉘말인지 몰라요.”

그런다고 하였으되 그꼐 또 다 거짓말이엿다.

역문:

使
道見面
就問:“久
違雅,不
教 知
近來作
何消? 請
遣 坐請, 我
坐 有話相
商。你
我多年
老友, 回
想當初
同窗共
硯之,厭


詩書,不
是打,就
盹 是
玩耍。那
是情,想
景 還
記得。不
意犬子
卻喜讀
書,适
才又乘
興高,我
吟 願
足矣。”


郎廳一
時不曾
把話聽
清,不
知使道
之意何
在,便
含糊回
答:

“兒
時厭讀
詩書,不
是打,就
盹 是
玩耍,果
然是人
皆有。”

(중략)

“(前
略)曾
記得當
初寒舍
尚在京
都之,庭
時 院
中有老
梅矣,那
株 年
犬子剛
剛九歲
,我指
梅為,讓
題 他
作文一
篇,誰
知他竟


思索,援
筆立,從
就 頭
到尾,一
氣呵。引
成 經
據典,取
精用,也
弘 算
得耳聞
則誦,過
目不忘
的了。”


聽道:“似
此奇,必
才 成
名士,當
付春秋
於一.他
笑 日
身居廊
廟,位
列政,是
丞 無
疑的。”

使
道說:“承
蒙過,不
獎 勝
感激。政
丞之,豈
位 敢
夢想。但
求此子
能在我
生前,僥
倖博得
一第,做
個六品
官兒,於
願足矣

。”


聽道:“此
言差,即
矣 使
做不到
政丞,做
個路,總
丞 是
可以。”

使
道聞言
不悅:“如
道 此信口
開河,真
正無。”

84

聽連忙
賠笑而
言:“請
恕無,前
禮 言
戲之.”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역본의 저본에는 문장부호가 없다. 위에 제시한 이 예문은 문장부호가 없기 때문에

번역이 혼란스럽게 된 사례이다. 말을 한 주체가 잘못된 곳 두 군데가 있다. 하나는 “삿도 그새 심심하지요?”라

는 말은 목낭청이 처음 사또를 만날 때 사또에게 하는 말이다. 그러나 번역문에서 반대로 사또가 목낭청에게

하는 말로 번역되었다. 다른 하나는 “묘당에 당당한 명사 될 것이니 남명이복고하고 부춘추어일수허엿ᄯᅦ”라는

말은 사또의 말인데 번역문에서 목낭청의 말로 번역되었다. 그리고 원문에서 “남명이복고하고 부춘추어일수.”

라는 말의 앞 절인 ‘남명이북고’는 번역문에서 아예 빼버렸다18. 이런 혼란스러운 번역은 빙울이〈춘향전〉의 원

작을 정확하게 해독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 아닌가 싶다.〈춘향전〉이라는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이 없

지만 단락구분과 문장부호가 없는 목판본은 누구나 읽을 줄 아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이 부분의 역문에서 또 하나의 문제는 목낭청의 골계적인 인물형상이 약화되었다는 점이다. 원작에서의 목

낭청은 사또의 말뜻을 잘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또의 말을 따라가기만 하고 ‘정승’과 ‘장승’을 헷갈릴 정도

로 우스꽝스러운 인물이다. 그의 이런 형상은 그가 처음 등장할 때부터 사또와의 대화가 끝날 때까지 일관되어

있다. 사또가 “자내 뉘말로 알고 대답을 그리하나?”라고 책문할 때 목낭청은 “대답은 하였아오나 뉘말인지 몰라

요.”라고 대답했다. 여전히 정신을 차리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번역문에서 목낭청의 대답을 “請
恕無,前
禮 言


耳.”로 곧 “무례를 용서해주시오, 아까 한 말은 농담입니다.”로 번역했다. 사또에게 꾸짖음을 듣고 나서 곧바로

정신을 차리고 사또에게 사과를 했다는 것이다. 이런 번역은 그가 끝까지 정신을 차리지 못한 인물형상임을 거

18 북한 〈춘향전〉에서 이 문장에 대한 주해는 다음과 같다.

“자세치는 못하나 부춘수어일수 이란 말은 부춘추어일소(付春秋於一笑)인 듯하고 년령은 한 웃음에 붙인다는

뜻으로 나이는 문제가 아닌가 한다. 남명이북고이란 말은 자세치 않다.” (105쪽)

필자도 이 구절의 출처를 찾지는 못했으나 ‘眄’과 ‘顧’는 모두 ‘보다’라는 뜻으로 보면 이 문장은 “주위를 살

펴보니 부족함이 없어(아들이 묘당에 당당한 명사가 되었으니 부족함이 없다), 점점 늙어가는 나이도 한

번 웃음으로 넘어가겠다.”라는 뜻이 아닌가 싶다.

85
의 표현해내지는 못했다. 그리고 ‘정승’과 ‘장승’를 ‘政
丞’과 ‘路
丞 ’로 번역한 것은 원문에서 발음 비슷해서 일어

나는 해학적인 의미도 잘 표현하지는 못했다. 그래서 이 부분의 웃음유발은 중국독자들에게 거의 효과가 없다

고 할 수 있다. 전체로 볼 때 번역문에서 목낭청의 골계적이고 우스꽝스러운 성격은 거의 재현되지 못했다.

원문: 언겁질에 하는 말이 도령님이 방자모시고 오셨다오

역문: 春
香這才
吞吐言
道:“那
房子,引
着李道
令來。”

원문에서 춘향은 너무 긴장해서 말을 거꾸로 했다. 곧 원래 “방자가 도령님을 모시고 오셨다오.”라고 했어야

하는 말을 “도령님이 방자모시고 오셨다오.”라고 거꾸로 했다. 번역문에서 이런 점을 간과해서 “방자가 이도령

을 데리고 오셨다오.”로 번역했다. 이렇게 번역한 결과 춘향이 긴장하며 말을 제대로 못하는 우스운 모습을 모

두 적실하게 표현해내지 못했다.

원문: 그 아히 반색하며 설울을 저건네로 아르시오

역문: 童
兒聽說
,不覺
大喜:“這
道 更好,我
了 不
用進京
去了!”

엄격하게 말하자면 이 번역문은 원문의 뜻을 하나도 번역해내지 못했다. 원문에서 편지를 전하는 아이가 이

도령의 말을 듣고 분명히 상당히 불쾌(반색)한다. “서울을 저 건네로 아르시오”라는 말은 일종의 반어로서 “서울

이 어디인지 아시나 해요? 그 건너편에 있는 줄 아시오?”라는 뜻인데 이도령을 풍자하는 의미가 뚜렷하게 드러

나 있다. 그러나 역문은 아이가 이도령의 말을 듣고 나서 아주 기쁘고(大


喜), “잘 된다, 내가 이제 서울로 안 가

도 되겠네.”라는 식으로 번역했다. 앞에서 나오는 이도령의 말을 철저히 믿는 식으로 번역되어 있다. 이는 물론

86
일종의 오역이다. 그리고 신분 낮은 방자가 신분 높은 어사를 풍자하는 것도 독자들에게 권위를 무시하고 도전

하는 쾌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번역문만 볼 수 있는 중국의 독자들은 이런 흥미를 놓칠 수밖에 없다.

원문: 홧김에 달려들어 코를물어 뗄라하니 내탓이제 코탓인가

역문: 香
母氣得
一時忍
耐不,鼻
住 子
抽動,急
淚直,嚎
流 啕
痛哭。

여기서도 원문의 뜻을 완전히 다르게 번역했다. 번역문은 전체적으로 월매의 슬픔을 묘사하고 있다. “鼻
子抽

,急
動 淚
直流,嚎
啕痛.(코를 발록거리고 닭똥 같은 눈물이 줄줄 떨어지며 큰 소리로 울기 시작했다.)”는 월매

가 우는 모습을 과장하게 묘사한 것이고, 원문에는 없는 내용이다. 그러나 원문에서는 원매가 너무 화가 나서

입으로 이도령의 코를 물었다는 극단적인 행동을 했다. 이도령의 코를 물었다는 행동 자체는 극단적이면서도

해학적인 의미가 강한 표현이다. 그리고 공격을 당한 이도령이 “내 탓이지 코 탓인가?”라는 말도 아주 익살스러

운 표현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런 재미는 번역문에서 모두 재현하지 못했다.

원문: 어 추워라 문 들어온다 바람닫어라 물마른다 목듸여라

역문: “趕
快與我
關上,休
風 教
門來吹
乾了。 …… 我
水 的嗓子
幹了。”

긴장해서 말을 거꾸로 하는 이 부분의 역문은 앞에서 살펴본 춘향이 “이도령이 방자를 모시고 오셨다오.”와

같은 표현이다. 번역문에서 이번에 이런 말을 거꾸로 하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번역은 “빨리 바람 닫아라,

문이 들어와 물을 마르게 부르지 말게. 내 목이 마르다.”라는 이상한 문장으로 되어 있다. (중국어 문장도 이해

하기 어려운 비문이다.) 원문에서 ‘문’과 ‘바람’, 그리고 ‘물’과 ‘목’의 각각 자리를 바뀌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

으나 번역문에서 제대로 표현하지는 못했다. 이런 경우에는 네 개의 짧은 문장으로 간단하게 번역할 수 있었는

87
데 역자가 중간에 ‘문 들어온다’와 ‘물 마른다’ 두 문장을 합쳐서 하나의 문장으로 이상하게 번역했다. 물론 원문

이 지니는 골계적인 정취도 이런 적절하지 못한 번역 때문에 사라질 수밖에 없다.

원문: 낙춘이가 들어오며 얼시고 절시고 좋을시고 우리 남원도 현판감이 생겼구나

역문: 落
春 “啊
依咕,不
得了!這
從哪說
裡起,如
今南原
可真出
了‘青
天’了
。”

우선 ‘청천(靑
天)’은 중국에서 정직하고 청렴한 관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역문에서 낙춘의 말은 “이제 우리 남

원에서도 ‘靑
天’이 나오시네.”라는 것으로 변학도를 풍자하는 말로 번역되어 있다. 그러나 원문에서의 ‘현판감’은

열녀를 표창하는 현판의 뜻으로서 춘향을 가리키는 말이다. 낙춘의 말은 “이제 우리 남원에서도 열녀가 생겼구

나.”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원문은 잘못 번역되었다.

이상 1956년〈춘향전〉역본에서의 일부 오역과 적절하지 못한 번역을 살펴보았다.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언급

했듯이 빙울이 원작에 대한 해독을 부정확하게 한 것이 여러 군데가 있다. 빙울은 북한 사람이지만 완판〈춘향

전〉을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는 역량이 좀 완벽하지 못한 면이 있는 듯하다. 그래서 문장부호가 없기 때문에

사또와 목낭청의 대화를 혼란스럽게 번역한 경우도 있고, 작중인물들의 말의 진정한 의미를 잘못 파악한 경우

도 있었다. 이런 오역 외에는 번역자의 과도한 해석도 있었다. 예를 들면

원문: 나도 미장전이라 피차언약이 이러하고 륙례난 못할망정 량반의 자식이 일구이언을 할리있나

역문: “我
乃未婚
之人,成
親以,定
後 以
春香為
正室,絕
不稱。”

원문에서 이도령이 ‘륙례난 못할’다는 말은 정식적으로 혼례를 치르지 못한다는 뜻이다. “량반의 자식이 일구

이언을 할리 있나?”라는 말은 자신이 춘향에게 준 약속을 저버리지 않고 잘 지키겠다는 뜻이다. 단 그런 ‘약속’

88
이 무슨 뜻인지 춘향과 월매, 그리고 이도령도 모두 잘 알고 있다. 부친의 승직으로 인해 먼저 서울로 올라가야

한다는 이도령의 말의 진정한 뜻을 알아듣지 못한 춘향이 “도련임 날만 믿고 장개 안이 갈 수 있소. 부귀영총

재상가의 요조숙여 가리여서 혼졍신성 할지라도 아주 잇든 바옵소셔. 도련임 과거하야 벼슬 높아 외방가면 신

래마마 치행할 제 마마로 내 세우면 무삼 마리 되오릿가?”19라고 했다. 이런 말을 통해 춘향이 자신의 처지를

잘 알고 있고, 기대하던 것도 ‘마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번역자는 이도령의 말을 “결혼한 후

반드시 춘향을 정실(正


室)로 삼고 절대 첩으로 대접하지 않겠다.”라는 식으로 과도하게 번역했다. 지나친 말일

수도 있지만 춘향과 원매가 처음부터 ‘정실(正


室)’의 자리를 바라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이런 과도한 번역은 원

작에 대한 왜곡일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역본에서 오역이 많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오역이 원문의 골계적인 의미가 강한 부분에

서 일어난 것은 문제이다. 그 결과 원작의 ‘골계미’가 많이 약화되었다는 아주 중요한 손실을 초래했다. 빙울의

경우에는 잘 모르겠지만 장우란이〈춘향전〉의 골계적이고 해학적인 매력을 알지 못한 것은 아주 안타까운 일이

라 해야 한다. 그런 골계미를 알았으면 그의 실력으로 충분히 그것을 재현해낼 수 있었을 것이다.

3.2. 고전적인 언어와 희극적인 언어로 재현한 운미(韻


味)

〈춘향전〉의 모든 중역본에서 1956년 역본은 고전적인 정취를 가장 잘 표현하는 역본으로 뽑힐 수 있다. 역

본에서 중국 고전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常
言道得
好’, ‘俗
話說’ 등 상투어뿐만 아니라 ‘一
失足成
千古,再
恨 回


百年.’나 ‘生
身 是你家
人,死
是你家
鬼.’ 그리고 ‘落
時鳳凰
不如’ 등 중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속어나

속담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주인공의 말도 모두 신분이나 처하는 상황과 어울리게 번역되어 있다. 장면

묘사나 주인공의 감정을 길게 서술하는 부분에서 대비(對


比)나 대구(對
句), 한시(漢
詩), 그리고 중국의 전통 희극

(戱
劇)적인 문장을 사용해서 원작의 운미(韻
味)를 최대로 재현하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오역이나 적절하지 못한

19 북한〈춘향전〉(연변교육출판사), 50쪽.

89
번역들도 있지만 전체로 볼 때 중국독자들이 충분히 친근감을 갖게 할 수 있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역본이라

할 만하다. 다음으로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다.

원문: 나구안장 지을제 홍연자개 산호편 옥안 금편 황금륵 청홍사 고흔굴네 주머강모 덤벅달아 청청다래 은입

등자 호피도듬의 전후거리 줄방울을 념불범사 념주메듯 (17쪽)

역문: 玉
鞍錦鞭
黃金,絲
勒 韁
五彩朱
青色,照
眼銀蹬
垂兩,恰
側 似
佛珠來
裝飾。(7쪽)

인용문은 나귀안장의 부분인데 원문에 나오는 안장과 구체적인 장식물에 대한 묘사가 아주 세밀하고도 복잡

하다. 그런 것들을 대응하는 중국어를 일일이 찾는 것도 쉽지 않고 그것들을 단순히 나열하는 번역문도 무미

(無
味)한 명사의 쌓임이 될 것이다. 번역자가 원문에서 나오는 모든 명사를 일일이 번역하지 않고 대신에 주요

한 장식만 골라서 집중적으로 묘사했다. 그리고 4구의 한시 형식도 원문의 긴 묘사보다 간결하다.

원문: (살펴보니) 록음속에 홍상자락이 바람결에 내빛이니 구만장천 백운간의 번개불이 쐬이난 듯 첨지재전 홀

연후라 앞으얼른 하는양은 가부야운 저제비가 도화일점 떨어질제 차려하고 쫓이는 듯 뒤로반 듯 하는 양은 광풍

에 놀랜 호접 짝을잃고 가다가 돌치난 듯 무산서녀 구름타고 양대상에 나리는 듯 (20~21쪽)

역문:(此
情此,好
景 有
一比)Ⓐ綠
蔭千,紅
尺 裳
迎風放
異彩。長
空萬,白
里 雲
閃電發
奇光。瞻
之在,忽
前 焉
在後. Ⓑ蕩


時,如
盈盈燕
子,桃
紅一.蕩
點 向
後時,似
翩翩蝴
蝶,粉
翼雙. Ⓒ哪
飄 裡是人
家女子
挽繩戲
弄秋千
架,分
明是巫
山神女
乘云


舞在陽
臺。(10쪽)

이 부분은 그네를 타는 춘향의 모습을 묘사한 내용이다. ⒶⒷⒸ부분에서 모두 대구를 사용하고 있다. 약간

90
긴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대구 양쪽의 자수(字
數)를 엄격하게 지키고 있다. 그리고 Ⓒ부분의 문장에서 ‘哪
裡是~’

와 ‘分
明是~’은 대응이 잘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전적인 백화문(白
話文)의 말투도 중국의 고전소설의 문장과

아주 비슷하다. 대구를 잘 사용하는 것은 이 역본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하나의 예문을 또

보자.

원문: 년구한 별초당에 등롱을 밝혔난듸 비들가지 늘어저 불빛을 가린모양 구실발이 갈공이에 걸인듯하고 우

편에 벽오동은 맑은이실이 뚝뚝떨어저 학의꿈을 놀래난 듯 좌편에 섯난반송 청풍이 건듯불면 로룡이 굼이난 듯

창전에 심은 파초 일란초 봉미장은 속잎이 빼여나고 수심여주 어린 련꽃 물밖이 계우떠서 옥로를 바쳐있고

역문: 那
後院有
一年久
之“別
草堂”,另
是一番
情景,但
見:


室華燭
高燒,推
出一輪
明月。庭
前垂楊
輕曳,織
就半幅
珠簾。右
則碧桐
落子,琤
瑽有聲
,欲驚
鶴夢。左
則蒼松
拔天,矯


作態,待
幻龍。芭
行 蕉
綠滿,蕙
蘭香。鳳
飄 尾
之草,盈
盈展翠
於階。菡
除 萏
之花,亭
亭玉立
乎池。層
沼 巒
疊嶂,假
山聳金


之峰。貼
水浮,新
波 荷
張碧玉
之冠。

이 부분의 역문도 ②번의 예문처럼 거의 전체로 대구로 되어 있다. 이는 상당한 고문(古


文) 실력을 갖춘 사람

이 아니라면 하기 힘든 일이다. 그리고 대구의 형식도 아주 다양하다. 4․4자나 5․5자로 대응하는 짧은 문장도 있

고, ‘鳳
尾之,盈
草 盈
展翠於
階除.’과 ‘菡
萏之,亭
花 亭
玉立乎
池沼.’과 같은 긴 대구문도 있다. 그리고 ‘右
則~’과 ‘左

~’를 대응하는 문장도 대구형식이 잘 지켜지고 있다.

원문: 신선을 내몰라도 영주에 노던선녀 남원에 적거하니 월궁에 뫼던선녀 벗하나를 잊었구나 네얼굴 네태도

는 세상인물 아니로다. (25쪽)

91
역문: 真
乃是九
天仙女
下塵,月
凡 宮
嫦娥降
南原。如
此佳,卻
人 還
是小姑
居處尚
無郎!(14쪽)

밑줄 친 부분은 원문과 역문의 뜻은 각기 다르다. 원문은 춘향의 미모와 고운 태도에 대한 이도령의 감탄이

고, 역문은 “이런 가인(佳


人)이 아직까지 낭군이 없는 처자이로구나.”의 뜻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오역’으로

볼 수는 없고, 오히려 상당히 뛰어난 ‘의역(意


譯)’으로 봐야 한다. 원문에는 이도령이 춘향의 아름다움을 감탄하

는 표현과 달리 역문에는 이런 아름다운 미인이 아직 낭군이 없으니 내가 그녀의 낭군이 될 수 있거나 되고 싶

다는 흥분되고 떨리는 기쁨을 생동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문: 리화도화 만발할제 수변행락 어이하며 황국단풍 늦어갈제 고절능상 어이할고 독수공방 긴긴밤에 전전반

칙 어이하리 쉬나니 한숨이요 뿌리나니 눈물이라 정막강산 달밝은 밤에 두견성을 어이하리 상풍고절 만리변에

짝찾난 저 홍안성을 뉘라서 금하오며 춘하추동 사시절에 첩첩이 쌓인 경물 보난것도 수심이요 듣난것도 수심이

라. (55쪽)

역문:


月裏來
百花,桃
香 李
爭榮鬥
菲芳,人
家夫婦
遊春,我
去 春
香萬轉
遷回懶
梳妝。


月裏來
白晝,月
長 夜
沈沈好
風涼,杜
鵑啼血
聲聲,我
淚 春
香輾轉
難眠在
炕床。


月裏來
菊花,楓
香 葉
鮮紅傲
風霜,天
高氣爽
雁飛,我
過 春
香寂寞
空閨枉
斷腸。


月裏來
雪飛,松
揚 柏
長青不
發黃,淩
霜勵節
女兒,長
事 夜
慢慢剎
愁我春
香。(44쪽)

이 부분의 번역문은 완벽하다고 할 만하다. 우선 이 역문은 춘하추동(春


夏秋)으로 나뉘어 있는 형식을 취하

고 있다. 그리고 ‘~月


里來~’라는 형식은 중국전통 노래의 전형적인 형식이기도 한다. 한국의 ‘월령가(月
令歌)’와

92
비슷한 형식의 노래형식이다20 . 그리고 역문의 전체의 압운(押
韻)이 상당히 정밀하다. 굵게 표사하는 글씨들인

(xiang)·芳
香 (fang)·狀
(zhuang)·長
(chang)·涼
(liang)·床
(chuang)·霜
(shuang)·腸
(chang)·揚
(yang)·黃
(huang)은 모두 하나의

운자인 ‘ang’운(韻
)을 지키고 있다. 이렇게 전체로 같은 운을 잘 지키는 것은 노래로 부를 때 자연히 음악적 운

미를 자아낼 수 있다. 단순히 읽어도 운자를 잘 맞추기 때문에 일어나는 음악의 미감이 절절히 드러날 수 있다.

이런 번역문은 원문의 판소리의 음악적인 성격과 ‘이곡동공(異


曲同)’의 묘미가 있다. 그리고 춘․하․추의 마지막

절이 모두 ‘我
春香’으로 시작되어 있지만 마지막 冬
절에는 ‘아춘향’의 위치를 바꾸어 문장의 마지막 부분에 붙여

있다. 이렇게 전체로 정연(井


然)히 배열되어 있는 형식에서 갑자기 나오는 변화는 일종의 ‘영동(靈
動)’의 효과를

만들어 냈다. 슬프고 외로운 감정을 노래하고 있지만 그런 슬픔 안에서도 ‘생동감’이 가득 차 있다. 기운이 빠진

그런 단조로운 신음이 아니라 외로움과 원망을 품고 있는 사람이 생생하게 살아있고 자신의 애원을 ‘진지하게’

노래하고 있다는 미감이 있다.

그리고 이 부분의 번역은 원문의 구절을 그대로 따라서 한 것은 아니다. 내용이 같지만 역문은 중국의 전통

적인 희곡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Marianne Lederer에 따르면 번역은 하나의 ‘텍스트’를 ‘이해’한 다음, 이 ‘텍스

트’를 다른 언어의 ‘텍스트’로 ‘재현’하는 것이라고 한다21. 이 부분의 번역은 이런 번역의 정의를 아주 적실하게

보여주었다. 번역자는 원문에서 춘향이 이별을 앞두고 장차 다가올 자신의 외로움을 상상하면서 슬피 우는 그

런 심정과 정서라는 ‘텍스트’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이런 ‘텍스트’를 중국어의 ‘텍스트’로 생동하게 재현해냈

다. 두 ‘텍스트’는 다르지만 감정과 정서는 놀랍게도 일치한다.

20 예를 들면 동북(東北)지역에 설날에는 즐겨 부르는 이인전(二人傳: 남녀 두 사람이 같이 노래하는 전통적

인 노래형식. )에서 ‘正月裏來是新年.’이라는 노래가 있다.

황매희(黃梅戱)〈孟姜女十二月調〉도 전형적인 ‘월령가’의 형식이다.

正月裏來是新春, 家家戶戶掛紅燈。 老爺高堂飲美酒, 孟姜女堂前放悲聲;

二月裏來暖洋洋, 雙雙燕子繞畫梁, 燕子飛來又飛去, 孟姜女過關淚汪汪;

三月裏來是清明, 桃紅柳綠處處春。 家家墳頭飄白紙, 處處埋的築城人;

四月裏來養蠶忙, 桑園裏想起範杞良。 (후략).


21 Marianne Lederer, 전성기 옮김, 《번역의 오늘 (해석 이론)》, 3쪽.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93
이 역문의 가장 큰 특징은 그 희곡적인 음악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판소리는 ‘아니리’와 ‘창’의 형식을 동시

에 가지고 있는 강창(講
唱)예술이다. 소설은 읽는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원래의 음악적 성격을 여전히 유지하

고 있다. 앞에서도 강조했듯이 위의 번역문도 비록 읽는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읽을 때 리듬감과 운자로 인

하여 나오는 음악적인 미감이 자연스럽게 드러나 있다. 이런 음악적 성격이 ‘옥중자탄가’의 번역에서도 잘 드러

나 있다.

원문: 이내죄가 무삼죄냐 국곡투식 아니거던 엄형숭장 무삼일고 살인죄인 아니여든 항쇄족쇄 웬일이며 역률강

상 아니여든 사지결박 웬일이며 음행도적 아니여든 이형벌이 웬일이교 삼강수는 연수되여 청천일장지에 내의서

름 원정시여 옥황전에 올이고서 (후략)

역문:


身在深
閨犯了
什麽,無
罪 緣
無故受
災殃?我
飢來沒
有偷國
谷,為
何杖刑
把我?


沒有殺
人做強
盜,為
何披枷
帶鎖睡
刑床?我
沒有觸
犯綱常
忤逆,為
罪 何
要我把
命喪?


沒有治
容去淫
穢(诲
淫),為
何要嚴
刑拷打
在公?我
堂 愿
那三鋼
之水化
為墨,把
汁 我
的冤情
寫作青
詞奏玉
皇.(後
略)

이 부분의 역문은 중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희극(戱


劇)의 창강(唱
腔)으로 번역되어 있다. 위에 ⑤의 인용문도

희곡의 창강으로 볼 수 있다. 원문은 한국 사람이 익숙한 4․4자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역본에서는 중국 사람이

익숙한 백화(白
話)식의 창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굵게 표시된 글자들인 殃
(yang)·傷
(shang)·床
(chuang)·喪
(sang)

·堂
(tang)·皇
(huang)도 같은 운자인 ‘ang’운(韻
)을 전체적으로 잘 맞추고 있다. 읽을 때나 노래로 부를 때 음악

적인 운미를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창(唱
)’의 형식으로 감정을 길게 표현하는 것은 판소리와 중국의 전통희곡의 공통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⑤와 ⑥의 예문을 보면 판소리와 가장 잘 어울리는 번역형식은 단순히 고전적인 언어로 고풍스럽게 이야기를

94
재현하는 소설의 형식보다는 강창(講
唱)형식을 가진 전통적인 희곡의 형식이 더 잘 어울린 것 같다. ‘강(講
)’은

판소리의 ‘아니리’와 대응하고, 창(唱


)은 판소리의 ‘창’과 같은 성격의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문언소설(文
言小


)이든 백화소설(白
話小說
)이든 고전소설에서도 시(詩
)나 사(詞
)가 들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그런 것들은 창(唱
)

의 성격과 다른 것이다.

창의 형식도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위에 인용한 ⑤와 ⑥은 모두 춘향의 노래이다. 이 노래에서 애원이

나 슬픔, 연약함이나 외로움 등 여성적인 정서들을 느슨하면서도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도령의 노

래는 다르다. 노래를 부르는 상황도 다르지만 남성의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도 다르다. ‘宮
字歌’를 예로 보자.

원문: 좁은천지 개태궁 뇌성벽력 풍우속에 서기삼광 풀려있는 염장하다 창합궁 성덕이 너부시사 조림이 어인

일고 주지객운 성하던 은황의 대정궁 진시황 아방궁 문천하득 하실적에 한태도 함양궁 그저티 장락궁 반첩녀의

장신궁 당명황제 상춘궁 이리올라 리궁 저리올라서 벽궁 룡궁속에 수정궁 월궁속에 광한궁 너와 나와 합궁하니

한평생 무궁이라

역문:


陽配合
交泰,雷
宮 鳴
電閃風
雨中。聖
德廣大
蒼合,霞
宮 光
瑞氣何
璁瓏。殷
王蓋座
大庭,酒
宮 池
肉林樂
無窮。秦
始皇帝


宮,四
海統一
得天。漢
下 祖
先居咸
陽宮, 後
來又蓋
長樂。唐
宮 明
皇有賞
春宮,班
婕妤居
長信。東
宮 也
宮來西
也宮,朝
朝代代


多宮,那
些宮兒
還不,更
算 有
離宮和
碧宮。那
些宮兒
還嫌,龍
少 宮
裏面更
有水晶
宮,月
宮裏面
更有廣
寒宮. 你
和我,合
了宮,


此一生
一世永
無窮(宮
)。

이 역문은 거의 전체로 칠언(七


言) 한시의 형식으로 ‘궁’자 ‘운(韻
)’을 맞추어 번역되어 있다. 전체로 일정한 형

식을 유지하기 위해 조금 첨가한 내용도 있다. 번역문의 전체는 신나고 유쾌한 분위기가 넘치면서도 남성적인

씩씩하고 강건한 정서가 가득 차 있다. 시의 형식은 원래 남성적인 특성을 잘 표현하는 형식이다. 그리고 이 부

분의 번역문은 전체가 모두 한시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마지막부분에서 다시 희곡의 창(唱


)의 형

95
식으로 되어 있다. 내용에 있어서도 앞부분은 역대 제왕의 궁궐들을 노래하고 마지막으로는 자신과 춘향의 사

랑(합궁)에 귀결했다. 제왕들이 화려하고 웅장한 궁궐과 아름다운 미인들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자신(이도령)이

원하는 것은 춘향과의 ‘합궁’이다. 이 부분의 내용은 ‘천자문’을 노래하는 부분의 성격과도 비슷하다. 처음에는

진지하게 노래하다가 뒤에 가면 갈수록 장난이 심해진다. 이 부분의 역문도 뒤에 가면 갈수록 가뿐하고 경쾌해

진다. 한시는 제왕들의 기세와 그것을 대표하는 궁전의 웅장함을 표현할 때 적절한 형식이지만 전체 내용을 한

시로 번역했으면 오히려 딱딱한 느낌을 들기 쉽다. 그래서 마지막 부분에서 백화형식의 희곡언어로 종결을 맺

으면서 다시 눈앞에 있는 평범한 남자인 자신(이도령)의 현실세계로 돌아왔다.

전체적으로 볼 때 1956년 역본은 원작의 고전적인 정취와 판소리의 음악적 성격뿐만 아니라, 주인공들의 슬

픔과 기쁨 등 감정도 아주 적실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는 고문과 희곡언어에 대한 비범한 실력을 가진 번역자

가 아니라면 불가능한 일이다. 여기서 두 번역자의 실력을 다시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빙울의 경우에는 중국에

서 번역된 북한의 작품에서 쉽게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있을 만큼 유명한 번역자이다. 그러나 그의 역작을 두루

살펴보면 거의 모두 1950, 60년대의 현대작가의 작품들이고,〈춘향전〉은 그의 역작에서 유일한 고전작품인 듯하

다22. 장우란의 경우에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중국의 고소설과 희극에 대해 모두 깊은 조예를 가진 사람이다.

직접 고소설을 주석․교정하기도 하고 희극을 개편하기도 했다. 그래서 이 역본에서의 아름다운 고문과 혼연천

성(渾
然天)의 창사(唱
成 詞)는 장우란의 공적(?)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물론 빙울의 번역이라는 기반이 없었다면

장우란의 윤색도 불가능한 것이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두 번역자의 합작은 상당히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단,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이 역본에서 오역이나 의사전달이 명확하지 못한 부분도 있다. 이는 두 가지 방면

으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빙울의 번역자체가 문제가 있었다는 가능성이 있다. 앞에서 제시한 사

또와 목낭청의 대화 부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문장부호가 없는 원작을 해독할 때 약간의 실수가 있을 수 있었

다. 다른 하나는 장우란이 빙울의 번역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다는 가능성도 있다. 외국인의 경우에는 원작

의 뜻을 잘 이해하면서도 중국어로 다시 표현할 때 정확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빙울의 표현이 명

22 각주8번 참고.

96
확하지 못했다면 장우란이 그 표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었다. 그래서 오역이 발생하

거나 의사전달이 잘못되는 문제가 생겼다. 그리고 이런 오역과 잘못된 번역 때문에 원문의 혜학과 골계적인 미

감이 많이 떨어지었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역본이 상당히 성공적

인 역본이라 할 만하다. 고문과 전통적인 희곡언어로 고전적인 정취와 판소리의 음악적 성격, 그리고 주인공들

의 감정을 적실하게 표현해내기 때문이다.

4, 결론

어떻게 번역해야 훌륭한 역작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의 문제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나름의 의견을 제시하며

논의한다. 원작과 역작 양쪽의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나 풍속도 잘 알아야 하는 것은 기본적인 조건으로 거론되

곤 한다. 번역자가 원작 작가 못지않게 문학적인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논설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춘

향전〉같은 고전소설을 번역하는 데 이런 문제 외에는 더 하나의 중요한 문제가 있다. 곧 고전적인 용어와 문장

으로 원작의 미감을 재현하는 것이다. 고대어와 현대어가 다르다는 것은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문화현

상이다. 현대의 독자들도 고전작품을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고전작품을 현대어로 번역하는 학자도 많다. 그러

나 한 나라의 고전작품을 다른 나라의 언어로 번역하는 것은 절대 단순히 하나의 ‘번역’작업이 아니다. 전통적

인 예술의 표현방식, 원작의 격조와 잘 어울리는 용어나 말투, 역작 독자들의 수용태도와 심리 등 많은 요소들

을 고려해야 한다. 가장 전형적인 사례로 예를 들면, 셰익스피어(Shakespeare)의 작품을 중국어나 한국어로 번

역할 수 있지만 원작의 정취와 미감을 제대로 표현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마찬가지로 영어로 중국고대

의 한시나 조선시대의 시조를 번역하는 데 한시나 시조가 가지고 있는 미감을 적절하게 표현해내는 것도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고대어와 현대어의 차이에 대한 심중한 인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면 고전작품을 쉽게 ‘현대역’

으로 평범한 현대작품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런 방식의 번역은 하나의 이야기를 다른 언어로 다시 한 번 서술하

는 차원에만 멈추어 있을 뿐, 원작의 미감과 정취를 재현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작품에서 깊이 담고 있는 작가

97
의 사상, 주인공들의 감정, 당시사회에 대한 세밀한 관찰 등을 번역해내지 못하면 원작이 고전작품으로서의 가

치도 많이 파괴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잘못된 번역은 원작을 쉽게 죽일 수 있는 범인이 될 수도 있다.

1956년 역본은 우선 저본이 이미 문제가 있는 판본이라 할 수 있다. 성적인 내용은〈춘향전〉이 오랜 세월 동

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다. 이런 의미에서 성적인 내용들은〈춘향전〉의 독특

한 매력이기도 한다. 이런 성적인 내용에 대한 인식은 연구자와 독자들의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고전작품의 원래의 모습이 현대사회에서도 그대로 유지해야만 그런 작품의 완전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런 의미에서 북한의 ‘윤색’작업은 사실 〈춘향전〉에 대한 일종의 파괴로 볼 수도 있다.

이 역본의 번역상황과 특징에 대한 앞에서의 분석에서 이미 어느 정도로 논의를 해봤는데 여기서 번거롭게

정리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강조하고자 하는 문제가 따로 있다.〈춘향전〉의 5종의 소설역본 중에서 이

역본만 ‘국가의 차원’에서 양국의 번역자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국가의 차원’을 강조한 것은 우선 양쪽

의 번역자가 모두 자기 나라에서 어느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은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국가의 차

원’에서 이루어진 작업이라는 것은 경제적인 요소들이 어느 정도로 배제될 수 있는 단순한 문화산업으로 볼 수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런 여러 유리한 조건을 종합적으로 볼 때 이 역본은〈춘향전〉의 가장 훌

륭한 역본이 된 가능성이 충분히 있었다. 그렇게 되지 못한 것은 좀 아쉽지만 중국 대륙에서 최초의 역본으로

서 이 정도로 되는 것은 사실은 이미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거듭 언급했듯이 1956년 역본은〈춘향전〉

의 모든 중국어 역본에서 원작의 격조와 가장 비슷하고, 원작의 고전적인 정취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역본

이다. 중국에서 2000년 후에 또 3종의〈춘향전〉역본이 나왔지만 여러 면에서 1956년 역본보다 못한 부분이 많

다. 이런 문제에 대한 논의는 다음 기회로 미루겠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필자가 갖고 있는 계획은 〈춘향전〉의 모든 역본에 대한 연구이다. 그래서 다른 역본에

대한 분석을 별도로 진행할 예정이다. 1956년 역본의 특징과 양상에 대해 고찰한 본고는 〈춘향전〉의 중국에서

의 번역과 개작에 대한 연구 중 하나로 수행한 것이다. 다른 역본과의 비교도 이런 기초 작업을 완성한 다음에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미진한 논의는 후속연구에서 보완하도록 하겠다.

98
【참고문헌】

자료:

〈춘향전〉(중국어), 冰
蔚,張
友鸞譯.作
家出版
社,北
京, 1956.

〈춘향전〉(한글), 성기수 역음. 글솟대. 2005.

〈춘향전〉(한글), 연변교육출판사, 1955.

단행본과 논문:

강진모,〈《고본 춘향전》의 성립과 그에 따른 고소설의 위상 변화〉,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윤종선,〈〈춘향전〉에 나타난 기녀문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전영선,〈〈춘향전〉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접근 태고〉,《민족학연구》4, 한국민족학회, 2000.

전영선,〈북한의 민족문학이론가 · 문학평론가 윤세평〉,《북한》, No.345. 2000.9.


炳辉·吕
灿,〈20世
纪下半
期弱势
民族文
学在中
国的译
介及其
影响〉,《中
國民族
文學》,中
國社會
科學院
民族文
學研究
所,2011,9

Marianne Lederer, 전성기 옮김, 《번역의 오늘 (해석 이론)》, 3쪽.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中
文概】


稿對1956年
北京作
家出版
社出版
的中〈春
文 香
傳〉的
翻譯狀
況進行
了考。首
察 ,這
先 一
版本是
以北韓
的〈春
香傳〉為


進行翻
譯的。雖
然北韓
稱自己
的〈春
香傳〉為
完版84張
〈烈女
春香守
節歌〉,但
是實際
上是將
完版84張
本中的
比較色
情的


容全都
刪除了
的版本
。北韓
的版本
刪除了
這些內
容,北
韓的讀
者,以
及可以
看翻譯
本的中
國的讀
者,從
最初的
時候,


被剝奪
了接觸
這樣內
的容的
權力。


一翻譯
本是北
韓翻譯
家冰蔚
和中國
作家張
友鸞合
作譯就
的,本
來這樣
的合作
可以翻
譯出很
好的版
本,但
是由於
冰蔚


原作的
翻譯本
身就有
一定的
錯誤,似
乎不懂
朝鮮語
的張友
鸞也無
法發这
現些錯
誤,所
以就導
致了這
一譯本
在翻譯
上的

99
一些不足之處。但
是,這
樣的錯
誤並不
是很。這
多 一
譯本最
大的特
點是,運
用了中
國的俗
語,古
語和傳
統戲劇
性的語


原作(판소리)的
說唱藝
術的特
點非常
生動地
再現了
出來。翻
譯本中
的對,對
偶 ,還
仗 有
押韻都
運用地
非常成
功,很
大程


上講原
作的韻
味很好
地表達
了出,因
來 ,雖
而 然
也有一
定的錯
誤,但
整體而
言,可
以說這
是一部
非常成
功的譯
作。

〈中
心語〉:〈春
香傳〉, 1956譯
本〈春
香傳〉, 北
韓〈春
香傳〉, 中
文翻,說
譯 唱
藝術.

100
A preliminary study of ethical issues in the field of Translation in Korea

Cheol Ja Jeong
(GSIT, HUFS)

After more than 30 years of growth as a proper field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academic study,
Translation in Korea is at a stage where it needs to consolidate its position by looking into its own
systems and frameworks of opera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e field.
One of the weakest points of Translation may be considered a lack of ethics that governs fair dealings
among parties concerned: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clients, and intermediaries. As a preliminary
attempt to develop a code of ethics relevant to the Korean Translation field, issues among parti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codes proposed by international Translation
organizations. Furthermore,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Translation students’ responses to these
issues, revealing a clear need to establish a code of ethics and introduce it before they enter the
Translation market. An education in ethics will help them to avoid unnecessary conflict with clients
and peers, and contribute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to the field’s development.

101
Degrees of Amenability:

Japanese Popular Fiction in Chinese Translation and

the Idea of an Intra-East Asian Translation Sphere

CHAN, Tak-hung Leo

(Lingnan University)

Noting the unrelenting spread of “the American Way” in the past few decades, especially the
unconscious internalization of American values by inhabitants of the East Asian region, the leading
Chinese cultural critic Chen Kuan-shing has asked: Is a return to East Asia possible? Translation
scholars might ask the same. If one looks at the volume of literary translations involving Chinese,
Japanese and Korean in the past few decades, as opposed to that between these three languages and
English, one will notice a preponderance of the former. The translation of popular fiction from Japan
into Chinese provides some illuminating examples. For instance, while Murakami Haruki has been
overwhelmingly received in translations into Chinese, his acceptance by Anglophones is more
lukewarm. It is easy to see how common historical experiences, collective memories, and a shared
imagination underlie such reception of Murakami novels in Chinese translation; to these non-East
Asian cultures and communities simply do not have access. Even more symptomatic than the
Murakami Phenomenon are three cases of what might be called “amenability to translation” in the
East Asian context. Since 2007, Chinese readers have received with excitement the translation of
multi-volume historical novel Tokugawa Ieyasu by Yamaoka Sōhachi (1907-1978), but so far it is still
inaccessible to English readers in translation. The sweeping historical narrative of the ascendancy of
the sixteenth-century general, his founding of the Tokugawa regime, and almost three centuries of
rule by his descendants, is not fiction of the type that a reader unfamiliar with Japanese history will be
able to follow with ease. Two other popular fictional genres are also well-received in Chinese
translation, though denied entry to the English-speaking world. The best known contemporary
Japanese author of romance in China, after Murakami Haruki, is Junichi Watanabe (1933- ). His fifty-
plus novels, the most famous of which deal with middle-age adultery, have mostly been translated,
although even as of now, he is not accessible in English translation. A similar situation obtains with

102
the Japanese doyen of detective fiction, Akagawa Jirō (1948- ): hundreds of his novels have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but none into English. When one adds to these the innumerable translations of
Chinese popular novels through the centuries, especially in the genre of martial arts fiction, can a case
be made for an “Intra-East Asian Translation Sphere”?

Vita

Leo Tak-hung CHAN is Professor of Translation and currently Head of the Department of
Translation, Lingnan University. His articles have appeared in journals including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Translation Studies in the New Millennium, Perspectives,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TTR, The Translator, Babel, META, and Asian Folklore Studies. Among the scholarly works
he has published are: The Discourse on Foxes and Ghost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Masterpieces in Western Translation Theory (co-edited; City University of HK Press, 2000), One into
Many: Translation and the Dissemination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dited; Rodopi Editions,
2003) and Twentieth-Century Chinese Translation Theory: Modes, Issues and Debates (John
Benjamins, 2004). His Readers, Reading and Reception of Translated Prose Fiction in Chinese:
Novel Encounters, just came out in 2011 from St. Jerome Publishing Co. (Manchester, UK).

Email: Chanleo@LN.edu.hk

Address: Department of Translation, Lingnan University, Hong Kong.

103
The Problematics of Cultural Contamination in Translating Contemporary
Transnational Poetry

Youngmin Kim
(Dongguk University)

Walter Benjamin, in his "The Task of Translator," sees that each language as a whole has an intention.
This intention signifies the totality of the intentions of those who come to terms with domesticating
the foreignness of languages. Pure language is such intention. Benjamin further argues that a real
translation is transparent, allowing the pure language as the medium “to shine upon the original more
fully.” Nevertheless, all the translations encounter the wall before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Benjamin’s insight concerning the task of the translator lies in releasing “that pure language” so that
the translator put a tangential touch lightly on the original in the Benjaminian freedom of linguistic
flux.
However, is pure language reachable? To answer this question, one may set the Benjaminian grain
against Kwame Anthony Appiah’s concept of cultural contamination. Appiah’s logic tells us that the
evolution of living cultures is, in fact, more a gradual transformation from one mixture to a new
mixture, a process that usually takes place in the conversations that occur across cultural boundaries.
In short, Benjaminian pure language is related to the translator’s enduring task of metaphoric
condensation, while Appiah’s cultural contamination is related to the multiple other’s cross-cultural
metonymic displacement.
The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hen to articulate the mechanisms of the unconscious Othering
which were lost in translation as well as to demonstrate how the linguistic, textual, and geographical
Othering was represented by some contemporary transnational poetry in which the poetic subject
projects his/her own cultural self-image onto the Other. Because the Other is always already situated
within the self, and the Other is outside ("elsewhere") and at the heart of the self simultaneously. The
speaker in the poem, in fact, crosses cultures "between" Irish and Indian cultures to go "beyond" the
untranslatability of a universally shared truth or the Real truth, thereby constructing himself as the
linguistic other. However, the simple act of crossing the interstitial bridge cannot guarantee the
authenticity of the metaphoric condensation of subjective sublimation, but rather the inauthenticity of

104
allegorical displacement of contamination by way of wearing the "myriad" masks of the cultural Other.
Unless the translator is empowered by the authentic cultural translation which will be possible only by
the linguistic insider's understanding, the cultural translation will leave another space of
untranslatability to be crossed

Vita

Youngmin Kim, Professor of English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yk4147@hanmail.net

YOUNGMIN KIM is Professor of English at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He has been
teaching and doing research on the 20th Irish/English/American/Canadian poetry and critical theories,
including poststructualism/postmodernism, postnationalism, postcolonialism, and now
transnationalism. He was Visiting Professor of Korean Studies at Cornell University (1998-1999), and
Visiting Professor at Sapporo Gakuin University in Japan (2009 Fall), and the University of Virginia
at Charlottesville (2007-8; 2011 Spring). He had served as the Editor and President of the William
Butler Yeats Society of Korea. He gave lectures at Yeats International Summer School (2002, 2004,
2010). He was the Secretary General, the Chief Editor of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of Korea, Vice-President, and President (2012) of the ELLAK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of
Korea, and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Jacques Lacan Contemporary Psychoanalysis (2008-
2010). He also served as the conference secretary of the IATI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Translation and Intercultural Studies, 2004-Present), and the representative (2000-2009) and Vice-
Chair (2009-2013) of the IASIL. He wrote books and articles on Yeats, Pound, Hopkins,
Irish/Canadian/English/ American poetry, Lacan, Heidegger, Postmodernism/ Postsructuralism,
Transnationalism, and critical theories. His current interest is transnationalism and cultural translation,
world poetries in English, and interdisciplinary border-crossing transnationalism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rom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105
Translating Cultural-bound Expressions in the Film
--- The case of Forrest Gump

Ms. LEI Yanbo


(Chengdu Radio and Television University, Sichuan, China)

Films are like the windows open to the outside world, through which we learn stories and values from
different people, custom and culture. From the anthropologist’s point of view, films are good to think
wi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humans ignore perceived differences and assume the
possibility of similarity across cultures. (Martinez 2009) Since not everybody can read and understand
a foreign language, the translation of the subtitles becomes crucial in bridging the two cultures. In this
paper, the author looks into the subtitling of the film “Forrest Gump”, which was well received
worldwide and garnered multiple awards and nominations. The paper focuses on the culture-bound
expressions in the subtitles of the given film. Lawrence Venuti’s definition of “foreignization” and
“domestication” will be adopted to classify the strategies the translator applies in the cultural-bound
expressions translation. Then the translation methods of the subtitle translation will be identified. The
author tries to find out what kind of specific methods the translator manipulates according to the
chosen strategies. Through the data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y or method will be
observed and the possible reasons will also be discussed. Through the observation, it hope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better understand the strategies and methods of translating culture-bound
expressions, which may shed some light on the subtitling practices.

106
Archaising Translation, History and Modernity in the Victorian Age:
Morris’s Translation of the Odyssey

Yoon Sun Kyoung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research priorities of archaising translation ar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s of
modernity and the practice of archaising translation in 19th century Britain. Archaising translation of
what might be termed ‘classical’ literature provides the cultural reverberations of modernity but also
help to show its underlying material and political conditions in the Victorian period. Archaising
attempts to achieve the effect of antiquity by using a form of archaic language or inventing words. It
was widespread among many translators and historical novelists of the Victorian period. Among
them, this essay will deal with an English translation of Homer’s Odyssey (1887) by William Morris
(1834-1896). It attempts to address issues around archaising translation in the contexts of Victorian
modernity. I argue that Morris’s archaism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an expression of his fascination
with history and discontent with modernity.

107
Integrating Vocational Translation into an English BA program: a
Hungarian Case Study

Adrienn Károly
(University of Jyväskylä, Jyväskylä, Finland)

It is beyond doubt that English has become the international language of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particularly in non-native contexts, translation is gaining an increasing role as a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l language(s) and culture(s) and the global English-speaking
community. Translation in this sense has a more general meaning and is not restricted to professional
translation done on request and for a financial reward. Today, more and more people are expected to
do oral or written translation or language mediation in their workplace or need these skills in their
personal life even though they are not professional translators. Translation skills, similarly to IT skills,
are no longer seen as a highly specialized, but as essential, core skills. However, the views on
translation competence, the level of teaching, and its rol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re heavily-
debated issues, and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translation varies among countries. Professional
translator trainers hold that translation competence is a complex notion, consisting of several sub-
competencies. One component (transfer competence)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it is thought to be the
essence of translation, making it different from other language activities. Thus, they argue that
translation competence need to be explicitly trained, but only after the person has acquired a very high
level of language competence, typically at the master’s or the postgraduate level.

However, the growing need for translation skills has motivated som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integrate vocational translation into undergraduate foreign language programs. Vocational translation
teaching aims to develop students’ translation competence so that they can cope with
translation/mediation tasks in their future career. Therefore, it is different from pedagogical
translation, which uses translation as a tool to develop foreign language competence, usually
disregarding such important aspects as the context or communicative purpose of the text. One key
concept in educational policy today is legitimacy, which means providing meaningful and practical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successfully function in their future life and career. When designing
courses aiming to teach vocational translation, particularly when specifying the aims and learning
outcomes, both global and local context and tendenc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presentation, a Hungarian example will be used to demonstrate how vocational translation can
be incorporated into an English BA program.

108
Vita
Adrienn Károly
University of Jyväskylä, Jyväskylä, Finland
Eötvös Loránd University, Budapest, Hungary
adriennkaroly@gmail.com

109
Corpus-Assisted Analysis of Deixis for Literary Translations: with Focus
on the Vocative Form of Old Man in The Old Man and The Sea

Jo, Sue Yeon


(GSI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manner of deictic expressions, pointing to the protagonist of The
Old Man and The Sea by Ernest Hemingway, translated from English to Korean, and provid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ccount of five(5) different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s from late
1950’s to 2012. For these purposes, it uses a small-scale comparative parallel corpus composed of the
original text in English and the translated text in Korean. The translation of deixis is inevitably
affected by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as witnessed in the translation of ‘old man’. As it turns out, a corpus-assisted approach can
be effective in identifying what the key words are in a literature and how they are translated
differently by translator in due consideration of numerous factors; contextual, linguistic, social,
cultural, stylistic, etc., and thus shedding a new light on the evaluation of literary translation. This
study also tries to approach the target text from the pragmatics point of view, following the principle
of optimal relevance, because it is none other than the pragmatic nature of language which makes it
unfavorable, if not impossible, to translate ‘old man’ as ‘old man’.
Key Words: English into Korean translation, literary translation, deixis, The Old Man and The Sea,
corpus-assisted approach

주제어: 영한 번역, 문학 번역, 직시, 노인과 바다, 코퍼스 연구

Vita

이름: 조수연

소속: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박사과정

이메일: sueyeonjo@hufs.ac.kr

110
Comparison between Korean-English Onomatopoeia and Translation of Korean
Onomatopoeia into English

Kim, Do-Hun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Onomatopoeia occupies a unique language category, as it displays non-arbitrariness: its phonological


form is more directly associated with meaning.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 on onomatopoeia, this paper aims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unique features of Korean and English onomatopoeia? Second, what strategies can
be used to translate Korean onomatopoeia into English?

As for the first question, this paper illustrates how onomatopoeia takes on the functional role as a
unique linguistic entity. Following the analysis, this research contras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English onomatopoeia, so as to find implications for translation. As for the second
question, this paper presents three techniques: replacing Korean onomatopoeia with English
onomatopoeia (interjection); replacing Korean onomatopoeia with English onomatopoeia (verb); and
explaining (insert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employing adjective, adverb, etc.).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discusses how such strategies can be deployed and what attentions should
be paid.

It is of notable interest that onomatopoeia often invites “headaches” in Korean-English translation and
that the issue has been neglected in the academic discipline of translation studies, which calls for the
need to address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author hopes the contrastive analysis and translation techniques herein will contribute to
characterizing the issues and problems during the course of translation and to offering guidelines for
those in the translation profession.

▸Key Words: Mimeticity, phonological form, primary onomatopoeia, secondary onomatopoeia, translation technique

111
Korean/Japanese/French subtitling: issues of the relay Translation via
English

Guillaume Jeanmaire and Goo-Woong JUNG


(Korea University)

With most languages with small markets as Korean, Japanese or French, subtitling in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needs commonly a ‘relay translation’ (Dollerup, 2000) via English subtitles and the
intermediary English product is also attended to consumption. For instance in Korea, foreig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films occupy only 3% of the market. The English translation is usually
– except for French films translated into English – done by a non English native speaker translating
into B (a foreign language). Only the second translation is done by native speakers translating from
English into A (their mother tongue), but working blindly (no access to the original), like
funambulists without a safety net. Therefore “if some translation errors are made when translating into
English, these tend to be perpetuated when using the English text for the translation into other
languages” (Díaz Cintas 2003). For instance Korean or Japanese puns are also lost in French when
lost in the English translation. But most of deviations and errors can be attributed to the use of relay in
translation (mis-transmission of the baton). This relay translation is shown, in particular, by the fact
that, because of the lack of differentiation between ‘vous’ and ‘tu’ in English, an extreme honorific
form in Korean/Japanese can become a ‘tutoiement’ in French and vice versa. Consequently
hierarchic and psychological relations between different protagonists often suffer, due to linguistic
and also to socio-cultural difficulties. Often the text does not correspond to the image on screen due to
the fact that English, and, to an even greater extent, Korean and Japanese, uses larger semantic
extension terms, or even hyperonyms (ex. 모자 帽子: headgear, cap, hat). For polysemous English
words lexical choice is too often not appropriate to the context. Relay translation via English is a
necessary stopgap. This type of collaboration shows limits that can be avoid or palliated by watching
the film (not only the script) and by considering the context (phase of simulation), particularly for
polysemous terms and for the « vouvoiement » form.

Vita

Guillaume Jeanmaire
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professor.
010-4445-2109
gjeanmaire@gmail.com

Goo-Woong JUNG
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PhD student.
010-8863-0911
legina98@hanmail.com

112
Translation of Grammar: the Case of La Porte étroite by André Gide.

문법의 번역 –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을 중심으로

Junhan Kim and Hieyoung Song


(Korea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matrix and to mak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n La Porte étroite by André Gide, one of the most-read and most-
translated French novel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 subdivided my assessment process into three stages.
First, I implemented a preliminary task which consists of an analysis of the text and research on the
bibliography of previous translations for the work. This helped me to select nine out of 219
translations by 109 different translators.
Secondly, I analyzed the nine translations by applying assessment criteria established by the
research team for the "Evaluation of Korean Translations of French Great Novels." For this, I
employed 'the evaluation at the fundamental level' technique to verify and analyze obvious errors,
that is, non acceptable disaccord between the source material and the target texts.
Finally, I implemented this assessment work at a deeper level to grasp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translations and the strategies of the translators.
As a result, I could assure that the quality for the translations of La Porte étroite, when considered
as a whole, is at a high level. Certainly, this result came from the successful translation of Yi
Young-dong (Cheongsusa, 1957), which brought about the two other great translations by Lee
Seong-bok (Keimyung Univ. Press, 2000) and Yi Hye-won (Penguin Classic Korea, 2008).

이 발표는 불한번역에 있어서 프랑스어 문법 체계가 어떤 방식으로 번역에


표현되는지를 관찰하여 그 유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 과정을 통하여 문법의
번역을 번역품질평가의 틀 안에서 분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957 년 초역 이후 국내에 출간된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 번역본들을 모두


검토한 후 분석 대상 번역본을 선정할 것이다. 현재까지 조사된 좁은 문의 번역본은
109 명의 서로 다른 번역자들에 의한 219 종에 달하며, 이들에 대한 검토도 완료된
상황이다. 이 번역본들 가운데 영역본이나 일역본 등을 저본으로 한 중역들을

113
우선적으로 제외한 후, 작품의 수용사적 중요성, 그리고 번역사적 중요성이
입증된다고 판단되는 번역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프랑스어 문법의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 대상 번역본들을 검토한 후, 항목화 된 문법


번역 평가 기준에 따른 예문의 추출, 비교분석, 통계 처리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단순한 언어 차원의 문법 비교가 아니라 문법과 문화와의
상관관계가 우리의 주된 관심사가 될 예정이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의 2 인칭 대명사
tu 와 vous 의 사용과, 이를 둘러 싼 호칭, 대화 전략이 도착어로 변환되는 과정,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경어법 체계 비교 분석, 그리고 번역자들이 문법을 번역하기
위해 선택하는 전략 등에 분석의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이러한 문법 번역 분석의 결과는 초역인 이영동 본(청수사 1957) 이후 2000 년대의


이성복 본(계명대출판부 2000), 그리고 이혜원 본(펭귄 클래식 코리아 2008)에 이르는
좁은 문 번역의 역사 속에서 번역의 품질을 담보하기 위한 문법의 분석 방법과 변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본격적인 ‘번역문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준한: 011-9044-4975, junhan@korea.ac.kr

송희영: 010-6470-3710, sheey37@naver.com

이력

김준한(KIM Junhan)

1988: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1989: 파리-소르본 대학교 불어과 석사

1998: 파리-소르본 대학교 불어과 박사

114
현재: 고려대학교 번역과 레토릭연구소 연구교수

송희영(SONG Heeyoung)

2012: 한양대학교 프랑스언어문화학과 졸업

현재: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

115
Equivalence or Family Resemblance:
Why the Traditional Theorists Got It All Wrong?

Isabelle J. Zhou Yuanjian 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University of Macau)

In the Western history of translation, equivalence is both a catch-word and a myth


for practitioners as well theorists. The tradition is said to have started with (Marcus Tullius) Cicero
(106-43 BC) and Horace (Quintus Horatius Flaccus, 65-8 BC) and has run down through millennia till
the present day. More and more people, Western and Asian, seem to have joined in the debate on
whether or not one could possibly achieve equivalence in translation. The many voices we hear from
the Chinese tradition over the past century are a good example.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rans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alled
equivalence is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mistaken, as there cannot be such but rather family
resemblance between the source system (the language, culture, context and text itself) and that of the
target. All debates and discussions in history on the issue of equivalence, though well-intended, have
been, unfortunately, a mistake and at a miss.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s we know, the notion of equivalence has
its philosophical roots deep in the Aristotelian tradition. Aristotle (384-322 BC), the ancient Greek
quite a bit before Cicero and Horace, captured a profound way of how the mankind perceives the
world, i.e., people think in categories. The Aristotelian category (also known as the classical category)
is to equate concepts to concepts, objects to objects, and processes to processes, such as we have se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Social sciences, arts and humanities have struggled hard over millennia
with how relevant concepts, artifacts and processes may fit into the classical category. And that
includes translation studies. The call for connecting the world beyond the exacting Aristotelian way
came only in 1748 when the British philosopher David Hume (1711-1776) published his book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the first work to mention that resemblance is among
three principles of connecting concepts and objects. But not until 1953 when the major work of the
Austrian philosopher Ludwig Wittgenstein (1989-1951),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was
posthumously published did we have the name of a fuzzy category for things that have been in the
people’s observations all along: the family resemblance category, which does not equate A to B but

116
rather captures the prototypical links between them.

The notion of family resemblance has a solid basis on how the world interacts with human cognition,
hence taking a direct bearing on translation . its process, product and function. In our view, it presents
itself a compelling case at the time as we are trying to widen our horizons and seek new perspectives
and paradigms for future translation studies in Asia, and its impact is so profound that it will be felt in
many generations to come.

117
The Influence of Commissioner’s Role in the Translation

of Nonfictional English Text into Malay

Norhazlina Husin
(Universiti Sains Malaysia)

Translation is an activity that has undergone a phenomenal growth in today’s globalized world. The
study of translation has also developed enormously (Hatim & Munday, 2004: xvii). It has moved to a
broader sense in studying many aspects related to translation. Nevertheless, for the past few years,
many researchers in Malaysia tend to study and analyse translation as a product. Besides identifying
and analysing the translation strategies, methods and procedures in translating a text, research
objectives and purposes are normally focusing on text analysis in order to study linguistics aspects
such as the differences in sentence structure and vocabulary usage between source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Other aspects seem to be insufficiently studied despite their importance in translation
studies. It is undeniable that there are researches studying other aspects than text but the number is
still small. It is now time for researchers to rethink about the perspectives and necessity of researching
other aspects in producing translation text. This would provide the catalyst to create a new dimension
in translation studies in Malaysia. In today’s globalized world, translation is normally carried out as a
task and involves many parties including the commissioner. It is undeniable that the role of translator
is crucial but the commissioner may influence the production of a target text. Based on a research
done, it is found that, the commissioner has its very own influence and power in shaping a target text.
The commissioner makes it compulsory for the translator to retain the originality of the source text
and at the same time try to inculcate Malay language characteristics into the source text in compliance
with the culture of target readers. With that being put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will discuss the
influence of a commissioner before and after the translating process of English nonfictional text, The
World is Flat, into Malay.

Vita

Norhazlina Husin received her B.A (Hons)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nd M.A. (Translation)
from Universiti Sains Malaysia. Her research interests are translation and Malay Language for foreign
students. She has presented papers on both areas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She is currently
pursuing her Ph.D at Universiti Sains Malaysia and her main research is translation strategies in
translating nonfictional text.

118
Creativity and Untranslatability: Translator as a Re/writer

Gi Taek Ryoo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Octavio Paz argues that poetic translation is a procedure analogous to poetic creation. He says, "the
process of translation is an inverted parallel of poetic cre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reative
process of poetic translation, attempting to re/define the translator as a re/writer not that he is simply
reproducing the original in TL or making it conform, in Lafevere's term, to dominant poetics in TC,
but that he assumes the very roles of the reader and the writer as he is involved in the artistic
communi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The act of translation, equivalent to that of
reading and writing, is never to be done without the translator's creative imagination to work out the
portion of indeterminacy or untranslatability constantly discovered and reconfigured as he interacts
with the original. The translator's creativity comes into being not to reproduce the original but to
revise and complete it.

119
Arabic Proverbs in Fiction Translation: Riyadh Girls as an Example
Abstract

Mohammed Farghal
(Kuwait University)

Proverbs are considered the mirror through which different cultures can be viewed and judged; they
represent the cumulative wisdom of a nation (Simpson 1982; Norrick 1985; Meider 1995; Honeck
1997; Mollanazr 2001). Proverbs have both a literary value that contributes to the aesthetics of
discourse as well as a practical value which touches directly on people's day-to-day undertakings and
which helps them conduct their affairs more smoothly and effectively (Honeck 1997; Moosavi 2000;
Meider 2004). The topic of proverbs in translation has been mainly approached from an out-of-
context perspective by discussing and listing proverbs and their equivalents in different pairs of
languages without considering their actual occurrences in discourse (Newmark 1988; Baker 1992;
Farghal 1995; Gorjian and Molonia 1999; Mollanazar 2001).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agmatic and semiotic value of employing proverbs in Arabic fiction and the way translators deal
with such proverbs when encountering them in discourse. In particular, the study will present a
typology of the translation strategies employed by the translators, e.g. formal equivalence, functional
equivalence, ideational equivalence, omission, addition, etc. and examine how appropriate/effective
these strategies are in capturing the pragmatic and semiotic value of the proverb in question. The
corpus will consist of all the proverbs extracted from an Arabic novel and its English translated
version. The data will b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an eye to critically
evaluating the strategies adopted by the two translators. On the one h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will
indicate the frequency of employing the different translation strategies in the rendering of proverb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ill furnish a critical discussion on the rendering of sample
proverbs from each translation strategy and assess the translators' awareness and treatment of such
proverbs.

120
Shifts in Japanese-English translations of speech drafts: A case study of
two speeches given by Empress Michiko at the 1998 and 2002 Congresses of
the International Board on Books for Young People

Saeka TOSHIOKA
(Osaka University)

Textual features of a translation (TT) often show shifts from the original (ST) such as additions,
omissions, and alterations. These have been analyzed as translational stylistics (Malmkjær, 2004).
Such shifts are caused by different reasons including the translators’ intentional manipulations to
make TT fit personal or public ideological frameworks (Baker, 2006), the translators’ idiolects or
preferred translation strategies (Munday, 2009), the translators’ “attitudes” toward the ST (Hermans,
2007), and their “evaluation” of the ST (Munday, 2010). Shifts may occur in the “critical points,”
where the ST requires a high degree of interpretation from the translator for reasons such as “invoked
rather than inscribed attitude,” fuzziness of the ST, lack of target language (TL) equivalent for a
certain source language (SL) expression, and inadequacy of literal translation (ibid.). In addition,
shifts can be caused by the “dynamic use of language” in the ST (Hatim and Mason, 1997).
This study analyzes typical shif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a Japanese draft of a speech
into English as well as what causes these shifts. Japanese–English translations of speech drafts are
often required when a Japanese speaker gives speeches in English.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wo English speeches given by Empress Michiko at two congresses of the International Board on
Books for Young People held in 1998 and 2002. The drafts of these speeches were written in Japanese
and then translated into English for reading in public.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hifts include 1) rendition of an SL word into two TL words, which
creates some hendiadyses in TT, and 2) emphasis of positive connotations in TT. Although the TT
generally indicates a high degree of intervention from the translator, some parts of the ST seem to be
kept literal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coherence of the TT, particularly where the ST employs
metaphorical expressions that introduce a “conceptual metaphor” (Lakoff and Johnson, 1980).
The research also suggests that the translators’ priority should be to achiev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udience. In this sense, the translators’ positions seem to be similar to
that of an interpreter described in Riccardi (2002). In addition, some shifts correspond to those
analyzed in Toshioka (2012), in which another case study on translation of Japanese speech drafts into
English was conducted. This suggests that these shifts may be typical to Japanese–English translations
of speech drafts.

References.
Baker, M. (2006). Translation and conflict. London: Routledge.
Hatim, B., & Mason, I. (1997). The translator as communicator. London: Routledge.
Hermans, T. (2007). The conference of the tongues. Manchester: St. Jerome.
Lakoff, G., &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1
Malmkjær, K. (2004). Translational stylistics: Dulcken’s translations of Hans Christian Andersen.
Language and Literature, 13(1), 13–24.
Munday, J. (2009). Style and ideology in translation: Latin American writing in English.
Oxson: Routledge.
Munday, J. (2010).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translation. In M. Baker, M. Olohan, & M. Calzada
(Eds.), Text and Context: Essays on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in Honour of Ian Mason (pp. 77–94).
Manchester: St. Jerome.
Riccardi, A. (2002).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A. Riccardi (Ed.), Translation
studies: Perspective on an emerging discipline (pp. 75–9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Toshioka, S. (2012) A Cognitive Approach to Metaphor Translation: A Study on the
Translations of Haruki Murakami’s Jerusalem Prize Acceptance Speech.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12. 229–247.

Mini-biography .

Saeka TOSHIOKA was born in Japan. She received a B.A. (Comparative Literature) from Osaka
University, an M.A. in Language and Culture from Osaka University, and an M.A. in Translation
Theory and Practice from University College London. She submitted her Ph.D dissertat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Language and Culture at Osaka University in March 2013 and will be receiving a
Ph.D in Language and Culture from Osaka University in September 2013. Currently, she is a
Specially Appointed Assistant Professor at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Exchange at
Osaka University in Japan. Her research interests focus on cognitive linguistics and translation studies.

122
Study on application of deverbalization in undergraduate interpreting
classes

Kang, Suju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model on undergraduate Chinese interpreting class based on the
interpretative theory-based approach. In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students with a fairly high level
of language skills learn interpreting-related concepts and repeat interpreting training. For specialized
graduate school students, foreign languages are something to be trained in, not something to learn,
and the focus of training in specialized graduate school is on “reexpression” based on the
interpretative theory-based approach. The goal of undergraduate interpreting class, however, lies in
both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skills” and “basic understanding of interpreting” as
undergraduate students have problems with listening and understanding foreign languages. It is
important, in particula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quivalence” as undergraduate students are
accustomed to a type of correspondence-centric training based on symbol switching of languages or
characters. Furthermore, “deverbalization” training is required in interpreting classes.
“Deverbalization” is a process that a student cannot develop simply through theory-based learning or
speaking exercises. Instead, it requires systematic training. Through this article, the author argues that
at undergraduate levels, where clear direction of interpreting classes is yet to be established, the focus
should be on “deverbalization training” and that the rationale of undergraduate interpreting classes
could be found only when this process is based on integrated approach under which training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re linked.

123
Translator's subject knowledge:
proposal for the ontology of theological terms on historical figures

Hyo-Eun Choi
(GSTI, Ewha Womans University)

The traditional main vehicle of translation through history was scholars in each field, but the large
portion of today's translation has been conducted by professional translators who are not first
acknowledged as a scholarly expert. This new trend in translation practice, in turn, has caused a new
issue in translation training, which is empowering translators or translation trainees with subject
knowledge. Scholars who do translate books on their own fields can enjoy the benefit of their
specialty in the subject area, in the efforts of understanding the source text and producing an
appropriate target text. It is as if they are a native speaker who has no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and verbalizing his or her mother tongue. However this fortune is not the case of professional
translators. They are somewhat like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regard of subject knowledge, which
means it takes conscious efforts to acquire the sufficient command of the intended competence, in this
case, subject knowledge. Thus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one possible clue to deal with this issue of
developing translator's subject knowledge competence. In order to produce a plausible outcome, the
research narrows down its scope to the trainees for Christian literature translation. This research scope
makes its concerned subject area theology. And the research sees the potential in applying ontology to
enable the translation trainees with the targeted subject knowledge. In order to analyze the needs of
the concerned translators, the research conducts survey, asking what specific area of theological
knowledge can be best to start with to form tangible and "approximate" (not perfect but good enough)
knowledge in the area.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the knowledge on historical Christian figures.
Thus the research proposes the ontology of theological terms on historical figures.

124
Trends in Research on Translation Studies in Korea

Hye Rim Kim


(GSTI, Ewha Womans University)

Translation Studies(including interpreting studies), which used to be treated as a mere sub-discipline


of comparative literature or linguistics, began to build its own academic identity in the early 20 th
century23. However, it was only towards the end of the same century that TS(Translation Studies)
finally began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24. In Korea, it was by 2000 that
TS research officially emerged as an academic discipline with the launching of local Ph.D programs
on TS and the foun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slation Studies(KATS) dedicated to
research on translation. This year marks the 13th anniversary of TS research in Korea, and it continues
to grow in size and quality.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rajectory of research on Translation Studies in
Korea over the last thirteen years and to identify key developments in TS research in Korea.
As a first step, efforts will be made to delineate the scope of TS by investigating the existing
definitions of TS and developing a tentative definition of TS for the current study. Secondly, based on
the definition of TS developed in the first step, a framework for classification of TS research will be
proposed for the analysis of TS research trends in Korea.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ill be examined, and an improved framework will be
developed. Thirdly, TS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in Korea will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developed for the current study; research works for categorization in the
current study include thos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25(first issue published in
1999~issu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2013) and Conferenc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first
issue published in 2000~issu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2013), two leading TS journals in Korea
launched in 1998 and 1999, respectively, with the formation of their respective academic association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eps, trends in TS research in Korea will be identified
and summarized.
This study, aimed at summariz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TS research made over the last
thirteen years since the launching of academic associations and specialized journals in Korea, will

23
Cited from Ji Won Kim(2000) <Development of TS Research and its Current Trends>,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
24
Cited from Myeong Woo Ryu(2000) <Development of TS Research and its Current Trends>,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
25
Cited from Myeong Woo Ryu(2000) <Development of TS Research and its Current Trends>,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

125
explore the horizon of Korea’s TS research that has been rapidly expanding backed by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es. The current study is also expected to help set new directions for
further growth of TS research in Korea going forward.

THE DIDACTIC FUNCTION OF TRANSLATION EVALUATION

O. Kostikova
(Moscow State University)

In the last decade, the evaluation of transl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questions
among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translation teachers. It can be attributed, on the one hand, to the
fact that high-level specialists capable of providing cross-language communication in international
organisations and large companies, etc. are becoming indispensable and, on the other hand, to
intensive translation training. Modern translation didactics sets new tasks of elaborating a system
of professional competence evaluation that combines principles of pedagogy and professional
community demands. It can be achieved by joining efforts of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structures.

Vita

소속: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통번역학교


직위: 부학장
발표 주제: 통번역 평가
주요경력: 러시아어-불어 통역사

모스크바 국립대 통번역학교 부학장


러시아통역사협회회원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 졸업
프랑스 제3대학 DEA
20여 편의 통번역 및 문학관련 논문 및 저서 발표

126
Relevance Theory 시각으로 살펴 본 통역품질평가
-한중 순차통역을 중심으로-

김진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본 논문은 20세기 80년대 언어학자 Sperber과 Wilson이 Grice의 maxim of relevance

이론을 바탕으로 제시한 Relevance Theory를 적용하여 순차통역 품질을 평가하였다.

이는 텍스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명시를 통역사는 어떤 추론, 즉 어떤 이해를 하였는지를

살펴보고 그 추론에 따라 통역사의 이해 능력을 시도한 논문이다. 우선 순차통역

텍스트를 문장 단위로 구분하여 텍스트상에서 나타난 정보를 (1)핵심정보 (2)보충정보

(3)은유정보로 나눈 후, 5명의 통번역대학원 학생들의 기말고사 순차통역 전사본을

바탕으로 통역품질을 살펴보았다. 이는 통역사들이 텍스트 혹은 연사의 명시 정보를

얼마만큼 이해하였는가를 평가하였다. 명시정보에 대한 통역사의 이해 능력 평가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통역사의 통역결과물을 현장 경험이 많은

원어민 혹은 원어민에 준하는 통번역사 5명에게 통역결과물을 들려주고 품질평가를

하게 하였다. 이 두 단계 실험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1)통역사들의 정보 추론

능력과 그에 따른 표현, 2)통역품질 평가요소를 평가자에게 제시 3)각 통역사들이 정보

추론하는 과정 혹은 표현 속에서 어떤 점이 부각되고 부족한 가를 볼 수 있다. 이는

향후 통번역교육에 반영하여 각각의 통역사에게 맞춤식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통역품질

평가의 또 다른 평가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자 성과라고

127
할 수 있다.

학습자 번역물에 나타나는 장르 관습의 제문제와 교수법적 접근에

관한 고찰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일번역을 중심으로 -

함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내 통번역대학원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한 교육 관련 연구에도 독일의 번역교육 현장

에서 시작된 기능주의 번역이론의 접목 사례가 늘고 있으며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주의 번역이론에서 Vermeer(1986: 33)는 언어를 독자적 시스템이 아니라 문화

의 일부로 보았으며 번역을 단순한 언어적 치환이 아니라 문화간 전이로 보았다. 여기에

서 문화란 사회 구성원의 행동을 결정하는 규범, 관습, 지식, 능력 및 인식의 총체이며,

번역은 특수한 의사소통 및 사회적 행동이라 하였다(Vermeer, 1989a: 926).

텍스트와 관련된 관습으로서 장르에 대한 정의는 ‘사회적으로 결정되는’, ‘반복 출현하

는’, ‘전형적인’, ‘커뮤니케이션 패턴’, ‘언어(사용)패턴’, ‘초(超)개인적 말하기 글쓰기 행위

26 Snell-Hornby(2006/2010: 93-96)에서 재인용

128
유형’, ‘언어능력(직관)에 의해 인정되는 것’ 등으로 정리된다 27 . 이러한 장르 관습은 문화

특유성을 갖는 것으로, 기능적 번역에서는 번역자가 번역 목적과 유형에 따라서 재생

(reproduction)과 조절(adaptation)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Nord, 1991/2006: 98).

실제 통번역대학원 번역수업 학습자들의 번역물을 살펴보면 장르 관습에 관련된 문제

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것이나 학습자들의 도착문화의

장르 관습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부족한 점과 직관적 능력이 AB언어 간 차이가 있다는

점도 작용할 것이다. 2011년부터 2013년 1학기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

일과의 한일번역, 한일산업경제번역을 수강한 학습자 프로필을 살펴보면 이중언어자, 이

중문화자도 있으나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가 다수였으며, 결정적 시기(critical

point) 이후 일본어를 습득한 학습자 및 수개월 체류 경험의 학습자도 있었다. 이러한 학

습자들은 일한번역보다 한일번역에 더욱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ST의 언어치환, 관습

치환의 결과가 TT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Reiss & Vermeer(1991/2010)에 따르면 장르 관습은 텍스트를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1) 특정 장르 인식 신호 및 (2) 특정 장르 기대촉발제, 그리고 (3) 텍스트 이해

를 위한 조종 신호로 기능한다. 그러나 만약 의사소통 중심 번역에서 수용자가 기대했던

장르 관습이 구현되지 않는다면, 수용자는 해당 텍스트를 ‘결함’이 있는 것으로 치부하거

나 텍스트가 의도했던 커뮤니케이션 자체가 실패로 돌아갈 수 있다(Reiss & Vermeer,

1991/2010: 174). 따라서 졸업 후 전문(통)번역사로 배출될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번역

수업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장르 관습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27 Cherubim & Henne 1973; Sowinski, 1973; Lux, 1981: 273; Reiss & Vermeer, 1991/2010에서 재인용

129
해주어야 할 것이며, 단순히 직관에 의존한 피드백이 아닌 다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Cherubim & Henne(1973)에 따르면 전형적 장르들은 사회적으로 결정되는 커뮤니케이

션 및 행위 도식이며 이러한 도식은 사회화 과정으로서의 언어습득 중에 학습되고 내면

화되는 것이라고 하였다(1973: 60f, Reiss & Vermeer, 1991/2010에서 재인용). 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학습자를 ‘학습’시킴으로써 ‘내재화’가 가능하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번역에 있어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장르 관습 문제점의 제양상

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수법과 접목시킬 수 있는 연결고리를 모색

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장르 관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개괄한 후 장르 관습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에게는 어떠한 문제점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문제 양상을 살

펴보고 유형별로 분류한다28. 위의 문제 양상에 대하여 또한 병렬텍스트 또는 병렬코퍼스

를 통해 TL 문화권의 해당 장르의 관습과 대조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교수법적 접근법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번역될 텍스트의 목적과 기능, 독자를 인식하고 번역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장르 관습의 재생과 조절에 다가가기 쉽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병렬

코퍼스와 번역사노트 활용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28 분석 대상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일과의 2011년 1학기~2013년 1학기 한일번역, 한일산업경

제번역의 학습자 번역물이며 장르는 기사문, 보고서, 매뉴얼이다. Reiss & Vermeer(1991/2010)에 따르면 텍

스트 관습에는 다양한 층위가 있으며 텍스트의 모든 층위에서 나타난다(1991/2010: 166-167). 따라서 분석

틀은 어역(어휘, 연어관계, 전형적 언어패턴), 텍스트 구조(장 형식 등), 장르적 특성을 나타내는 문체 및

문말 표현, 양태, 구두법 등 다양한 층위에서 살펴볼 것이다. 다만 각각의 장르마다 관습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장르별로 취사선택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130
1 칸만평 번역에 대한 번역자 개입과 신문사의 이데올로기 분석

:한겨레신문 1 칸만평 한영번역과 중앙일보 1 칸만평 한영번역 비교를


중심으로

박미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시사만화의 1 칸만평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문자텍스트와 그림텍스트가


결합된 다층기호텍스트(polysemiotic-text)이다. (2)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 강한
장르이다. (3) 1 칸 만평의 그림텍스트에서는 은유 등 비유적 수사법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등 문화적인 요소가 지배적인 텍스트이다(박미정 2011, pp. 14-5). 1 칸만평 번역은 목표
텍스트(Target Text)에 대한 상호텍스트성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번역자가 마치
서술자(narrator)가 된 것처럼 그림기호를 문자기호로 묘사해주고, 배경설명까지 첨가해서
번역해준다. 이 과정에서 번역자는 텍스트 내적 기호(그림 기호)뿐만 아니라 텍스트 외적
기호(상호텍스트성)에 대해 번역자 자신의 자의적인 해석과 이데올로기가 개입될 수

131
있다 29 . 본고의 연구 목적은 이러한 번역자의 개입이 보수성향 신문사인 ‘중앙일보’
1 칸만평과 진보성향 신문사인 ‘한겨레신문’ 1 칸만평 ‘한-영번역’ 30
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호학적인 관점과 저널리즘의 ‘프레임’ 이론을 통해서
정성적으로 분석・기술하는 데 있다.

Keyword: 시사만화, 상호텍스트성, 번역자의 개입, 기호학, 프레임

Vita

Park-mijung completed graduation in 2003 from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e received

doctoral degree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tudies from GSI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in 2009. He is presently working as a Assistant Professor in Department of Korean-Japanese,

GSI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In addition, he works as an interpreter for Korean-

Japanese international conferences.

He has membership of The Canadian Association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AJLE) , The

Japanese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ia(JSAA), and The Japan Association for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JAITS).

He is interested in the semiotic research and the journalism theory in connection with translation

studies.

29 필자의 논문 「한일시사만화번역의 기호학적인 분석」(2009/2011)을 통해 1칸만평의 ‘한일번역’은 번역자의

주관적인 가치평가와 해석이 개입되고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30 본고에서 분석대상으로 삼는 1칸만평과 번역은 모두 온라인판을 가리킨다.

132
133
시청자자막 번역에서 표현되는 문화소 번역전략에 관한 연구

이승재

(경희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서 영어로 번역된 시청자자막을 중심으로 문화소가 어떻게 번역

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번역학 연구에서 문화번역에서 자주 사용하는 번역

소 분석의 틀인 Aixela의 문화소를 사용하지 않고 홉스테드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제안한 문화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네가지 척도, 즉 권력관계, 개별성, 남성성, 확실성을

번역에서 문화소로 재해석하여 (이승재, 2012) 위의 네 가지 문화소를 중심으로 문화소의

번역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문화소 중에서 한국어-영

어 번역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인 권력관계구조(이승재, 2013)의 전환 뿐 아니라 개별

성, 남성성, 확실성에 중심을 두고 시청자 자막번역에서 보이는 문화소 번역 양상과 전환

에 대해 좀 더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

의 속성을 보여주는 2009년 [꽃보다 남자]와 2013년 [그 겨울 바람이 분다] 두 작품을

선택하여, 한국어-영어 시청자 자막번역에서 보이는 문화소 번역의 현상을 살펴보겠다.

134
대규모 번역 프로젝트의 제반 문제, 이상과 현실

안인경, 정연진, 안미라, 박세미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대규모 번역은 한 명이나 소수의 인원이 수행하는 소규모 번역과 본질적으로는 다르지

않겠지만, 실제 진행에 있어서는 규모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가 드러나고,

이러한 문제들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더욱이 번역할 텍스트가 전문적인 내용이고,

또 이를 단기간에 수행해야 한다면, 번역사 확보 및 관리, 전문성 담보, 용어 통일 등을

비롯한 많은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독과는 2011 년 통일부가 발주한 <독일 통일•통합

관련 문건 번역>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통일부는 독일에서 공부한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감수팀을 따로 발주하여, 번역팀과 감수팀이 협업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대규모 번역 프로젝트 수행 경험에 대한 보고가 알려진 바가 없어 초기에는

시행착오도 거쳤으나, 이 프로젝트를 통해 대규모 번역에서 고려해야 할 번역 관련 문제,

주변 여건과 관련된 현실적 문제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문용어 및 기타 표현 통일,

높은 번역품질, 합리적이며 번역사 친화적인 예산 운영 등을 목표로 설정하고, 상당한

성과를 거둔 반면, 많은 작업량, 감수팀과의 협업, 법적 측면, 번역사풀 관리 등에 있어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을 발표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135
앞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번역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번역사의 사회적 지위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대규모 번역의 문제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 사전 단계 (준비, 입찰 등)

- 번역사 관리

- 용어 관리

- 품질 및 감수 관리

- 기타 문제 (예산, 기간, 저작권, 연구업적 관리 등)

끝으로, 수행했던 프로젝트의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번역 대상 텍스트 규모: 한국어 번역문 약 13,000쪽

- 번역 대상 텍스트의 내용: 독일의 통일과 그 후 내적 통합과정과 관련된 문건들.

(과거청산, 통일비용, 통일, 전환기, 법과 행정, 환경, 교육, 재무부, 브란덴부르크

주, 작센/작센-안할트 주, 연방하원 제 12대 및 13대 조사위원회 활동보고서 등)

- 텍스트 종류: 보고서, 연구물, 법조문, 신문기사, 계약서, 회의록, 제 문서 등

- 번역 기간: 2011. 6. 22. – 2011. 11. 30.

- 참가 인원

 번역팀: 총 책임자 1명, 코디네이터 3명, 번역사 29명. 보조 연인원 약 20명

 감수팀: 총 책임자 1명, 기획 2명, 감수 19명, 조교 2명

136
시진핑의 국가레토릭과 한국언론에서의 번역

황지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1. 들어가는 말

국가레토릭은 어느 국가가 국정에 근거하여 장기적으로 사회경제발전이 도달해

야 할 기본 목표, 경로나 속도, 정책의 우선순위, 지도 원칙과 같은 총체적인 계획을 의

미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국가레토릭은 두 가지 함의를 가진다. 하나는 국가가 발전

하고 국제관계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국가담론이다. 다른 하나는 최근 생겨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생성된 용어로서 이런 경우 국가레토릭은 동적인 과정이므로 새로

만들어진 단어나 문구는 일정 기간 사용하면 익숙한 담론으로 정착된다.

국가레토릭의 범위는 외교 군사 정치 문화 등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전략체계이

다. 현대화를 목표로 하는 중국의 국가레토릭은 1978년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두드러졌

다. 개혁개방을 통해 성장, 강국, 부민, 국제경쟁력 강화라는 목표가 추구되었다. 이런 점

에서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국가레토릭은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을 우선순위에 두는 경제

사회발전 전략의 특징을 가진다.

국가레토릭의 주체는 국가이다. 국가는 대내외적으로 국가레토릭을 발표할 때 단

137
어나 표현방법의 선별과 발표시기의 선택을 고려해야 한다. 언론은 제시된 국가레토릭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선별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국가레토릭은 국민들에게

인정을 받는다. 국가레토릭은 엄밀한 논리, 풍부한 내용으로 이념을 표현하고, 국가발전

의 단계와 세계 정세에 대한 인식을 전달한다.

이처럼 국가레토릭은 국가의 핵심담론이라 할 수 있다. 한 나라의 정치 경제 문

화 특징을 설명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키워드이다. 이것은 국가 핵심적인 가치

관을 구현하고 정치적인 특색을 드러내며 사회발전 단계를 반영하고 대외적으로 국가의

기본적인 입장을 표명한다. 중국의 경우 공산당 당대표대회 정치보고와 국무원의 정부공

작보고가 국가레토릭의 진원지라 할 수 있다.

시대의 발전과 함께 끊임없이 새로운 국가레토릭이 나타난다. 사회 변화가 빠른

중국과 같은 국가일수록 중요 담론이 자주 나타난다. 최근 중국은 정보발표의 공신력을

강화하고 다원화된 주체들이 발표하는 구조를 만들어 공공외교를 전개하고 국가레토릭의

영향력을 높이고자 한다.

국가레토릭은 중국을 설명하는 핵심담론이며 여기서 번역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약 한국 언론에서 중국 국가레토릭을 잘 번역하지 못한다면 중국의 국정 상황과 목표

에 대해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최근 언론 보도의 시의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본문은

한국 언론에 등장하는 중국 국가레토릭의 한국어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중국의 국가레토릭

중국에서 새로운 유형의 사회주의를 발전시키는 이데올로기적 기반은 1978년 11

기 3차 당대회였다. 당시 최고 정치지도자는 덩샤오핑이었다. 이후 장쩌민-후진타오의 계

138
보를 거치면서 이념의 연속성과 점진성을 드러냈다. 새로운 이론을 만들기 보다는 현실

의 변화를 반영하는 이론적인 토론의 공간을 확보해주고 여기에서 여과된 이론을 수용하

여 전파해왔다. 이런 점 때문에 중국 내에서 실험된 사회주의는 중국 내부에서 이론적인

충격을 흡수할 수 있었다.

중국의 국가레토릭을 분석하는 데 있어 이데올로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혁

개방을 확대하면서도 사회주의라는 틀을 버리지 않고 있고, 막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사

상이 아직도 공식적인 국가이념으로 되어있다.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는 중국지도부의 정

책 선택을 결정짓는 마지막 검증장치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국가레토릭은 사회주의보다 ‘중국적인 것’을 더 강조한다. 중국 사회주의

는 현실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도록 끊임없이 요구받고 있다.

그만큼 이론적 가변성과 포괄범위가 넓다. 지금까지 국가레토릭의 이데올로기적 장치는

적절하게 조작되어 개혁개방의 수위를 조절하는 한편 경제개혁이 정치개혁으로 확산되어

체제 위기로 전화되지 않도록 사용되고 있다. 중국지도부는 또한 이데올로기 외연의 확

대로 인한 문제 발생을 피하기 위해 동원적 민족주의, 중화주의, 유교의 충성관 등을 내

세우기도 하였다.

시진핑 체제는 2012년 11월 18차 당대회를 통해 공산당 총서기와 중국군사위원

회 주석에 선출되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3년 12기 1차 전국인민대표대회가

끝나면서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시진핑 체제의 현실인식과 국가발전 목표를 반영한 국가

레토릭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18차 당대회 정치보고를 살피는 과정이 필요하다.

정치보고의 내용을 보면 시진핑 체제의 향후 10년 간 추진할 국가발전 전략과 세부 정

책이 후진타오 체제가 과거 10년 동안 실시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2002

년 16차 당대회에서 결정된 국가발전 전략이 2012년 18차 당대회까지 변동없이 지속된

것을 보면 국가 기본방침과 정책을 담고 있는 국가레토릭이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139
높다.

본문은 18차 당대회 정치보고에서 지속성을 가지고 있는 국가레토릭으로 ‘小康社

會’와 시진핑 체제에서 새로운 국가레토릭으로 제시된 ‘中國夢’이란 단어의 번역을 중심

으로 한국 언론에서 어떻게 번역하였는지 살펴보겠다.

3. 중국 국가레토릭에 대한 한국 언론의 번역

3.1 小
康社會

‘小康社會’란 의식주 걱정 없는 물질적으로 안락한 사회를 말한다. 이는 시경(詩

經)ㆍ예기(禮記) 등 중국 고전에 나오는 말로 온 백성이 의식주를 걱정하지 않고 편안하

고 배부르게 사는 중산층 사회를 의미한다. 중국이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는 ‘大同社會’

즉 완벽한 평등ㆍ안락ㆍ 평화가 있는 사회의 전 단계로 2020년까지 전면적 小康社會를

완성한다는 목표다.

18차 당대회는 16차 당대회의 전면적 소강사회 ‘건설’ 방침을 계승하여 전면적

小康社會 ‘완성’ 방침을 확정했다. 2020년까지 경제발전과 함께 정치 사회문화 발전을 모

두 달성하여 전면적 小康社會를 완성한다는 것이다. 전면적 小康社會은 2020년까지 적용

되기 때문에 2012년에 출범한 시진핑 체제는 이러한 국가레토릭을 계승하고 있다.

시진핑 체제하의 18차 당대회 정치보고는 중국이 두 가지 길을 가지 않을 것이

라고 선언했다. 하나는 ‘폐쇄적이고 경직된 옛 길’이고 또 하나는 ‘깃발을 바꾸는 잘못된

길’이다. 전자는 마오쩌둥 시대의 노선으로 돌아가는 데 반대하는 것으로, 보시라이의 충

칭모델을 옹호하는 좌파에 대한 비판이다. 후자는 현재의 공산당 노선과 방침을 포기하

고 서구식 제도를 도입하는 데 반대하는 것으로, 권력분립 다당제 직선제 등 자유민주주

의 제도 도입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자에 대한 비판이다.

140
전면적 小康社會의 완성목표는 다양한 영역을 포괄한다. 이는 경제성장 지상주의

를 추구했던 이전의 목표와 다르다. 이전 단계에서는 경제발전이 모든 것에 우선하는 목

표였으나 이제 정치ㆍ사회ㆍ 환경의 영역까지 염두에 두겠다는 뜻이다31.

한마디로 중국은 법치(法制)ㆍ전환(轉換)ㆍ민생(民生)ㆍ소프트파워ㆍ지속가능한 발전을 핵

심으로 하는 국가레토릭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법치는 법에 의한 국가통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치발전의 목표이다. 전환은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경제

발전의 목표이다. 이것이 바로 후진타오(胡錦濤)이 제시한 국가레토릭 ‘과학적 발전관(科

學發展觀)’을 계승한 사고이다. 과학적 발전관은 사람을 근본으로(以人為本)하여 전면적

협조적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여기에 입각하여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과 중국 특

색의 공업화 정보화 도시화 농업현대화를 이룬다는 것이 핵심내용이다. 과학적 발전관을

토대로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을 핵심 경제 방침으로 삼아 경제발전과 경제개혁을 추진하

고자 한다. 민생은 사회발전의 목표로서 조화로운 사회(和諧社會)를 의미한다. 시진핑은

이를 계승하여 지속적하고 있다.

예문1) 18차 당 대회에서 “샤오캉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결정적 시기가 2020년까지”라고 언급했다. 샤오캉

사회란 의식주를 걱정하지 않고 여유있는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는 사회를 말한다. 즉 향후 중국의 정책이

소비와 결부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지적이다.(아시아경제 2013년 1월 2일자)

31 胡
錦濤(2012), 《第
18大
黨代表
大會政
治報》16-17쪽. 구체적으로 지속적이고 건강한 발전을 이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경

제발전 방식을 전환하고 국내총생산(GDP)과 주민수입을 2020년에 2010년의 2배로 증가시킬 것이다. 정치적으로 민주의 확대를 추구

한다. 이를 위해 민주제도의 개선, 법에 의한 국가통치, 법치정부의 완성, 사법 공신력의 제고, 인권 존중과 보장을 실현하고자 한다.

문화적으로 문화 소프트파워의 증가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문화산업을 중심 산업으로 육성, 문화강국의 기초를 강화한다. 사회적으

로 국민 생활수준을 한층 제고시킨다. 이를 위해 공공 서비스의 균등한 제공, 교육 혁신, 인재 배양 수준의 제고, 취업 보장, 수입 분

배격차 축소, 국민 사회보장 실시 등을 추진한다. 환경보호 면에서 자원절약형 및 환경친화형 사회를 건설한다.

141
예문2) 샤오캉 사회는 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리는 사회를 뜻한다.(연합뉴스 2012년 4월 23

일자)

예문1)~2)에서 小康社會을 小康은 중국어 병음인 ‘샤오캉’으로 社會는 한국어음인 ‘사회’

로 번역하여 ‘샤오캉 사회’로 표현했다.

예문3) 후 주석은 경제정책과 관련해서는 “2020년까지 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010년의 두 배로

늘려 전면적인 샤오캉(小康) 사회를 건설하겠다”고 말했다. 샤오캉 사회란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의식주를

걱정하지 않는 물질적으로 안락한 사회를 말한다.(한국경제 2012년 11월 8일)

예문4) 21세기의 첫 20년이 도래할 때까지 '샤오캉(小康)사회'를 전면 실현하겠다는 구체적 목표도 설정됐다.

샤오캉 사회란 보통사람도 풍요롭게 사는 세상으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방면에서 모두 만족하는 상태

를 가리킨다. (한국일보 2013년 9월 6일자)

예문3)~4)에서 小康社會을 小康은 중국어 병음인 ‘샤오캉’으로 하고 괄호치고 한자표기를

해주었고, 社會는 한국어음인 ‘사회’로 번역하여 ‘샤오캉(小康) 사회’로 표현했다.

예문5) 당시 후 주석이 "지난 20년간 중국은 샤오캉(小康) 사회(의식주를 걱정하지 않는 풍요로운 중산층이

중심이 된 사회)의 전면 건설을 위해 매진했다"며 "그 동안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 샤오캉 사회

를 반드시 실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한국일보 2012년 11월 6일자)

예문6) 이에 따라 시진핑(習近平)을 정점으로 한 ‘5세대 지도부’는 1인당 GDP 1만 달러의 샤오캉 사회(의식

주 걱정이 없는 비교적 여유로운 사회) 건설을 첫째 시정 목표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국민일보 11월 8일자)

예문5)~6)의 공통점은 小康社會을 小康은 중국어 병음인 ‘샤오캉’으로 하고, 社會는 한자

음인 ‘사회’로 번역하여 ‘샤오캉 사회’ 혹은 ‘샤오캉(小康) 사회’로 번역한 뒤, 의식주를 걱

142
정하지 않는 풍요로운 중산층이 중심이 된 사회, 의식주 걱정이 없는 비교적 여유로운

사회와 같은 설명을 바로 옆에 괄호 안에 넣어주었다.

예문7) 오는 2020년 중국 경제가 지난 2010년 GDP의 2배로 증가해 국민 모두가 의식주를 걱정하지 않고

물질적으로 안락한 샤오캉(小康) 사회가 될 때까지 성장률의 최저 방어선을 7%로 매년 유지 하겠다.(머니투

데이 2013년 7월 23일자)

예문8)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개발도상국이라고 자칭하며 2020년까지 국민 다수가 골고루 먹고 살만한

샤오캉(小康)사회 건설을 목표로 삼아 ‘발전’을 향해 내달리고 있다.(한겨레 2013년 5월 23일자)

예문7)~8)은 ‘의식주를 걱정하지 않고 물질적으로 안락한 샤오캉(小康)사회’, 혹은 ‘국민

다수가 골고루 먹고 살만한 샤오캉(小康)사회’로 小康社會에 관한 설명을 앞부분에 써 주

는 번역 방식을 택하였다.

한국 언론의 小康社會에 대한 번역은 ‘샤오캉 사회’ ‘샤오캉(小康) 사회’라는 중국

어 병음과 한자음을 사용한 번역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앞부분에 샤오캉의 의미를 풀

어서 설명하든지 혹은 괄호 안에 설명을 넣는 번역 양상도 나타났다. ‘샤오캉 사회’라는

국가레토릭은 한국 언론에 이미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번역으로 생각된다.

3. 2 中
國夢

‘中國夢’은 '중국의 꿈'이라는 뜻이다. 이는 중국 국방대학 류밍푸 (劉明福)교수가

2010년 초 출판한 책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 류 교수는 이 책에서 중국이 세계 제일

이 되기 위해 매진해야 하고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과학기술적으로나 세계 일등국

가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중국이 정치ㆍ경제ㆍ문화적으로 글로벌 강국이 되고

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143
시진핑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2013년 3월 양회(兩會) 폐막식에서 中國夢이라는

단어를 아홉 차례나 반복했다. 전후 맥락을 알 리 없는 국내외 기자들은 무슨 의미인지

의아해했으나 그 함의에 대한 해설이 이어지면서 지금은 다소 정리가 되었다. 中國夢은

19세기 이후 중국이 겪어야 했던 치욕의 세기를 넘어서서 중화민족의 번영과 행복이 실

현되는 21세기 ‘중국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자는 것으로 압축된다. 이는 모든 중국인들

이 행복하게 사는 것이며, 모든 이들이 자신의 삶과 환경이 나아지도록 노력하고, 공정성

과 정의를 추구하며 이를 성취할 기회가 있는 사회를 의미한다. 中國夢을 실현하기 위해

서는 각각의 중국인이 열심히 노력하고, 동시에 정부는 부패 척결ㆍ정치 통합ㆍ국민에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13억 4천만 국민의 개인적 꿈의 결집체로서 中國夢은 모든 개인에게 기회가 공

평하게 주어져 있으니 개인이 노력하면 국가는 정책적 조건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함의가 있다. 경제성장의 결과로 초래된 빈부격차, 도농격차,

의식주 불균형 문제 등의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하지 않으며 모두의 꿈이

실현될 수 있도록 부패를 척결하고 공정한 사회로 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예문9) 중국 최고지도자 시진핑의 캐치프레이즈는 '차이나 드림'이다. 국가부강 민족부흥 인민 행복이 키워드

이다.(서울경제 2013년 8월 7일자)

예문10) 시진핑 주석은 차이나 드림을 “중국의 위대한 부흥”으로규정한다. (한겨레 2013년 6월 25일자)

예문9)~10)은 中國夢을 영어로 음역하여 ‘차이나 드림’으로 번역하였다.

예문11) 시총서기도 취임 후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의미하는 '중궈멍'을 여러 번 언급하며 중국인들의

염원이 담긴 말이라고 지적했다.(파이낸셜뉴스 2013년 2월 22일자)

144
예문12) 시주석이 강조한 “중궈멍”은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과 함께 앞으로 시주석 집권 10년의 중국이 어

떻게 변화될 것인가 하는 염원과 기대가 함축된 말로 해석되고 있다.(중앙일본 2013년 3월 20일자)

예문11)~12)는 中國夢을 중국어로 음역한 ‘중궈멍’으로 번역하였다.

예문13) 박 대통령은 이 외에도 ‘중국몽(中國夢·시진핑 국가주석의 취임연설에 나온 용어로 중화민족의 위대

한 부흥이라는 꿈)’ 등 중국에서 통용되는 용어 몇 개를 인용했다.(세계일보 2013년 6월 18일자)

예문13)는 中國夢을 한자음으로 그대도 ‘중국몽’으로 하였는데, 괄호치고 한자를 써주었

을 뿐만아니라 시진핑의 연설에서 나왔다는 설명까지 덧붙여 주었다.

예문14) 새로 선출된 시진핑 국가주석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中國夢)'을 실현하자고 역

설했다.(서울경제 2013년 5월 6일자)

예문15)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전면적 소강사회 건설과 부강한 민주문명이 조화된 사회주의 현대화 국

가를 건설하겠다”며 ‘중국의 꿈’(중국몽)을 수차례 강조했다.(매일신문 2013년 9월 17일자)

예문14)은 中國夢의 한국어 의미인 ‘중국의 꿈’이라 번역하고 괄호 안에 ‘中國夢’이란 한

자를 넣었다. 반면 예문15)의 경우 ‘중국어의 꿈’으로 번역했으나 ‘중국몽’이라는 한자음

을 그대로 괄호에 넣어 의미 파악이 그다지 쉽지 않게 되어 있다.

한국 언론의 中國夢에 대한 번역은 ‘차이나 드림’ ‘중국의 꿈’ ‘중궈멍’ ‘중국몽(中

國夢)’ ‘중국몽’ 등으로 나타나 ‘샤오캉 사회’로 주로 번역된 小康社會보다 다양한 번역 양

상이 나타났다. 시진핑 체제가 출범한지 얼마 안 되서 中國夢이 한국 언론에 노출된 시

145
간이 ‘샤오캉 사회’과 비교해 짧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대신 한국 언론은 中國夢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설명을 부가해주었음을 볼 수 있다.

4. 나가는 글

본문은 새로 출범한 시진핑 체제의 국가레토릭으로 여겨지는 中國夢과 기존의

레토릭을 계승한 小康社會에 대한 한국 언론의 번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小康社會은 ‘샤

오캉 사회’로 한국 언론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번역으로 보인다. 中國夢의

경우는 ‘차이나 드림’ ‘중국의 꿈’ ‘중궈멍’ ‘중국몽(中國夢)’ ‘중국몽’ 등 여러 가지 양상으

로 나타난다. 이는 한국 언론에 노출된 시간이 ‘샤오캉 사회’과 비교해 짧기 때문으로 이

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렴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희옥(2004),≪중국의 새로운 사회주의 탐색≫, (서울: 창비)

이하원(2013), ≪시진핑과 오바마≫ ,(서울: 김영사)

자오치정(2013),≪중국은 어떻게 세계와 소통하는가≫, (서울: 나남)

신봉수(2011),≪중국은 제국을 꿈 꾸는가≫ ,(서울: 프로네시스)

조영남(2013), <시진핑 시대 중국의 국가발전 전략>, ≪한국정치연구≫제22집2호

서진영(1989), <사회주의 초급단계론과 중국적 사회주의>, 《국제정치논총》2호

이희옥(2005), <중국의 국가전략: 전면적 소강사회론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 정치≫ 제21권1호


培星(1998), 《社
會主義
論》,(北
京:北
京人民
出版)


光遠(1983), <發
展作為
社會主
義建設
的科學
的馬克
思主>,《人
義 民日》3월26일


繩(1983), <馬
克思主
義和中
國國>,《紅
情 旗》제6기


克思(1971), <高
達綱領
批判馬克
思恩格
斯選>, 《人
集 民出版
社》제3권

146

錦濤(2012), 《第
18大
黨代表
大會政
治報》


澤東外
文選(1994), <毛
澤東“吸
取歷史
教訓,反
對大國
沙文主
義"> (北
京:中
央文獻
出版)


鞍鋼(2003), 《中
國大戰
略》,(杭
州:浙
江人民
出版)


自成(2002), <“關
於韜光
養晦和
有所作
為:再
談中國
的大國
外交心
態“>,《太
平洋學
報》 제1기


小平(1993), <鄧
小平文
選“關
於利用
時機解
決發展
問題“>, (北
京:北
京人民
出版) 제3권

중국펀드, 다시 노려볼 만하다, 아시아경제, 2013년 1월 2일

KDI "소득불평등이 사회불안ㆍ포퓰리즘 촉발", 연합뉴스, 2012년 4월 23일

시진핑이 써준 원고 읽은 후진타오 “G2 걸맞은 군사력 갖출 것”, 한국경제, 2012년 11월 8일

중국인에 사랑 받는 한국기업 현지 사회공헌에 750억 투자, 한국일보,2013년9월6일

중국인 1억명 이상 빈곤층 시진핑, 소득 불균형 해결을, 한국일보, 2012년 11월 6일

中권력이동 2020년까지 1인 소득 1만 달러로 2배, 국민일보, 2012년 11월 8일

"성장률 마지노선은 7%경기부양 신호탄, 머니투데이, 2013년 7월 23일

베이징에서 금호강이 생각났다, 한겨레, 2013년 5월 23일

시진핑과 중국의 꿈, 서울경제, 2013년 8월 7일

성장률 목표 낮추고 사회·환경 포괄 균형발전 도모, 한겨레, 2013년 6월 25일

중국과 세계, 꿈의 차이, 파이낸셜뉴스, 2013년 2월 22일

시진핑의 중국몽(中
國夢), 중앙일보, 2013년 3월 20일

中자주창신·韓창조경제 소개, 세계일보, 2013년 6월 18일자

차이나 드림, 서울경제, 2013년 5월 6일

중국몽, 매일신문, 2013년 9월 17일

147
통역 교육을 위한 원천텍스트 난이도 평가

최문선

(이화여대)

본 발표는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인 ‘영한 순차통역 교육을 위한 원천텍스트 난이도 연구:
텍스트적 요인을 중심으로’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통역 교육을 위해서는 수업이나 시험의 대상과 목적에 부합하는 원천텍스트를
선정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 중 하나가 원천텍스트의
난이도이다. 통역 교육에 사용되는 원천텍스트의 난이도는 통상적으로 통역 교수자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하여 평가되어 왔다. 통역 교수자가 통역의 실무 및 교육과 관련한
전문가적 통찰력을 지녔다는 점에서 통역 교육에 사용되는 원천텍스트의 난이도를
평가하는 데에는 통역 교수자의 관점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역 교수자에
의한 원천텍스트 난이도 평가는 평가자의 주관이 크게 작용하여 평가자 간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통역 교수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하되 통역
교수자들의 통역 원천텍스트 난이도 판단과 관련성을 지니는 텍스트적 속성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원천텍스트 난이도 평가 결과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원천텍스트
난이도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영 통역 교수자 15 인이 실제 영한
순차통역 교육 과정에 사용되었던 텍스트 5 개를 검토하고 난이도를 평가하는 통역
교수자 대상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통역 교수자들의 원천텍스트

148
난이도 판단 기준을 주제, 어휘, 문장, 논리, 정보 밀도, 도착어 표현의 6 대 주요 난이도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이에 더하여 정량적 측정이 가능한 텍스트의 속성을 기준으로
검토 대상 원천텍스트의 난이도를 평가한 후, 이를 통역 교수자들의 난이도 판단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텍스트의 평균 T-unit 길이, 플레시 이독성 점수, 타입 대 토큰
비율이 통역 교수자들의 원천텍스트 난이도 평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통역 교수자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난이도 평가’와 ‘객관적 난이도
평가’로 구성된 원천텍스트 난이도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통역 교수자 10 인을
대상으로 시험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약력

-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강사
- 통번역학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 국제회의 통역사 (한-영)

149
조선후기 통번역사들의 활약상

유정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조선후기는 우리보다 서양 문물을 일찍 받아들인 일본이 침략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하고, 서양제국들이 통상압박을 가하는 등 정세가 급변하는 혼란의
시기였다. 그 어느 때보다 타국의 정세와 새로운 문물에 대한 정보가 크게 요구되던
시기로, 당시 역관들은 외교 현장 이외에서도 각종 정보수집 및, 문물도입, 문화교류
등에 큰 활약을 보였다. 외국의 정세를 파악해 이를 즉시 보고하여 대비책을 수립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요, 시찰 및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익힌 정보를 책으로 편찬하였다.
또한 외교 활동 중 외국 학자와의 직접적인 교류 및 저술활동을 통해 외국문화의 소개는
물론 한국문화와 문물을 소개하는 데 앞장섰다.

당시 조선에서는 관제를 개혁할 때는 청국의 제도를 수용하고, 군제를 개혁할 때는


일본의 제도를 많이 채용하였다. 조선정부는 일본과 청국으로 사신을 수 차례에 걸쳐
파견하고 새로운 변화상황에 대한 정보수집을 은밀히 명하였는데 수행단에 포함되었던
일본어와 중국어에 능통한 통번역사들은 각 국에서 체험한 정세 변화를 정부에 상세히
전하였다. 개항기에 일본과 중국, 또한 러시아를 오가며 정세 파악에 힘써왔던 주요
통번역사로는 변원규, 이동인, 윤치호, 백춘배 등을 주목할 만한 인물로 꼽을 수 있다.

150
또한 군수물자를 무역하고 군사정보를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오경석의 경우
프랑스 함대의 조선침공 정보와 함께 프랑스 함대의 계획을 알아내 본국에 즉시 알려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고 김경수는 1879 녀 공보초략을 내어 총, 수뢰, 화포 등
신식무기의 성능을 설명과 함께 서양의 우수한 과학기술을 소개하였다.

조선후기 역관은 이처럼 외교적, 국방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들이
수행했던 문화적 역할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들이 담당한 문화적 역할은 외국의 것을
우리에게 전달해준 것과 우리의 것을 외국에 전달하는 것의 양 방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물, 서적, 그림, 외국 정보, 지식을 들여오고, 조선의 역사, 언어,
문화에 관한 정보나 지식을 전달 하였다. 이외에도 직접적인 외국 학자들과 직접
교류관계를 맺기도 하고 자신이 직접 문학의 창작 활동을 하거나 기행록, 혹은 외국어에
대한 지식을 정리하였다. 이 같은 현상은 특히 일본 사행역관들에게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는 김지남, 홍세태, 이언진 등을 꼽을 수 있다.

151
동성애와 번역

박소영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 문화 속에서 동성애와 관련된 여러 비유나 상징이 어떻게


번역되는가, 그리고 번역을 통해 동성애는 한국 사회에 어떻게 수용되는가를 기술하는
것이다. Keith Harvey 는 번역학의 관점에서 ‘camp talk’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동성애
번역 논의를 구체화했다. Camp 는 1940 년대부터 프랑스와 영국에서 발표된 소설에서
남성 동성애자 캐릭터를 재현하는 방식으로, 번역자는 출발 문화권 camp 와 도착 문화권
camp 에 대한 날카로운 의식 하에 이를 번역해야만 한다(Harvey, 1998, p. 449). 한편
camp 는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에 따라 다양한 부침을 겪게 된다. 1950 년대
나치의 탄압의 대상이었던 동성애자들은 2013 년 현재, 각국에서 동성결혼을 합법화
시킬 정도로 영향력이 큰 정치적 세력으로 부상했다. 이 과정에서 문학 작품과 대중
문화의 역할 속 동성애자는 정신병, 에이즈, 범죄 등과 관련된 ‘호모’에서 ‘예술을
사랑하며(arty)’, 이성애자(heterosexual)와는 달리 사랑의 대상이 같은 성(性)일뿐인
지고지순한 ‘동성애자(homosexual)’로 변했다. 한국사회에서도 동성애에 대한 거부감이
팽배했던 1990 년대 이전의 대중 문화 속에 빈번히 사용된 ‘호모(새끼)’라는 용어, 혹은
‘동성연애자’라는 용어는 동성애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 인식 정착됨에 따라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동성애를 다룬 외국 문학 작품(소설,

152
희곡)과 대중매체(연극, 영화)가 한국 문화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등장인물의 동성애
camp 가 어떻게 번역되어 등장인물의 동성애 캐릭터 구축하는데 기여하는지를
분석하도록 한다. 즉 번역을 통해서 한국 사회에서 동성애를 어떻게 수용하는지를
기술한다. 이차적으로는 동일한 작품일지라도 사회적 인식 변화를 거치면서 재번역
과정을 통해 동일한 camp 가 달리 사용되는지를 분석한다. 즉 사회적 인식 전환이
번역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기술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동성애에 대한 번역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고찰하도록 한다.

약력

1. 성명: 박소영
2. 소속: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서과
3. 학위: 동대학원 통번역학 박사 “서한 희곡 번역의 직시 변이 연구” (2011)
4. 연구실적:

- 2007. 다국어 미디어 텍스트 생산의 새로운 층위로서의 번역에 대한 CDA 적


접근. 통번역학연구. 11(1). 31-52.

- 2012. 희곡번역과 다시쓰기. 번역학연구. 13(4), 55-79.

- 2012. 번역 교육 이론을 적용한 강독 수업 연구. 스페인어문학. 64. 83-99.

- 2013. 번역 능력과 번역 평가에 관한 소고. 스페인어문학. 2013. 173-191.


5. 연락처: 010-7269-5677 / hufspsy@gmail.com, hufspsy@hufs.ac.kr

153
정보처리 이론에 의거한 동시통역 학생의 형성 평가

원종화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전문통번역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성격의 평가 중 형성 평가(formative assessment)는 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의 과제 수행을 수시로 점검하고 실수를 지적하며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조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Brown, 2004). 이를 통역 수업을 수강하는 통번역대학원
학생들에게 적용하자면, 개별 학생을 대상으로, 통역 평가를 통하여, 통역 지식이나
기술이 잘 습득되고 있는지, 통역 수행에 특별히 부족한 점은 없는지, 만약 있다면 그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개선 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등을 파악하고,
이를 개별적으로 조언하거나 수업에 반영함으로서, 통역 수행 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둘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통역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는 주로 입학 시험 등의 진단 평가(diagnostic test)나
총괄평가(summative test)에 치중되어왔고, 평가 내용을 보면 대부분 원천 텍스트에 대한
충실도, 발화 텍스트의 구성, 청중에 대한 전달력 등 결과 중심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Schjoldager, 1996; Riccardi, 2002). 이에 비해 과정을 중시하는 형성 평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 보고가 적은 편이다(Sawyer, 2004). 그러나 ‘즉시성’과
‘신속성’을 주요 특성으로 하는 통역에 있어서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통역을 했는가’ 못지않게 ‘왜 그렇게 했는가’를 가늠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154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통번역대학원에서 마지막 학기 동시통역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중의 통역 내용을 제반 언어정보처리 이론에
의거하여 평가 분석함으로서, 특히 정보 처리 측면에서의 특성과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이를 향후 수업 내용이나 훈련에 적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기 말에 유사한 평가를
실시하여 정보처리 이론에 의거한 과정지향적 평가의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향후 교육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실행 연구(action research)의 목적이다.

serenajhw@gmail.com

영한순차 통역물의 통사적 특성 고찰: 문장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박헌일, 김태성, 김의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문과,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과)

본 연구의 목적은 통번역대학원생들의 영한순차 통역물이 통사적으로 어떤 특성을 보이

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문장 명제 차원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통역된 문장의 난이도를 측정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i) 복잡성 차원: 일반적으로 한국어 텍스트의 경우 문장이 복잡해질수록 모문의 복잡성

점수는 일정하게 낮고 내포문 점수는 높게 나타난다. 그렇다면 영한 통역물의 경우, 모문

과 내포문의 점수 양상과 원문의 난도별 혹은 결과물의 평가 등급별 상관관계는 존재하

는가?

ii) 다양성 차원: 글의 주제나 목적에 따라 문장의 다양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영한 통역

물의 경우, 원문의 난도 혹은 결과물의 평가 등급과 모문과 내포문에 나타나는 문장 다

155
양성의 양상 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가?

학부 차원에서의 전문 번역 교육 가능성

김대영

(고려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부 번역 수업에서 학생들과 교수자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학부


차원에서 전문 번역 입문 교육의 도입 가능성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학부와 통번역 대학원의 교수자(총 100명의 교수자 :대학교의 교수자 54명과
46명의 통번역 대학원의 교수자)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설문조사 그리고 한
학기 동안, 일반 대학교와 통번역 대학원에서의 각각 하나의 불한 번역 수업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학부 번역 수업에서의 전문 번역 입문 교육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해 우선 번안과 작문에 길들여진 학부 학생들 로 하여금 직역의 번역 방식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 번역 즉 거시적인 수준의 번역 방법으로 나아가기 위해 번역
브리프가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학부
차원에서의 전문 번역 도입을 위해 대부분의 교수자들과 학생들은 수준별 번역 수업과
수업 당 30명 미만의 학생 수 조절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대다수의 학부 교수자들과 학생들은 언어 텍스트 능력 즉 텍스트 독해 능력을
번역 능력 중 가장 부족한 능력으로 언급하였는데, 이러한 현실을 고려해 보았을때,
우리는 학부차원의 번역 수업에서의 번역 브리프 도입의 필요성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언어적 지식과 텍스트의 논리적인 분석 강화를 위한 능동적 읽기 수업(Lecture active)과

156
외부언어적 지식과 원텍스트 이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 수업 개설을
조심스럽게 추천하고자 하는 바이다.

제 3 세계 문학의 수용과 번역의 매개성(mediation)

– 스페인어 소설의 국내 번역출판에 나타나는 중역 현상을 중심으로

김희진

(서울대 스페인어과)

본 연구는 문학번역에서 관찰되는 번역 방식의 간접성 즉, 중역(重譯)에 관한 고찰이다.

간접번역(indirect translation) 또는 매개번역(mediated translation)이라고도 불리는

중역은 원작이 쓰인 원천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번역을

의미하며, 원저자의 언어가 아닌 제 2 의 번역어를 출발어로 삼는다는 점에서 정확성의

부재, 원문과의 괴리 등을 이유로 문학 번역에서는 특히 지양되어야 할 번역 관행으로

여겨진다. 중역을 바라보는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은 출판 번역 시장은 물론, 번역 현상

및 그 결과물을 논하는 학계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실제 중역 현상을 다루고 있는 연구

대부분이 정오의 관점에서 번역 텍스트에 대한 일회성 비판 또는 더 나은 번역 대안을

제시하는 처방적인 평가 정도에 머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문학번역에서의 중역을 번역어의 간접성이라는 언어 도구적 관점에서의 문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외국 문학을 받아들이는 수용문화가 처한 사회, 역사, 문화적 환경이라는

157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과거 국내 번역문학계가 제 3 세계 문학, 특히

스페인 및 중남미 지역의 작품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원문번역이 아닌 중역이라는

우회적인 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배경을 짚어보고, 그 과정에 작용한

매개(mediating)언어 및 문화의 특성을 종합해봄으로써 제 3 세계 문학의 수용에

나타나는 중역 현상을 과연 번역에서의 ‘오류’ 혹은 ‘결함’으로만 볼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올바른 번역문화의 정착을 위해 중역은 분명 지양되어야 할 것이나,

필요악으로써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면 그 원인과 현상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 또한 있다고 본다. 나아가 다양한 연구 자료들을 바탕으로 2000 년대

이후 최근의 번역 출판 현황에 대한 조사를 통해 서-한 문학번역에 나타나는 새로운

변화들을 살펴보고, 기존의 중역 현상이 최근에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158
한국 문학의 러시아어 번역에서 나타나는 번역사의 개입 양상 고찰

서유경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 문학이 러시아에 소개된 것은 1889 년에 가린-미하일롭스키(Н. Г. Гарин-


Михайловский)가 우리나라에서 구전되어 오던 민담을 수집하여 번역한 ‘한국 전래
동화집(Корейские народные сказки)’을 최초로 보고 있다. 이후 1980 년 대 한국이
경제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면서 한국 주도의 한국학의 러시아 진출 또는 한국
문학의 러시아어 번역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국가 주도로 본격화된
한국문학의 해외 소개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 사업과 맥을
같이 한다.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 문학을 번역의 주체 및 번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외국인 번역사 그룹으로, 러시아에서 한국학 또는
한국 문학 연구를 연구하는 러시아인이 번역을 한 경우이다. 다른 하나는 한국인 번역사
그룹으로, 한국에서 이루어진 번역으로 번역사는 한국인 또는 한국인-러시아인 공동
번역 한 경우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번역사의 두 유형에 따라 한국 문학이 러시아어로 번역될 때 번역


텍스트에 나타나는 번역사의 개입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즉, ST 요소의 생략, 누락,
변이를 중심으로 번역사의 개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양상이
한국인 번역사 그룹과 외국인 번역사 그룹에 따라 관련성을 보이는지 고찰할 것이다.

159
번역사의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인 번역사와 외국인 번역사 그룹간 원천 텍스트에
충실하고자 하는 경향과 목표(TT) 문화권의 규범에 충실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보이는지
밝히고자 한다.

약력

2007~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강사

2011. 8.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통번역학 박사

2000. 1~2006. 1 삼성물산

2001. 2.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노과 통역학 석사

1996. 2.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 노어과 학사

160

Das könnte Ihnen auch gefallen